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21세기 변화의 키워드
1. 스마트(Smart)
2. 소프트(Soft)
3. 소프트(Soft)
4. 스피드(Speed)
5. 탄력적(Flexible)
6. 신뢰성(Trust)
7.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8. 마인드(Mind)
9. 열정(Passion)
10. 글로벌(Global)
2) 21세기형 신인재의 특징
1. 핵심역량
2. 직업적 열정
3. 팀웍능력
4. 결과에 승복과 성과별 차등 보상
3) 다우코닝의 21세기 초일류기업이 되기 위한 ‘직원들이 습득해야 할 6가지 과제`
1. 기업가 정신
2. 실적향상
3. 변화에 대한 안목
4. 국경 없는 기술력
5. 고객중심의 자세
6. 평생학습의 자세
4) 21세기 신인재 골드칼라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건
1. IQ
2. EQ
3. MQ
4. PQ
5. 디지털지수
6. GQ
1). 21세기 변화의 키워드
1. 스마트(Smart)
2. 소프트(Soft)
3. 소프트(Soft)
4. 스피드(Speed)
5. 탄력적(Flexible)
6. 신뢰성(Trust)
7.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8. 마인드(Mind)
9. 열정(Passion)
10. 글로벌(Global)
2) 21세기형 신인재의 특징
1. 핵심역량
2. 직업적 열정
3. 팀웍능력
4. 결과에 승복과 성과별 차등 보상
3) 다우코닝의 21세기 초일류기업이 되기 위한 ‘직원들이 습득해야 할 6가지 과제`
1. 기업가 정신
2. 실적향상
3. 변화에 대한 안목
4. 국경 없는 기술력
5. 고객중심의 자세
6. 평생학습의 자세
4) 21세기 신인재 골드칼라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건
1. IQ
2. EQ
3. MQ
4. PQ
5. 디지털지수
6. GQ
본문내용
출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이다. 정보기술은 뛰어난데 직업윤리가 부족하고 팀웍에 기여하지 못하는 사람을 요즘 '사이버괴물' 이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해 다른 사람을 공격하거나 괴롭히는 사람을 '사이버 테러리스트' 라고 한다. 사이버 괴물은 조직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사회와 마찰도 일으키게 마련이다. 최근 우리사회에서 정보화교육이 추진되고 있지만 정보화사회에서 꼭 필요한 '인간의 덕목'은 빠져있는 실정이다. '혼자서도 잘하지만 함께 하면 더 잘하는 사람' 그리고 '정보기술도 뛰어나지만 인간관계도 뛰어난 사람'을 육성하는 새로운 노력이 필요한 때다. 지금 우리에게는 '사이버괴물'이 아니라 진정한 '사이버 인재' 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골드칼라란 특정한 전문성만 있다고 해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고 인격적으로 성숙되어야 한다. 한동안 우리사회에 '먼저 인간이 되라' 는 말이 유행한적이 있다. 지금이야말로 이 말이 더욱 실감나는 세상이 되었다. 뭐든지 한가지만 잘하는 사람이 신지식인이 아니다. 정보화사회에 걸맞는 교양과 예절을 아는 사람이 진짜 신지식인 그리고 신지식인보다 더 필요한 사람은 인간성이 성숙된 '신지성인' 인 것이다. 문제청소년은 결국 문제어른들이 만드는 것이다.
4) 21세기 신인재 골드칼라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건
끝으로 21세기 신인재인 골드칼라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1세기 신인재 = IQ + EQ+ MQ+ PQ + DQ + GQ
1. IQ
첫째 IQ는 아이디어 지수를 의미한다. 창의력과 지식 및 정보를 활용해서 일을 해야 창의적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2. EQ
둘째 EQ는 감성지능지수를 말한다.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고 나아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할 줄 아는 사람이 다양성의 시대에 성공할 수 있다.
3. MQ
셋째 MQ는 도덕성 지수를 의미한다. 도덕(Moral)과 양심을 지닌 사람만이 투명한 정보화사회에서 신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PQ
넷째, PQ는 열정지수다. 열정(Passion)과 자발성을 가지고 매사에 의욕적으로 일하는 사람이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5. 디지털지수
다섯째, 디지털지수를 높여야 한다. 컴퓨터사용능력이 탁월해야 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정보기술체계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6. GQ
여섯째, GQ는 글로벌 지수를 의미한다. 정보화사회는 지구촌시대다. 세계시민정신(Global Citizenship)을 가지고 세계적 시야를 지녀야 한다. 그리고 세계인과 대화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상 6Q는 지금과 같은 입시위주의 교육체계로는 갖춰지지 않는다. 가정과 학교 사회가 함께 바뀌어야 한다. 청소년들을 새시대의 주역으로 인정하고 그들의 행복추구권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가장 소중한 자원은 바로 인적자원이다. 이 인적자원이 21세기 신인재로 변신한다면 우리는 한강의 기적에 이어 또다시 새로운 21세기 기적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r
4) 21세기 신인재 골드칼라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건
끝으로 21세기 신인재인 골드칼라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요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1세기 신인재 = IQ + EQ+ MQ+ PQ + DQ + GQ
1. IQ
첫째 IQ는 아이디어 지수를 의미한다. 창의력과 지식 및 정보를 활용해서 일을 해야 창의적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2. EQ
둘째 EQ는 감성지능지수를 말한다.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고 나아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할 줄 아는 사람이 다양성의 시대에 성공할 수 있다.
3. MQ
셋째 MQ는 도덕성 지수를 의미한다. 도덕(Moral)과 양심을 지닌 사람만이 투명한 정보화사회에서 신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PQ
넷째, PQ는 열정지수다. 열정(Passion)과 자발성을 가지고 매사에 의욕적으로 일하는 사람이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5. 디지털지수
다섯째, 디지털지수를 높여야 한다. 컴퓨터사용능력이 탁월해야 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정보기술체계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6. GQ
여섯째, GQ는 글로벌 지수를 의미한다. 정보화사회는 지구촌시대다. 세계시민정신(Global Citizenship)을 가지고 세계적 시야를 지녀야 한다. 그리고 세계인과 대화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상 6Q는 지금과 같은 입시위주의 교육체계로는 갖춰지지 않는다. 가정과 학교 사회가 함께 바뀌어야 한다. 청소년들을 새시대의 주역으로 인정하고 그들의 행복추구권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가장 소중한 자원은 바로 인적자원이다. 이 인적자원이 21세기 신인재로 변신한다면 우리는 한강의 기적에 이어 또다시 새로운 21세기 기적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r
추천자료
정보화 사회의 노동조건의 변화
지식관의 변화와 지식사회학
마뉴엘 가스텔의 <네트워크사회의 도래 - 정보화 경제의 조직 변화와 노동관계의 재구조화>에...
정보와 사회 불평등 체계의 변화
정보화와 사회변동에 따른 교육 환경의 변화 가능성
[정보화][사회복지][사회복지정책][노무현정부]정보화에 따른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현...
직업의 의미, 직업의 현대적 의의, 변화하는 직업 세계, 직업관의 의미와 유형, 직업변화에 ...
가족의 변화(농업사회의 전통가정, 산업화, 정보화로 인한 구조 변화) 유형(독신자, 한부모, ...
사회적 특성의 변화 - 지식사회 리더십
잠재력과 경기도개발잠재력, 지식기반사회, 잠재력과 성장, 시장잠재력, 잠재력과 IT잠재력, ...
[가족정책론] 사회 변화(change of society) 전망 - 사회의 양극화 심화, 저출산 및 고령화의...
사회복지사는 자신만의 특화된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포괄적 지식, 정보를 ...
사회복지사는 여러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야 하는 변...
지식기반 사회와 학습사회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미래사회의 환경변화 양상에 비추어 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