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미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쟁의 발발까지의 미국의 입장 - 실책의 연속

2. 미국의 참전과 종전

3. 경제적 영향

본문내용

져오기에 꾸준한 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전쟁 물자였던 전투기는 한국 전쟁 기간 중에 생산이 물론 늘기는 하였다. (51년은 50년 생산에서 100% 증가) 그러나 이는 2차 세계대전 당시였던 1944년과 비교할 때 이는 1/10~1/20에 지나지 않는 양으로 어떻게 보면 미미한 양에 불과해 큰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사실은 방위비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음 표는 40년대 방위비 지출액을 보여준다.
표 3-2) 미국 연방 정부의 방위비 지출 액수
연도
1940
1941
1942
1943
1944
1945
1946
1947
1948
1949
방위비 지출
2.2
13.8
49.3
79.7
87.4
73.5
14.7
9.1
10.7
13.3
(단위:10억 $, 출처: Economic Report of the President 1969; 『美國 經濟史 槪說』,1988.)
표 3-1에서 볼 때 1951년 국방비가 50년에 비해 2배 가까이 뛰기는 했지만 2차 대전 한창 당시의 1/2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다. 그런데 여기서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 보면 이는 정작 1/3 정도에 머무르고 만다. ( cf) 물가지수 1951년= 146.97 1944년=100 출처: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S.』 1958년版) 그렇다면 물론 영향이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이것이 미국 경제 회생의 주요 원인(main factor)라고 하기에는 근거가 너무 희박하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볼 때 그간 통설로 여겨졌던 "미국 경제가 한국 전쟁을 통해 그 활력을 찾았다."라는 주장은 확대 해석에 가까운 것이었다고 여겨지는 바이다.
참고문헌:
유재갑, 「한국전쟁과 한미관계의 성격」, 『한미관계의 재조명』, 김덕중·안병준·임희섭 編, 서울: 경남대학교 출판부, 1988
이규영, 『미국 경제사 개설』,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8
양동휴, 『미국 경제사 탐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U.S. the Bureau of Statistics Treasury Department,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G.P.O., 1951,1956,1958
United Nations, Statistical Yearbook: Annuaire Statistique, New York, 1955,1960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2.0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8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