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집트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관

2. 건축양식의 특성
▶ 건축재료
▶ 건축구조
▶ 건축형태
▶ 기둥형식

3. 분묘건축
▶ 건축개요
▶ 마스타바(Mastaba)
▶ 피라미드(Pyramid)
▶ 암굴분묘

4. 신전건축
▶ 건축개요
▶ 예배신전
▶ 장제신전

5. 기타건축
▶ 오벨리스크
▶ 스핑크스
▶ 주거건축

본문내용

적 소규모이고 건설이 용이한 암굴분묘을 대신 건설
ㆍ마스타바, 피라미드는 비공간적인 밀적체임에 반해 암굴분묘는 공간을 형성
ㆍ암굴의 일체식 석조건축임에도 불구하고 석조가구식 기법을 적용
ㆍ건축실례
아멘-엡-헤트(Amen Em Het)암굴분묘, 베니핫산, B.C. 1929년 그리이스의 도 리아식 주범의 원형인 16각 기둥과 주두를 사용
4. 신전건축
▶ 건축개요
ㆍ이집트의 독특한 종교관에 따라 현인신인 파라오(Pharao)와 태양신인 라(Ra) 와 암몬(Amon)을 위한 신전을 전국각지에 다수 건설
ㆍ종류
장제신전 또는 분묘신전 - 현인신 파라오를 위한 신전으로 피라미드적인 사 체보관소의 개념과 암굴분묘적인 공간성을 결합시킨 신전
예배신전 - 태양신인 라와 암몬과 그들의 방계신 들을 위한 예배의 신전
▶ 예배신전
ㆍ진입계획
진입로인 참도을 통하여 신전의 주출입구인 탑문에 접근
참도의 양쪽에 스핑크스를 배치하고 탑문의 전면에는 오벨리스크를 건립
ㆍ내부계획
탑문, 중정, 다주실, 성소의 순서로 직선축상에 배치
참도로부터 성소에 이르는 직선의 진입동선이 신전구성이 주축을 형성
중정에서 다주실을 거쳐 성소로 접근할수록 비닥은 높아지고 천장은 낮아서 공간의 투시효과를 창출
다주실은 상부에서 설치된 고측창을 통하여 채광
ㆍ형태
평지붕의 계단식 형태
신전 주위벽은 안쪽으로 70도 정도 경사진 조적조의 경사벽
참도로부터 성소에 이르는 주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태
ㆍ건축실례
카르낙의 암몬신전, 카르낙, B.C.1971~633년
룩소르의 암몬신전, 룩소르, B.C.1411~1225년
테베의 람세스2세 신전, 테베, B.C.1301년
[카르낙의 암몬신전]
[룩소르의 암몬신전]
[람세스2세 신전]
▶ 장제신전
ㆍ건축실례
멘투헤텝 신전, 델-엘-바하리, B.C.1991년 - 열주에 의해 지지되는 정방형 의 2중기단 위에 피라미드를 가설한 형태
해셉수트 여왕 신전, 델-엘-바하리, B.C.1501년 - 당시 이집트 왕궁 전속 건축가 센무트기 설계한 신전으로 산의 절벽을 배경으로 멘투헤텝 신전과 나 란히 배치되고 열주에 의해지지되는 3단의 넓은 테라스를 연결하는 직선의 경 사로를 통해 성소에 진입
람세스 2세 암굴신전, 아부심벨, B.C.1301년, 입구 전면에 4개의 거대한 조 각상이 위치한 암굴신전
5. 기타건축
▶ 오벨리스크
ㆍ신전의 정면에 위치한 단순기둥 형태의 석조탑
ㆍ왕권을 상징하며 신전진입시 엄숙감을 부여
ㆍ탑신에는 배흘림 기법을 적용했으며 왕권찬양, 전승 축사, 건립상황 등을 음각으로 조각
▶ 스핑크스
ㆍ피라미드 또는 신전에서 수호신이나 제단의 역할
ㆍ종류
수두인신 - 동물조상관에 따라 머리는 동물 몸은 사람의 형태
인두수신 - 신인동격관에 따라 머리는 사람 몸은 짐승의 형태
▶ 주거건축
ㆍ건축개요
이집트인의 종교관에 따라 주거는 일시적 거처로서 간주되었기 때문에, 다른 건축분야에 비해 발달이 부진
주로 흙벽돌과 목재를 이용하였으며 지붕은 평지붕
ㆍ건축실례
텔 엘 아마르나 주거 - 흙벽돌을 이용한 평지붕, 중정형식으로서 2층 규모의 귀족주택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2.10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