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입
Ⅱ. 사전 지식 ( Story 소개 )
1. 소설「링」
A. The Ring Virus (1991 - 공포소설)
2. 영화「링」
2. The Ring Spiral (1995 - 심령의학소설)
A. 「링」
B. 「링2」
C. 「라센」
Ⅲ. 심층 고찰
1. 소설과 영화의 가시적인 차이점
A. 소설 「링」과 영화 「링」의 차이점
B. 소설 「라센」과 영화 「라센」,「링2」의 차이점
나카타 히데오 감독 인터뷰
이이다 조지 감독 인터뷰
2. 소설과 영화에 나타난 특징
A. 친숙한 주제 (한, 모성애, 부성애, 인간복제)
B. 일상적이면서도 참신한 소재 (TV, 비디오 테이프, 거 울, 수첩)
C. 미스테리적 요소 & 치밀한 구성
D. 절제된 공포의 표현 & 음향
F. 처절한 생존법칙
E. 반전에 반전
Ⅳ. 결론
Ⅱ. 사전 지식 ( Story 소개 )
1. 소설「링」
A. The Ring Virus (1991 - 공포소설)
2. 영화「링」
2. The Ring Spiral (1995 - 심령의학소설)
A. 「링」
B. 「링2」
C. 「라센」
Ⅲ. 심층 고찰
1. 소설과 영화의 가시적인 차이점
A. 소설 「링」과 영화 「링」의 차이점
B. 소설 「라센」과 영화 「라센」,「링2」의 차이점
나카타 히데오 감독 인터뷰
이이다 조지 감독 인터뷰
2. 소설과 영화에 나타난 특징
A. 친숙한 주제 (한, 모성애, 부성애, 인간복제)
B. 일상적이면서도 참신한 소재 (TV, 비디오 테이프, 거 울, 수첩)
C. 미스테리적 요소 & 치밀한 구성
D. 절제된 공포의 표현 & 음향
F. 처절한 생존법칙
E. 반전에 반전
Ⅳ. 결론
본문내용
아니다." 그렇다면 과연 아사카와가 구한 것은 누구인가? 바로 사다코인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반전에 뒤이어 아사카와는 교통 사고를 당하게 된다
) 아사카와의 죽음에 대해서는 우리도 해석이 분분하다.
1. 아무 의미없는 단순한 사고다.
2. 협력자에서 이탈한 것에 대한 사다코의 응징.
.
「링」에서 비디오 테이프가 사다코의 저주의 매개체였다면, 「라센」에서는 수첩과 안도와 마이까지 매개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다코의 부활은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쳤기에 가능한 것으로,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과 비디오 테이프가 아닌 수첩으로 매개체가 변화되었다는 것, 안도와 마이의 경우처럼 사람 또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추리과정의 반전은 관객에게 무한한 공포로 다가오는 것이다.
F. 처절한 생존법칙
「링」의 마지막 장면은 소설과 영화가 동일하다. 다만 영화 「링」은 아들 요이치, 소설 「링」은 아내와 딸을 위해서라는 것이 다를 뿐이다. 그러나 '가족을 위해서'라는 부분은 두 작품이 동일하다. 가족의 몫을 아버지
) 영화에서는 아사카와의 아버지이나, 소설에서는 아사카와의 장인으로 서로 다르다.
에게 보여주면 가족은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라센」에서는 안도가 아들을 되살리기 위해서 사다코에게 협력하는 부분이 나온다.
물론, 형식적으론 '선택'이라는 모습을 취하고는 있지만 이들의 선택은 누가 보더라도 자발적이 아닌 강요된 선택이다. 다른 예를 들어보자. 미국의 영화 「Alive」에서 추락사고 이후 살아 남은 사람들은 생존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먼저 죽은 사람들의 고기를 먹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들은 살게 된다. 그러한 그들에게 人肉을 먹은 것에 대한 비난과 책임추궁을 할 수 있을까? 「링」에서 보여지는 그것과 성질은 다르지만, 극한 상황에서 인간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극히 제한적, 바꿔 말하면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소설「링」은 '공포'와 '미스테리'라는 양대 축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고 있다
) '공포'에 초점을 맞춘 「The Ring Virus」와 '미스테리'쪽에 큰 비중을 둔 「The Ring Spiral」에 이어 「The Loop」에서는 시공간을 초월한 SF적인 요소로 소설이 전개된다.
. 또한 영화「링」과 「링2」를 제작한 나카타 히데오 감독은 '공포'란 측면에 많은 비중을 두었으며, 「라센」을 제작한 이이다 조지 감독은 미스테리적 구성과 부성애를 연출하는데 고심했다고 한다. 이러한 원작과 영화의 차이점들은 영화가 가진 시간적 제약과 감독의 주체적 해석에 의한 것으로,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링2」와 「라센」은 전혀 별개의 작품으로 관객에게 다가오게 되었다.
영화「링」은 원작 소설의 치밀한 구성과 나카타 히데오 감독의 독창적인 재해석으로 소설과는 전혀 다른 「링」으로 재구성되었다. 그러나 친숙한 주제, 일상적이면서도 참신한 소재, 미스테리적인 구성, 원작의 치밀한 구성,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스토리 등의 요소가 적절히 배합되어 흥미면에서는 성공을 거두었다.
「라센」은 비록 구성에서 관객에게 지루한 느낌을 갖게 하였으나
) 父性愛가 지나치게 부각되어 관객으로 하여금 지루한 느낌을 들게 한다.
, 원작 소설의 탄탄한 구성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거기에 영화만의 요소인 배우의 뛰어난 연기로 관객에게 - 「링」만큼은 아니지만 - 재미를 선사하고 있다.
「링2」는, 「링」에서 보여진 나카타 히데오 감독의 독창적인 재해석을 이어받아 전형적인 호러영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스토리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다는 단점을 빼고는 호러영화로서의 매력은 충분히 가지고 있다.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감독에 의해 등장인물의 이름만 같을 뿐 전혀 다른 스토리를 갖게 된 것에서부터, 원작 소설을 그림과 소리로 듣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까지 「링」에서 갈라져 나온 여러 영화들은 원작 소설의 특징과 영화만의 특징이 서로 잘 어울림으로써 관객에게 사랑 받는 작품이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부록-1> 소설과 영화 「링」소개
링 시리즈는 1991년 처음 발행된 「The Ring」부터 「The Spiral(95)」「The Loop(98)」「The Birthday(99)」에 이르는 총 4편의 소설이다. 98년 한일문화개방 이후, 우리 나라에 수입 된 것은 (한국식표기로) 「링」,「링」,「라센」이상의 세 작품이다.
◎ 영화 「링」과 「링2」는 감독 작품, 「라센」은 감독 작품
부록-2> 다카야마의 Video Tape 분석
순서
영상 구분
나오는 시간 (초)
검은막(횟수)
추상/현실 구분
1
도입부
83
0
추상
2
붉은색의 유출
49
0
추상
3
三原山
55
11
현실
4
三原山 분화
32
6
현실
5
山 글자
56
0
추상
6
주사위
103
0
추상
7
노파
111
0
추상
8
아기
125
33
현실
9
무수한 얼굴
117
0
추상
10
낡은 텔레비젼
141
35
현실
11
남자 얼굴
186
44
현실
12
마지막
132
0
추상
< Reference >
⊙ 「링- 운명의 저주」, 씨엔씨미디어 , 스즈키코지 著 (1991) , 윤덕주 譯 (1998) ,
⊙ 「링2- 저주의 유전자」, 위와 同一
⊙ 「일본영화의 이해」, 현암사, 요모타이누히코 著, 박진열 譯, 2001.3.10
⊙ 「이것이 일본 영화다」, 아선미디어, 김시우 著, 1998.12.15
⊙ 「우리가 주목할 만한 일본영화100」삼진기획, 전운혁 著, 2000.12.28
⊙ 「하재봉의 영화읽기」, 예문, 하재봉 著, 1995.3.2
⊙ http://www.horrorzone.net/
⊙ http://www.ring-rasen.com/main.htm
⊙ http://blue.nownuri.net/~ring123/
⊙ http://www.cinebusan.com/
⊙ http://www.inkocinema.com/
⊙ http://sharef.hihome.com/video.htm
⊙ http://www.afdf.co.kr/
⊙ http://www.movist.com/
⊙ http://my.dreamwiz.com/delpi74/
) 아사카와의 죽음에 대해서는 우리도 해석이 분분하다.
1. 아무 의미없는 단순한 사고다.
2. 협력자에서 이탈한 것에 대한 사다코의 응징.
.
「링」에서 비디오 테이프가 사다코의 저주의 매개체였다면, 「라센」에서는 수첩과 안도와 마이까지 매개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다코의 부활은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쳤기에 가능한 것으로,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것과 비디오 테이프가 아닌 수첩으로 매개체가 변화되었다는 것, 안도와 마이의 경우처럼 사람 또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추리과정의 반전은 관객에게 무한한 공포로 다가오는 것이다.
F. 처절한 생존법칙
「링」의 마지막 장면은 소설과 영화가 동일하다. 다만 영화 「링」은 아들 요이치, 소설 「링」은 아내와 딸을 위해서라는 것이 다를 뿐이다. 그러나 '가족을 위해서'라는 부분은 두 작품이 동일하다. 가족의 몫을 아버지
) 영화에서는 아사카와의 아버지이나, 소설에서는 아사카와의 장인으로 서로 다르다.
에게 보여주면 가족은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라센」에서는 안도가 아들을 되살리기 위해서 사다코에게 협력하는 부분이 나온다.
물론, 형식적으론 '선택'이라는 모습을 취하고는 있지만 이들의 선택은 누가 보더라도 자발적이 아닌 강요된 선택이다. 다른 예를 들어보자. 미국의 영화 「Alive」에서 추락사고 이후 살아 남은 사람들은 생존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먼저 죽은 사람들의 고기를 먹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들은 살게 된다. 그러한 그들에게 人肉을 먹은 것에 대한 비난과 책임추궁을 할 수 있을까? 「링」에서 보여지는 그것과 성질은 다르지만, 극한 상황에서 인간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은 극히 제한적, 바꿔 말하면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소설「링」은 '공포'와 '미스테리'라는 양대 축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고 있다
) '공포'에 초점을 맞춘 「The Ring Virus」와 '미스테리'쪽에 큰 비중을 둔 「The Ring Spiral」에 이어 「The Loop」에서는 시공간을 초월한 SF적인 요소로 소설이 전개된다.
. 또한 영화「링」과 「링2」를 제작한 나카타 히데오 감독은 '공포'란 측면에 많은 비중을 두었으며, 「라센」을 제작한 이이다 조지 감독은 미스테리적 구성과 부성애를 연출하는데 고심했다고 한다. 이러한 원작과 영화의 차이점들은 영화가 가진 시간적 제약과 감독의 주체적 해석에 의한 것으로,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링2」와 「라센」은 전혀 별개의 작품으로 관객에게 다가오게 되었다.
영화「링」은 원작 소설의 치밀한 구성과 나카타 히데오 감독의 독창적인 재해석으로 소설과는 전혀 다른 「링」으로 재구성되었다. 그러나 친숙한 주제, 일상적이면서도 참신한 소재, 미스테리적인 구성, 원작의 치밀한 구성,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스토리 등의 요소가 적절히 배합되어 흥미면에서는 성공을 거두었다.
「라센」은 비록 구성에서 관객에게 지루한 느낌을 갖게 하였으나
) 父性愛가 지나치게 부각되어 관객으로 하여금 지루한 느낌을 들게 한다.
, 원작 소설의 탄탄한 구성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거기에 영화만의 요소인 배우의 뛰어난 연기로 관객에게 - 「링」만큼은 아니지만 - 재미를 선사하고 있다.
「링2」는, 「링」에서 보여진 나카타 히데오 감독의 독창적인 재해석을 이어받아 전형적인 호러영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스토리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다는 단점을 빼고는 호러영화로서의 매력은 충분히 가지고 있다.
위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감독에 의해 등장인물의 이름만 같을 뿐 전혀 다른 스토리를 갖게 된 것에서부터, 원작 소설을 그림과 소리로 듣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까지 「링」에서 갈라져 나온 여러 영화들은 원작 소설의 특징과 영화만의 특징이 서로 잘 어울림으로써 관객에게 사랑 받는 작품이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부록-1> 소설과 영화 「링」소개
링 시리즈는 1991년 처음 발행된 「The Ring」부터 「The Spiral(95)」「The Loop(98)」「The Birthday(99)」에 이르는 총 4편의 소설이다. 98년 한일문화개방 이후, 우리 나라에 수입 된 것은 (한국식표기로) 「링」,「링」,「라센」이상의 세 작품이다.
◎ 영화 「링」과 「링2」는 감독 작품, 「라센」은 감독 작품
부록-2> 다카야마의 Video Tape 분석
순서
영상 구분
나오는 시간 (초)
검은막(횟수)
추상/현실 구분
1
도입부
83
0
추상
2
붉은색의 유출
49
0
추상
3
三原山
55
11
현실
4
三原山 분화
32
6
현실
5
山 글자
56
0
추상
6
주사위
103
0
추상
7
노파
111
0
추상
8
아기
125
33
현실
9
무수한 얼굴
117
0
추상
10
낡은 텔레비젼
141
35
현실
11
남자 얼굴
186
44
현실
12
마지막
132
0
추상
< Reference >
⊙ 「링- 운명의 저주」, 씨엔씨미디어 , 스즈키코지 著 (1991) , 윤덕주 譯 (1998) ,
⊙ 「링2- 저주의 유전자」, 위와 同一
⊙ 「일본영화의 이해」, 현암사, 요모타이누히코 著, 박진열 譯, 2001.3.10
⊙ 「이것이 일본 영화다」, 아선미디어, 김시우 著, 1998.12.15
⊙ 「우리가 주목할 만한 일본영화100」삼진기획, 전운혁 著, 2000.12.28
⊙ 「하재봉의 영화읽기」, 예문, 하재봉 著, 1995.3.2
⊙ http://www.horrorzone.net/
⊙ http://www.ring-rasen.com/main.htm
⊙ http://blue.nownuri.net/~ring123/
⊙ http://www.cinebusan.com/
⊙ http://www.inkocinema.com/
⊙ http://sharef.hihome.com/video.htm
⊙ http://www.afdf.co.kr/
⊙ http://www.movist.com/
⊙ http://my.dreamwiz.com/delpi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