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곡류사료
Ⅱ. 강피류 사료
Ⅲ. 유지사료
Ⅳ. 근괴사료
Ⅴ.식물성 단백질 사료
Ⅱ. 강피류 사료
Ⅲ. 유지사료
Ⅳ. 근괴사료
Ⅴ.식물성 단백질 사료
본문내용
. → 청산의 모체인 linamarin을 청산화하는 linase효소는 가열이나 단위동물의 위 액내 산성에 의해 파괴되며 반추가축은 서서히 흡수되어 신속히 배출된다.
수침 혹은 죽의 상태로 급여시 청산을 생성하여 맹독을 유발.
5.6.2 아마박의 사료적가치
⑴ 가금
ㆍ 병아리의 성장을 저해한다.
ㆍ 성장 저해인자들은 수침 처리 후 37℃에서 autoclaving을 하거나 50% 에탄올 로 추출하면 성장율을 개선할 수 있다.
ㆍ 미세분말로 급여할 경우 성장저해작용이 현저.
ㆍ 제 1 제한 아미노산은 lysine 이다.
⑵ 돼지
ㆍ 어분, 탈지분유등의 동물성 단백질 사료와 함께 급여하면 좋다.
⑶ 반추가축
ㆍ 젖소의 단백질 사료로 널리 쓰이며 기호성이 높고 통변을 좋게하고 정장 효과 가 있다.
ㆍ 젖소의 유지를 연하게 한다.
ㆍ 젖소의 건강과 우유 생산상의 좋은 단백질이다.
ㆍ 정장효과 및 피모에 광택을 내는 외에 살집을 좋게 하므로 시장 출하용 및 품 평회 출품용 육우에 특히 좋다.
5.7 호마박
5.7.1 호마박의 영양적 특성
- lysine의 함량은 적으나 methionine과 thyptophan이 높다.
대두박 및 효모단백질과 적절히 배합하면 상호보완작용을 나타내어 좋은 효과 가 있다.
각 가축에 대하여 나쁜 영향을 미치는 불량인자는 없다.
호마박의 단백질 함량은 채종박이나 임자박보다 높으나 기호성이 좋지 않으며 아미노산 함량 및 이용율도 떨어진다.
5.7.2 호마박의 사료적가치
⑴ 가금
ㆍ lysine외에도 Vit. B12와 대두박 알부민 속에 들어있는 어떤 요소가 결핍되어 우모발생의 불량과 성장불량의 원인이 된다.
ㆍ 아연을 첨가하여 autoclaving함으로서 성장률을 개선한다.
⑵ 돼지
ㆍ 어분이나 대두박등 양질의 단백질 사료와 함께 급여한다.
ㆍ 다급시 체지방을 연화시키는 결점이 있다.
⑶ 반추가축
ㆍ 너무 많이 급여하면 체지방 및 유지방이 연화된다.
ㆍ 혈액내의 Zn수준이 약간 떨어진다.
5.8 옥수수 글루텐
5.8.1 옥수수 글루텐의 영양적 특성
- TDN과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반면 lysine함량 낮아 단용시 단위동물에게 좋 지 않다.
xanthophyll을 함유하고 있어 브로일러나 산란계사용시 착색제로 좋다.
5.8.2 옥수수 글루텐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브로일러의 착색제로 가장 우수한 천연착색제이다.
ㆍ 산란계 사료에 3% 사용시 대두박 보다 산란율이 3%정도 증가
⑵ 돼지
ㆍ 양질의 알팔파 건초와 Ca, P등을 충분히 공급한다면 단백질 공급원으로 손색 이 없다.
⑶ 반추가축
ㆍ 비교적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ㆍ 송아지에 급여시 아마박이나 대두박과 혼용하는 것이 좋다.
5.9 밀 글루텐
- 밀에서 전분을 생산할 때 분리되는 부산물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다.
닭은 밀 글루텐에 탈지분유와 methionine을 보충 급여할 경우 어분의 8.4%까지 대치해도 성장률·사료효율 및 사료섭취량에 나쁜 영향은 없다.
5.10 낙화생박
5.10.1 낙화생박의 영양적 특성
- 껍데기의 제거 有·無에 따라 조섬유의 함량에 차이가 많으므로 껍데기의 혼 입 유무에 유의
단백질 함량은 45%정도, cystine, methionine함량 낮고 arginine, histidine 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카로틴, 비타민 D가 부족하다.
장기간 보관하면 산패의 우려가 있다.
Aspergillus flavous라는 곰팡이가 끼면 독소를 생성하며 닭과 칠면조에 중독 을 일으켜 성장불량 및 신장, 간장이 비대하여 폐사한다.
5.10.2 낙화생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육추사료에 單用하면 성장율이 매우 좋지 못하나 lysine과 아미노산 공급제를 첨가하면 성장률 및 사료효율이 개선된다.
⑵ 돼지
ㆍ 어분 또는 대두박과 함께 급여하는 것이 좋다.
ㆍ 기호성이 높아 과식할 염려가 있고 체지방을 연화시키므로 농후사료의 15%이 상되지 않도록 한다.
⑶ 반추가축
ㆍ 하리증상을 일으키므로 전체 농후사료의 2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ㆍ 방목중인 육우의 보충사료와 자면양(子緬羊)의 비육용 사료로 이용된다.
5.11 야자박
5.11.1 야자박의 영양적 특성
- 박류사료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낮고, lysine이 제한아미노산이며 함유황 아 미노산(cystine, methionine) 함량이 낮다.
젖소에서 유지율을 높이고 유지방을 굳게 하는 성질이 이TEk.
5.11.2 야자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병아리 사료에 급여하면 성장율 사료효율이 떨어지고 폐사율이 높다.
ㆍ 산란계에서는 체중감소와 산란율 감소를 일으킨다.
ㆍ 병아리 사료에는 20%, 산란계 사료에는 25∼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⑵ 돼지
ㆍ 조섬유 함량이 많아 다량 급여하는 것은 좋지 않다.
ㆍ 성장을 저해하는 어떤 요인이 있다.
⑶ 반추가축
ㆍ 젖소의 기호에도 좋으며, 단단한 버터를 생산함으로 40%까지는 급여가 가능.
5.12 해바라기씨 박
5.12.1 해바라기씨 박의 영양적 특성
- 제한 아미노산은 lysine이다.
영양적 가치는 Vit. B군의 함량에 의하며 돼지에 있어서 threonine을 첨가하 면 증체효과가 나타난다.
5.12.2 해바라기씨 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산란계에 급여하면 난각에 반점이 생긴다. 가루먹이보다는 부수어 주면 반점 이 덜 생긴다.
⑵ 돼지
ㆍ 육성 비육돈에 25%이상 대치하면 lysine부족과 조섬유함량 과다로 체중이 크 게 감소한다.
⑶ 반추가축
ㆍ 젖소에 많이 먹이면 유지방을 연화시킨다.
5.13 주정박
5.13.1 주정박의 특성
- 효모가 많이 들어 있어 Vit. B군이 많이 함유되어 잇따.
단백질의 질은 좋은 편은 아니나, 아미노산의 함량은 많은 편이다.
병아리 성장을 촉진하는 UGF(미지성장인자)는 phenol acids와 dicarboxylic acid의 작용이다.
5.13.2 주정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산란계 사료에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을 10% 정도 사용하면 산란능력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⑵ 돼지
ㆍ lysine 과 tryptophan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박류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수침 혹은 죽의 상태로 급여시 청산을 생성하여 맹독을 유발.
5.6.2 아마박의 사료적가치
⑴ 가금
ㆍ 병아리의 성장을 저해한다.
ㆍ 성장 저해인자들은 수침 처리 후 37℃에서 autoclaving을 하거나 50% 에탄올 로 추출하면 성장율을 개선할 수 있다.
ㆍ 미세분말로 급여할 경우 성장저해작용이 현저.
ㆍ 제 1 제한 아미노산은 lysine 이다.
⑵ 돼지
ㆍ 어분, 탈지분유등의 동물성 단백질 사료와 함께 급여하면 좋다.
⑶ 반추가축
ㆍ 젖소의 단백질 사료로 널리 쓰이며 기호성이 높고 통변을 좋게하고 정장 효과 가 있다.
ㆍ 젖소의 유지를 연하게 한다.
ㆍ 젖소의 건강과 우유 생산상의 좋은 단백질이다.
ㆍ 정장효과 및 피모에 광택을 내는 외에 살집을 좋게 하므로 시장 출하용 및 품 평회 출품용 육우에 특히 좋다.
5.7 호마박
5.7.1 호마박의 영양적 특성
- lysine의 함량은 적으나 methionine과 thyptophan이 높다.
대두박 및 효모단백질과 적절히 배합하면 상호보완작용을 나타내어 좋은 효과 가 있다.
각 가축에 대하여 나쁜 영향을 미치는 불량인자는 없다.
호마박의 단백질 함량은 채종박이나 임자박보다 높으나 기호성이 좋지 않으며 아미노산 함량 및 이용율도 떨어진다.
5.7.2 호마박의 사료적가치
⑴ 가금
ㆍ lysine외에도 Vit. B12와 대두박 알부민 속에 들어있는 어떤 요소가 결핍되어 우모발생의 불량과 성장불량의 원인이 된다.
ㆍ 아연을 첨가하여 autoclaving함으로서 성장률을 개선한다.
⑵ 돼지
ㆍ 어분이나 대두박등 양질의 단백질 사료와 함께 급여한다.
ㆍ 다급시 체지방을 연화시키는 결점이 있다.
⑶ 반추가축
ㆍ 너무 많이 급여하면 체지방 및 유지방이 연화된다.
ㆍ 혈액내의 Zn수준이 약간 떨어진다.
5.8 옥수수 글루텐
5.8.1 옥수수 글루텐의 영양적 특성
- TDN과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반면 lysine함량 낮아 단용시 단위동물에게 좋 지 않다.
xanthophyll을 함유하고 있어 브로일러나 산란계사용시 착색제로 좋다.
5.8.2 옥수수 글루텐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브로일러의 착색제로 가장 우수한 천연착색제이다.
ㆍ 산란계 사료에 3% 사용시 대두박 보다 산란율이 3%정도 증가
⑵ 돼지
ㆍ 양질의 알팔파 건초와 Ca, P등을 충분히 공급한다면 단백질 공급원으로 손색 이 없다.
⑶ 반추가축
ㆍ 비교적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ㆍ 송아지에 급여시 아마박이나 대두박과 혼용하는 것이 좋다.
5.9 밀 글루텐
- 밀에서 전분을 생산할 때 분리되는 부산물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다.
닭은 밀 글루텐에 탈지분유와 methionine을 보충 급여할 경우 어분의 8.4%까지 대치해도 성장률·사료효율 및 사료섭취량에 나쁜 영향은 없다.
5.10 낙화생박
5.10.1 낙화생박의 영양적 특성
- 껍데기의 제거 有·無에 따라 조섬유의 함량에 차이가 많으므로 껍데기의 혼 입 유무에 유의
단백질 함량은 45%정도, cystine, methionine함량 낮고 arginine, histidine 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카로틴, 비타민 D가 부족하다.
장기간 보관하면 산패의 우려가 있다.
Aspergillus flavous라는 곰팡이가 끼면 독소를 생성하며 닭과 칠면조에 중독 을 일으켜 성장불량 및 신장, 간장이 비대하여 폐사한다.
5.10.2 낙화생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육추사료에 單用하면 성장율이 매우 좋지 못하나 lysine과 아미노산 공급제를 첨가하면 성장률 및 사료효율이 개선된다.
⑵ 돼지
ㆍ 어분 또는 대두박과 함께 급여하는 것이 좋다.
ㆍ 기호성이 높아 과식할 염려가 있고 체지방을 연화시키므로 농후사료의 15%이 상되지 않도록 한다.
⑶ 반추가축
ㆍ 하리증상을 일으키므로 전체 농후사료의 2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ㆍ 방목중인 육우의 보충사료와 자면양(子緬羊)의 비육용 사료로 이용된다.
5.11 야자박
5.11.1 야자박의 영양적 특성
- 박류사료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낮고, lysine이 제한아미노산이며 함유황 아 미노산(cystine, methionine) 함량이 낮다.
젖소에서 유지율을 높이고 유지방을 굳게 하는 성질이 이TEk.
5.11.2 야자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병아리 사료에 급여하면 성장율 사료효율이 떨어지고 폐사율이 높다.
ㆍ 산란계에서는 체중감소와 산란율 감소를 일으킨다.
ㆍ 병아리 사료에는 20%, 산란계 사료에는 25∼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⑵ 돼지
ㆍ 조섬유 함량이 많아 다량 급여하는 것은 좋지 않다.
ㆍ 성장을 저해하는 어떤 요인이 있다.
⑶ 반추가축
ㆍ 젖소의 기호에도 좋으며, 단단한 버터를 생산함으로 40%까지는 급여가 가능.
5.12 해바라기씨 박
5.12.1 해바라기씨 박의 영양적 특성
- 제한 아미노산은 lysine이다.
영양적 가치는 Vit. B군의 함량에 의하며 돼지에 있어서 threonine을 첨가하 면 증체효과가 나타난다.
5.12.2 해바라기씨 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산란계에 급여하면 난각에 반점이 생긴다. 가루먹이보다는 부수어 주면 반점 이 덜 생긴다.
⑵ 돼지
ㆍ 육성 비육돈에 25%이상 대치하면 lysine부족과 조섬유함량 과다로 체중이 크 게 감소한다.
⑶ 반추가축
ㆍ 젖소에 많이 먹이면 유지방을 연화시킨다.
5.13 주정박
5.13.1 주정박의 특성
- 효모가 많이 들어 있어 Vit. B군이 많이 함유되어 잇따.
단백질의 질은 좋은 편은 아니나, 아미노산의 함량은 많은 편이다.
병아리 성장을 촉진하는 UGF(미지성장인자)는 phenol acids와 dicarboxylic acid의 작용이다.
5.13.2 주정박의 사료적 가치
⑴ 가금
ㆍ 산란계 사료에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을 10% 정도 사용하면 산란능력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⑵ 돼지
ㆍ lysine 과 tryptophan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박류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