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의 특징 - 형태상의 발전양상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성곽(城郭)의 기원

Ⅲ. 성곽의 발달

Ⅳ. 성곽의 종류와 분류

Ⅴ. 성곽의 구조와 성내 시설

Ⅵ. 가장 한국적인 성 - 산성

Ⅶ. 결론

본문내용

도성인 경우 통치권인 핵심인 왕이 거처하는 궁성을 비롯한 나라를 통치하기 위한 중요 시설이 있었고, 산성의 경우에는 유사시 최소한의 시설인 우물, 창고건물 등이 있었다.
또 전투시 군사를 지휘하기 쉬운 지점에 장수의 지휘소인 장대도 있었는데 성 안 지형 중 가장 높고 관측이나 지휘가 용이한 곳에 두었으나, 성안 면적이 넓어서 한 곳에서 지휘하기가 곤란하면 지휘하기 편리한 곳에 두기도 하였다. 또 성 안팎에 정세의 급변을 알리는 봉수시설이 있었다.
이 밖에 삼국시대의 호국불교의 영향으로 성 안팎에 사찰이나 암자가 있어 승려가 머무르면서 수도하고 있다가, 유사시에는 무기를 들고 전장에 나가 싸운 사찰도 있다. 이를 승병이라고 하며 이것이 한국 불교의 큰 특색이다. 한 예로 북한산성에는 승병들을 위해 11개의 호국사찰과 2개의 암자가 있었다.
Ⅵ. 가장 한국적인 성 - 산성
우리 나라는 성이 발달한 중국과 다른 특성들이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우리 나라 국토의 70%가 산지(山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산지라는 특성을 형태, 기술, 위치, 구조의 네 가지 방향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형태라는 측면에서 보자. 우리나라의 성곽은 방형을 띤 중국이나 별 모양의 중세 서양의 성과 같이 어떤 일정한 형태를 갖고 있지 않다. 그냥 자연적인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복잡한 모양이 주류를 이루고 이런 이유로 산성이 많이 축조되었다. 축성재료 또한 산돌을 이용하거나 돌이 없는 산은 삭토법으로 성벽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시에 산성에 들어가 지키는 전통적인 전술로 따로 부대시설을 갖추지 않고 지형을 이용한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옹성·치성·망루 등의 시설을 따로 축조할 필요가 없어 성의 축조비용이 절감되었다.
다음으로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산지를 그대로 이용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재료 또한 산돌이 대부분이고, 이런 산돌을 포함하여 돌을 많이 이용하였다. 중국과 비교해 보면 중국은 판죽의 토성인데 비해, 우리나라의 성은 내탁(內托)의 석성(石城)임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축성 기술은 자연 할석의 평평한 한쪽면을 성벽의 바깥부분에 맞대어 쌓고 그 안쪽에 석재를 뗄 때의 부스러기를 넣으며, 다시 그 안쪽에 흙과 잡석을 채우는 내탁의 방법이다. 내탁법이 산성에서 성안 사람들이 성곽을 방어하기에 더 편리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성을 축조할 때 자연적인 경사면을 더욱 경사지게 하여 성벽으로 이용하는 삭토법이 발전하였다.
이제 위치에 대해 알아보자. 평지성은 물을 이용하여 자연을 이용한 방어선을 만들고 뒤는 험준한 산에 의지하기도 하는데, 산성에서는 넘겨다 보는산을 피하여 위로부터 공격을 못하도록 위치선정을 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 선정은 사람의 힘을 가장 덜 들이고 적을 방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형의 유리함을 활용하였다는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구조적 특징은 부대시설의 배치에 있어서 산의 능선을 많이 활용하여 축조하였다는 것이다.
Ⅶ. 결론
지금까지 여러 측면으로 우리나라의 성(城)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성(城)이라는 구조물은 과거의 전쟁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어 구축물로서 당시대의 기술력이 집성된 것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축성기술은 시대의 변화와 기술의 발달에 발맞추어 지속적인 발전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지금 우리가 보기에는 단순히 문화재나 관광지에 불과하게 되었지만, 그 속에 담겨져 있는 선조들의 기술력과 호국의 정신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목 차 ■
Ⅰ. 서론
Ⅱ. 한국 성곽(城郭)의 기원
Ⅲ. 성곽의 발달
Ⅳ. 성곽의 종류와 분류
Ⅴ. 성곽의 구조와 성내 시설
Ⅵ. 가장 한국적인 성 - 산성
Ⅶ. 결론

키워드

,   성곽,   발전,   전쟁사,   한국사,   한국미술사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2.0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