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Kosovo는...
2. Kosovo 전쟁의 원인들
3. 선택의 깔때기
2. Kosovo 전쟁의 원인들
3. 선택의 깔때기
본문내용
교단 설립되어 세르비아교회가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독립
*1389년
오스만 터키제국이 유럽 쪽으로 서진하면서 발칸반도 지배: 이후 500년간 통치.
: 세르비아를 중심으로 남슬라브족 기독교 연합군 장렬한 최후 맞이
: 보스니아의 슬라브족들 - 회교도 개종. 알바니아인들도 받아들임 코소보로 대거 이주
1698년
오스만 투르크에 저항한 세르비아인들 반란 실패 이후 코소보에서 세르비아인들 소수민족으로 전락
1878년
러시아가 오스만 투르크와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세르비아 독립
1912년
발칸전쟁 - 세르비아 코소보 정복 성공, 합병 多 이슬람 알바니아인들 추방
**1912년
알바니아인들은 이때 제국에 대항해 대규모 반란을 일으켜 마침내 제국군대 굴복시키고 독립 요구 이듬해 독립국으로 승인
1914년
세르비아 민족주의가 1차 세계대전 촉발
1차 대전 직후
세르비아인들과 몬테네그로인들 알바니아계 회교도들 학살
2차대전 中
처음에 코소보는 무솔리니 영향 하에 놓였고
1943년
나치 점령 하에 들어감 (이때, 多 알바니아인들 친나치 경향-세르비아인에게 잔혹한 행위
2차 대전 끝난 후
코소보의 1년여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유고슬라비아에 다시 통합 : 세르비아 공산주의 정권은 코소보를 반식민지 상태로 통치하면서 차별정책 통해 약 25만 명의 알바니아인들을 코소보에서 추방
1945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성립
1968년
(이런 상황에서)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폭력 시위로 저항 : 첫 독립 요구
**1970년경
알바니아어 실제 사용어 & 프리슈티나의 민족대학 설립 & 게양이 허용
1974년
(이를 계기로) 코소보는 헌법에서 광범위한 자치권을 획득
1980년
티토 사망 알바니아인 인구 구성비가 압도적인 코소보는 세르비아의 배타적 민족주의의 주요 공격 대상 말로세비치는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
1989년
코소보로부터 자치권의 상당부분을 박탈 알바니아인들이 주도했던 코소보 자치주 의회와 정부도 해산시킴 알바니아인들 대항해 이브라임 루고바가 이끄는 비폭력 민족주이 독립운동을 전개
1991~92년 사이
구유고연방이 해체되면서 코소보 의회도 독립선언
1996년
코소보 해방군 창설
코소보 지역의 역사(참고)
* : 세르비아의 코소보 자치권 주장사례, **: 알바니아인들의 주장
코소보 지도
참고 자료
코소보 사태와 그 경제적 영향-삼성경제 연구소
swim/코소보 이성민선교사 홈페이지
http://mission.swim.org/smlee/kosovo.html
구춘원, 코소보 전쟁과 유고슬라비아 분쟁의 구도
김경숙, 코소보분쟁의 평가 및 시사, 인문사회과학연구,1999년, 겨울 14집
http://www.ifans.go.kr
(외교 안보 연구원)
http://www.tgedu.net/student/go_sa/politics/politics_data/Kosobo/poli_data_Kosobo.html
http://www.kida.re.kr/woww
/(세계분쟁 사례연구 world warwatch)
발칸 반도의 분쟁 역사
www.nato.org
(북대서양 조약기구 홈페이지)
*1389년
오스만 터키제국이 유럽 쪽으로 서진하면서 발칸반도 지배: 이후 500년간 통치.
: 세르비아를 중심으로 남슬라브족 기독교 연합군 장렬한 최후 맞이
: 보스니아의 슬라브족들 - 회교도 개종. 알바니아인들도 받아들임 코소보로 대거 이주
1698년
오스만 투르크에 저항한 세르비아인들 반란 실패 이후 코소보에서 세르비아인들 소수민족으로 전락
1878년
러시아가 오스만 투르크와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세르비아 독립
1912년
발칸전쟁 - 세르비아 코소보 정복 성공, 합병 多 이슬람 알바니아인들 추방
**1912년
알바니아인들은 이때 제국에 대항해 대규모 반란을 일으켜 마침내 제국군대 굴복시키고 독립 요구 이듬해 독립국으로 승인
1914년
세르비아 민족주의가 1차 세계대전 촉발
1차 대전 직후
세르비아인들과 몬테네그로인들 알바니아계 회교도들 학살
2차대전 中
처음에 코소보는 무솔리니 영향 하에 놓였고
1943년
나치 점령 하에 들어감 (이때, 多 알바니아인들 친나치 경향-세르비아인에게 잔혹한 행위
2차 대전 끝난 후
코소보의 1년여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유고슬라비아에 다시 통합 : 세르비아 공산주의 정권은 코소보를 반식민지 상태로 통치하면서 차별정책 통해 약 25만 명의 알바니아인들을 코소보에서 추방
1945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성립
1968년
(이런 상황에서)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폭력 시위로 저항 : 첫 독립 요구
**1970년경
알바니아어 실제 사용어 & 프리슈티나의 민족대학 설립 & 게양이 허용
1974년
(이를 계기로) 코소보는 헌법에서 광범위한 자치권을 획득
1980년
티토 사망 알바니아인 인구 구성비가 압도적인 코소보는 세르비아의 배타적 민족주의의 주요 공격 대상 말로세비치는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
1989년
코소보로부터 자치권의 상당부분을 박탈 알바니아인들이 주도했던 코소보 자치주 의회와 정부도 해산시킴 알바니아인들 대항해 이브라임 루고바가 이끄는 비폭력 민족주이 독립운동을 전개
1991~92년 사이
구유고연방이 해체되면서 코소보 의회도 독립선언
1996년
코소보 해방군 창설
코소보 지역의 역사(참고)
* : 세르비아의 코소보 자치권 주장사례, **: 알바니아인들의 주장
코소보 지도
참고 자료
코소보 사태와 그 경제적 영향-삼성경제 연구소
swim/코소보 이성민선교사 홈페이지
http://mission.swim.org/smlee/kosovo.html
구춘원, 코소보 전쟁과 유고슬라비아 분쟁의 구도
김경숙, 코소보분쟁의 평가 및 시사, 인문사회과학연구,1999년, 겨울 14집
http://www.ifans.go.kr
(외교 안보 연구원)
http://www.tgedu.net/student/go_sa/politics/politics_data/Kosobo/poli_data_Kosobo.html
http://www.kida.re.kr/woww
/(세계분쟁 사례연구 world warwatch)
발칸 반도의 분쟁 역사
www.nato.org
(북대서양 조약기구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