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노자. 순자. 맹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 노자. 순자. 맹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자 vs 노자

2. 맹자 vs 순자

본문내용

타내는 것으로 후대에 끼친 영향이 크다. 송대 학자들의 비난은 순자의 맹자 비판과 성악설(성악설)의 오해에 의한 것일 뿐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또 순자의 유가경전(유가경전)을 전한 공적이 인정된다. 한비·이사(이사)가 순자의 제자였다는 설은 의심스럽다. 그 사상의 획일성과 현실적 요구에서 진(진)·한(한)의 제국주의가 편승하기 쉬운 점이 있었음은 사실이지만, 진·한초에 그의 학파가 활동한 것을 보아도 오히려 전제주의에 대한 비판이 되는 것이었다. 한갓 순자의 사상은 전국시대의 주관적 실천설에서, 《여씨 춘추》가 미숙하기는 하나 계승을 나타내고 있듯이 합리적 윤리 사상으로의 전환의 거보를 내딛고 있는 것인데,아직 전통에의 의존과 실천 합목적관의 제한에 불철저함이 있었던 것이현존의 《순자》 20권 32편은 한나라의 유향이 당시 있었던 322편을 편집하여 《손경신서》 32편으로 편찬한 것을, 당나라의 양량이 편의 순서를 바꾸고 주를 붙여 《손경자》라 하였고, 후에 간단히 《순자》라 불리게 된 것이다. 한 부분은 순자의 문인(문인)의 설(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순자》에는 부 10편의 저작이 있으며 지금은 2편으로 줄여서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2.0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