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징어의 생태 및 생활사
2. 오징어의 생태적 특징
3. 오징어의 회유
4. 어가와 어장
2. 오징어의 생태적 특징
3. 오징어의 회유
4. 어가와 어장
본문내용
장 5cm정도로 성장하고 2∼3개월이면 커져서 부화 후 1년 가까이 되면 산란할 수 있는 성숙체가 된다.
우리 근해에는 80종의 오징어가 서식하는데, 식량산업 상 가치가 있는 종류는 살 오징어다.
우리 근해 오징어는 발생시기에 따라 겨울, 여름, 가을 태생으로 나뉘는데 동해에서 많이 어획되는 살오징어는 겨울태생에 속한다.
동해 오징어는 12∼1월 사이 제주도 남쪽 동지나해에서 산란 부화돼 봄바람과 함께 북상하는 난류를 따라 8월께 울릉도 근해까지 진출한다
이후 연해주까지 북상했다가 10월께 북에서 남하하는 한류에 밀려 산란장소로 다시 돌아간다.
8월중 성숙한 숫놈이 미성숙된 암놈을 데리고 짝짓기를 감행하는데 이때 숫놈은 아름다운 결혼 색을 나타내 바다의 공작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암놈을 발견한 숫놈은 10개의 팔다리를 번쩍 들어 무도회에 나온것처럼 춤추는 것 같이 빙빙 돌며 구혼한다.
구혼을 받은 암놈은 미성숙 단계라 힘없이 수놈에게 10개 팔다리를 내맡기고 물밑 안전지대로 이동해 짝짓기를 이루게 된다.
오징어는 1년생이 암놈은 입 주위에 정자를 저장했다가 12월께 산란장소에 도착해 30만∼50만개의 알을 산란한 후 일생을 마감한다.
우리 근해에는 80종의 오징어가 서식하는데, 식량산업 상 가치가 있는 종류는 살 오징어다.
우리 근해 오징어는 발생시기에 따라 겨울, 여름, 가을 태생으로 나뉘는데 동해에서 많이 어획되는 살오징어는 겨울태생에 속한다.
동해 오징어는 12∼1월 사이 제주도 남쪽 동지나해에서 산란 부화돼 봄바람과 함께 북상하는 난류를 따라 8월께 울릉도 근해까지 진출한다
이후 연해주까지 북상했다가 10월께 북에서 남하하는 한류에 밀려 산란장소로 다시 돌아간다.
8월중 성숙한 숫놈이 미성숙된 암놈을 데리고 짝짓기를 감행하는데 이때 숫놈은 아름다운 결혼 색을 나타내 바다의 공작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암놈을 발견한 숫놈은 10개의 팔다리를 번쩍 들어 무도회에 나온것처럼 춤추는 것 같이 빙빙 돌며 구혼한다.
구혼을 받은 암놈은 미성숙 단계라 힘없이 수놈에게 10개 팔다리를 내맡기고 물밑 안전지대로 이동해 짝짓기를 이루게 된다.
오징어는 1년생이 암놈은 입 주위에 정자를 저장했다가 12월께 산란장소에 도착해 30만∼50만개의 알을 산란한 후 일생을 마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