목차
Ⅰ. 사뇌가 이해의 전제
⑴ ‘~歌’
⑵ 문헌 자료에 임하는 시각
Ⅱ. 사뇌가의 인식 양상
⑴ 『均如傳』의 사뇌가 인식 양상
① 균여의 사뇌가 인식 양상
② 최행귀의 사뇌가 인식 양상
③ 혁련정은 사뇌가 인식 양상
⑵ 『三國史記』의 사뇌가 인식
⑶ 『三國遺事』의 사뇌가 인식
⑴ ‘~歌’
⑵ 문헌 자료에 임하는 시각
Ⅱ. 사뇌가의 인식 양상
⑴ 『均如傳』의 사뇌가 인식 양상
① 균여의 사뇌가 인식 양상
② 최행귀의 사뇌가 인식 양상
③ 혁련정은 사뇌가 인식 양상
⑵ 『三國史記』의 사뇌가 인식
⑶ 『三國遺事』의 사뇌가 인식
본문내용
頌」은 언제든 다시 재현될 수 있는 다회성을 그 속성으로 한다. 그러나 사뇌가의 경우 제의적 시공간은 일회적이며, 그에서 불려지는 노래 또한 일회적일 수 밖에 없다. 균여의 <보현십원가>에 이르러 가락과 장단이 우선하는 '歌'보다는 '念誦'의 음악성으로 변하고 나아가 노랫말이 우선하게 되다가 일연에 이르러서는 사뇌가의 음악성이 거의 소멸되었으며, 그 시간성은 결국 노랫말과 서사문맥만이 남게 되고 그 본질인 음악성은 거의 사라지고 없는 것이다. 일연은 음악성은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能感動天地鬼神"의 효과 또는 현상을 보이는 노래이면 그것을 향가로 인식하였고 향찰로 수록하였던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서동요>는 시가 일반의 기능을 지녔을 뿐인데, 일연은 그 기능과 효과에 주목하여 향가로 인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