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자 vs 노자
2. 맹자 vs 순자
2. 맹자 vs 순자
본문내용
타내는 것으로 후대에 끼친 영향이 크다. 송대 학자들의 비난은 순자의 맹자 비판과 성악설(성악설)의 오해에 의한 것일 뿐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또 순자의 유가경전(유가경전)을 전한 공적이 인정된다. 한비·이사(이사)가 순자의 제자였다는 설은 의심스럽다. 그 사상의 획일성과 현실적 요구에서 진(진)·한(한)의 제국주의가 편승하기 쉬운 점이 있었음은 사실이지만, 진·한초에 그의 학파가 활동한 것을 보아도 오히려 전제주의에 대한 비판이 되는 것이었다. 한갓 순자의 사상은 전국시대의 주관적 실천설에서, 《여씨 춘추》가 미숙하기는 하나 계승을 나타내고 있듯이 합리적 윤리 사상으로의 전환의 거보를 내딛고 있는 것인데,아직 전통에의 의존과 실천 합목적관의 제한에 불철저함이 있었던 것이현존의 《순자》 20권 32편은 한나라의 유향이 당시 있었던 322편을 편집하여 《손경신서》 32편으로 편찬한 것을, 당나라의 양량이 편의 순서를 바꾸고 주를 붙여 《손경자》라 하였고, 후에 간단히 《순자》라 불리게 된 것이다. 한 부분은 순자의 문인(문인)의 설(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순자》에는 부 10편의 저작이 있으며 지금은 2편으로 줄여서 수록되어 있다.
추천자료
도가철학,원시도가사상
동양철학 - 중국철학 (상고시대, 선진유학, 도가사상, 제자철학, 성리학)
한국정치의 문제점과 그 대안(유교적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장자의 사상
장자사상의 의미와 그 현실적 가치
동양철학
[과외]중학 도덕 중2-1-4 인물학습 02
중국의 사상과 유교
한국의종교 문화로 읽는다2권요약
[무위자연][무위자연 논리][무위자연 의미][무위자연과 아담신화][무위자연과 무위경영][무위...
[사회관][국가관][민족관][가족관][윤리관][세계관][자연관][사회][국가][민족][가족][윤리][...
동양사상(동양철학)과 사회, 동양사상(동양철학)과 도가, 동양사상(동양철학)과 유교, 동양사...
중국의 학술과 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