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A. 문제제기
B. 연구 방법 절차
Ⅱ. 이론적 배경
A. 여성에게만 강조 되는 순결
B. 혼전 순결에 대한 생각
C. 순결을 잃는 것은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것인가?
D. 여성들에게 순결이 강조되는 양상
1. 순결 서약식
Ⅲ. 연구결과 및 문제점
A. 대중매체에서 강조 해온 순결
B. 순결 강조에 의한 행태
1. 처녀막 재생술
2. 순결 강박증
Ⅳ. 토론
Ⅴ. 결론
A. 문제제기
B. 연구 방법 절차
Ⅱ. 이론적 배경
A. 여성에게만 강조 되는 순결
B. 혼전 순결에 대한 생각
C. 순결을 잃는 것은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것인가?
D. 여성들에게 순결이 강조되는 양상
1. 순결 서약식
Ⅲ. 연구결과 및 문제점
A. 대중매체에서 강조 해온 순결
B. 순결 강조에 의한 행태
1. 처녀막 재생술
2. 순결 강박증
Ⅳ. 토론
Ⅴ. 결론
본문내용
는데 의외로 순결한 여성이라면 꼭 있어야 한다는 처녀막은 특별한 기능이 없다는 것을 발견 하게 되었다. 처음 성관계를 할때 통증과 함께 파열되어 대부분은 출혈을 나타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처녀막은 육체적은 상징으로 인식되어온 것이다.
우리 조에서 몇 가지 의견이 나왔는데 가장 괜찮다고 뽑은 것이 '질막'이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질에 있는 막이기 때문에 질막 이라고 지었고 처녁막이란 용어처럼 처녀와 그 외를 구분 짓지 않는 용어 이기 때문에 이것이 제일 대체 하기에 적합한 용어라고 우리조는 생각 했다. 어떤 이름이건 육체적으로 순결한 처녀의 상징이 아니라 단순한 얇은 막이어야 한다는 조원들의 생각 이었다.
9
Ⅴ. 결론( 및 제언)
성관계(SEX)라는 것은 여성이나 남성이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남성과 여성이 함께하는 행위인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어떤가? 혼전성관계를 가진 남성과 여성이 있다면 우리는 여성에게만 손가락질을 하고, 나중에 시집을 어떻게 가려고 하냐는 말들을 많이 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얼마 전 이슈가 되었던 'ㅇ양 비디오'사건을 들 수 있겠다. 비디오가 시중에 유통된 이후에 여자는 미국에서 체류하며 돌아오지 못할 조국을 그리워 하며 겨우겨우 생활을 이어가고 있고, 남자는 아무렇지도 않게 인터뷰까지 하면서 버젓이 지금 방송계에서 일을 하고 있다. 이것이 단지 순결의 문제는 아니겠지만 우리사회의 성 불평등을 여실히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여성의 순결은 목숨과도 바꿀 수 있다고들 말을 하지만, 남성이 순결(동정)을 지키는 사람 은 바보 취급받기 일쑤이며, 순결을 하나의 거추장스러운 것쯤으로 생각한다. 또한 남성에 게 있어서 여성의 성은 정복의 대상으로 여기지만, 정작 자신의 성은 정복을 위한 무기로 생각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순결이란 누구에 의해서 빼앗기거나 더럽혀지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여성에게 짐 지어졌던, 남성중심의 사회가 낳은 사슬에 불과하다.
순결, 그것은 분명 남녀 모두에게 똑같이 소중한 것이며, 이는 혼전뿐만 아니라 결혼 후에 도 사랑하는 남녀가 함께 믿음으로 가꿔나가는 것이다. 남녀가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고 배 려 하는 태도 속에서야말로 올바른 남녀 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까지 사회적 귀감이 되고 있는 여성의 순결과 정절, 선비들의 지조의 전통을 발전적 으로 계승하여 남녀가 동등하게 순결을 지키고 부부간에 정절과 지조를 지켜 행복하고 건 강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된다. 물론 과거의 모든 사실이 우리사회에 바람직한 성 개념 의 기초를 이룬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특정시대의 왜곡된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무조 건 순결운동에 반대하는 것은 자칫 성 대결만을 조장할 뿐 건전하고 올바른 청소년의 성 가치관을 확립시키는데 걸림돌만 될 것이다.
우리가 혼전 순결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여 남성위주의 성적인 관점을 바로 잡는 것은 여성 의 왜곡된 지위를 바로 잡는 차원일 것이고, 그것을 통해서 억압 없는 평등한 인류의 공생 을 도모하는 것일 것이다.
10
우리 조에서 몇 가지 의견이 나왔는데 가장 괜찮다고 뽑은 것이 '질막'이라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질에 있는 막이기 때문에 질막 이라고 지었고 처녁막이란 용어처럼 처녀와 그 외를 구분 짓지 않는 용어 이기 때문에 이것이 제일 대체 하기에 적합한 용어라고 우리조는 생각 했다. 어떤 이름이건 육체적으로 순결한 처녀의 상징이 아니라 단순한 얇은 막이어야 한다는 조원들의 생각 이었다.
9
Ⅴ. 결론( 및 제언)
성관계(SEX)라는 것은 여성이나 남성이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남성과 여성이 함께하는 행위인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어떤가? 혼전성관계를 가진 남성과 여성이 있다면 우리는 여성에게만 손가락질을 하고, 나중에 시집을 어떻게 가려고 하냐는 말들을 많이 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얼마 전 이슈가 되었던 'ㅇ양 비디오'사건을 들 수 있겠다. 비디오가 시중에 유통된 이후에 여자는 미국에서 체류하며 돌아오지 못할 조국을 그리워 하며 겨우겨우 생활을 이어가고 있고, 남자는 아무렇지도 않게 인터뷰까지 하면서 버젓이 지금 방송계에서 일을 하고 있다. 이것이 단지 순결의 문제는 아니겠지만 우리사회의 성 불평등을 여실히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여성의 순결은 목숨과도 바꿀 수 있다고들 말을 하지만, 남성이 순결(동정)을 지키는 사람 은 바보 취급받기 일쑤이며, 순결을 하나의 거추장스러운 것쯤으로 생각한다. 또한 남성에 게 있어서 여성의 성은 정복의 대상으로 여기지만, 정작 자신의 성은 정복을 위한 무기로 생각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순결이란 누구에 의해서 빼앗기거나 더럽혀지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여성에게 짐 지어졌던, 남성중심의 사회가 낳은 사슬에 불과하다.
순결, 그것은 분명 남녀 모두에게 똑같이 소중한 것이며, 이는 혼전뿐만 아니라 결혼 후에 도 사랑하는 남녀가 함께 믿음으로 가꿔나가는 것이다. 남녀가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고 배 려 하는 태도 속에서야말로 올바른 남녀 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까지 사회적 귀감이 되고 있는 여성의 순결과 정절, 선비들의 지조의 전통을 발전적 으로 계승하여 남녀가 동등하게 순결을 지키고 부부간에 정절과 지조를 지켜 행복하고 건 강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된다. 물론 과거의 모든 사실이 우리사회에 바람직한 성 개념 의 기초를 이룬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특정시대의 왜곡된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무조 건 순결운동에 반대하는 것은 자칫 성 대결만을 조장할 뿐 건전하고 올바른 청소년의 성 가치관을 확립시키는데 걸림돌만 될 것이다.
우리가 혼전 순결에 대한 문제를 고찰하여 남성위주의 성적인 관점을 바로 잡는 것은 여성 의 왜곡된 지위를 바로 잡는 차원일 것이고, 그것을 통해서 억압 없는 평등한 인류의 공생 을 도모하는 것일 것이다.
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