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우리 대중가요의 문제점
Ⅲ. 신세대 가요
Ⅳ. 맺음말
Ⅱ.우리 대중가요의 문제점
Ⅲ. 신세대 가요
Ⅳ. 맺음말
본문내용
그러나 문민정부 출범 이후 저항의 대상을 잃은 탓에 우리의 저항가요는 크게 흔들려 1992년 서태지가 출현하면서부터는 급격히 광채를 상실했다. 서태지의 노랫말은 이전의 방식을 골동품으로 만들면서 신세대 저항의 새로운 패턴을 확립했다.
‘심사의 세대. 닫힌 네겐 서툰 새 빛조차 두렵겠지만 난 좋기만 해. 난 더 기대가 돼. 너 다시 내게 짓궂게 굴 땐 가만 안 두리라. 넌 이제 울트라의 이름으로 심판 받으리라. 네 잣대로 다 우릴 논하다 조만간 넌 꼭….’ -서태지 ‘울트라맨이야’
서태지의 저항은 우리 사회의 계층적 분화(分化)가 가져온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서태지 이전만 해도 우리한테는 지배그룹과 좌파그룹만이 존재했다면 서태지 세대는 그 좌우와 무관하고 별도의 룰을 가지려는 이른바 ‘제3그룹’으로 일컬을 수 있다. 이들은 이전의 기성세대나 지배그룹에 강한 반감을 품고 있다. 따라서 음악적으로는 트로트 스윙 세대나 포크 민족음악 세대 모두와 완전히 격리된 셈이다.
힙합과 펑크, 헤비메탈 그리고 하드코어 등 부모가 싫어하는 음악들을 선호하는 것이 이를 생생히 말해준다. 이 ‘공격적 소외층’의 정서는 서태지(제3그룹의 리더?)나 DJ DOC(제3그룹의 기쁨조(?)의 노래에 잘 표현되어 있다.
5. 노랫말에 ‘혁명’은 없다
탈(脫)이데올로기든, 자기중심적이든, 공격적이든 이들의 과격한 표현법도 결국 사회가 여러 계층으로 분화 발전하는 데 따른 문화적 현상으로 관대하게 볼 필요가 있다. 서구사회가 보여주듯 기성세대의 외면은 사회 그룹들간의 대치를 심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대중가요는 사회적 산물이다. 우리가 부대끼고 살아가는 사회가 어떻게 흘러가느냐가 대중가요라는 채널에 그대로 반영된다. 사회는 시시각각 변화하는데 ‘요즘 노래는 왜 그래?’ 하고 반문한다면 그는 정지되고 박제된 시간 속에 사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반면 새롭게 쏟아지는 노래를 관심 있게 분석하면 신세대의 의식을 꾸준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의 형식은 급변하고 있다. 하지만 노래에 담긴 메시지는 쉽게 변하는 게 아니다. 아련한 사랑의 흥분이나 이별의 슬픔 그리고 다른 편의 기성문화에 대한 저항이 대중가요 정서에 근간을 이룬다는 사실은 시공을 초월해 변함이 없다. 아니 변할 수 없다. 적어도 대중가요의 노랫말에서 혁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러한 세대차이를 보는 각 세대의 눈이다.
Ⅳ. 맺음말---서로 다른 세대의 정서를 인정해야……
어차피 다른 방식으로 살아온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은 차선책이다. 젊은이는 어른을 인정하고 어른은 젊은이를 이해하는 것이다. 다른 세대의 정서를 우호적으로 받아들이는 ‘상호선린’이 존재하는 나라의 문화는 풍요롭다. 한두 가지 장르의 음악이 국내 가요계를 독점하는 편향은 어쩌면 정서적 대치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이러한 모순을 풀기 위해서는 먼저 기성세대의 관대함이
필요하다. 아울러 신세대 역시 기성세대를 이해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심사의 세대. 닫힌 네겐 서툰 새 빛조차 두렵겠지만 난 좋기만 해. 난 더 기대가 돼. 너 다시 내게 짓궂게 굴 땐 가만 안 두리라. 넌 이제 울트라의 이름으로 심판 받으리라. 네 잣대로 다 우릴 논하다 조만간 넌 꼭….’ -서태지 ‘울트라맨이야’
서태지의 저항은 우리 사회의 계층적 분화(分化)가 가져온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서태지 이전만 해도 우리한테는 지배그룹과 좌파그룹만이 존재했다면 서태지 세대는 그 좌우와 무관하고 별도의 룰을 가지려는 이른바 ‘제3그룹’으로 일컬을 수 있다. 이들은 이전의 기성세대나 지배그룹에 강한 반감을 품고 있다. 따라서 음악적으로는 트로트 스윙 세대나 포크 민족음악 세대 모두와 완전히 격리된 셈이다.
힙합과 펑크, 헤비메탈 그리고 하드코어 등 부모가 싫어하는 음악들을 선호하는 것이 이를 생생히 말해준다. 이 ‘공격적 소외층’의 정서는 서태지(제3그룹의 리더?)나 DJ DOC(제3그룹의 기쁨조(?)의 노래에 잘 표현되어 있다.
5. 노랫말에 ‘혁명’은 없다
탈(脫)이데올로기든, 자기중심적이든, 공격적이든 이들의 과격한 표현법도 결국 사회가 여러 계층으로 분화 발전하는 데 따른 문화적 현상으로 관대하게 볼 필요가 있다. 서구사회가 보여주듯 기성세대의 외면은 사회 그룹들간의 대치를 심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대중가요는 사회적 산물이다. 우리가 부대끼고 살아가는 사회가 어떻게 흘러가느냐가 대중가요라는 채널에 그대로 반영된다. 사회는 시시각각 변화하는데 ‘요즘 노래는 왜 그래?’ 하고 반문한다면 그는 정지되고 박제된 시간 속에 사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반면 새롭게 쏟아지는 노래를 관심 있게 분석하면 신세대의 의식을 꾸준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의 형식은 급변하고 있다. 하지만 노래에 담긴 메시지는 쉽게 변하는 게 아니다. 아련한 사랑의 흥분이나 이별의 슬픔 그리고 다른 편의 기성문화에 대한 저항이 대중가요 정서에 근간을 이룬다는 사실은 시공을 초월해 변함이 없다. 아니 변할 수 없다. 적어도 대중가요의 노랫말에서 혁명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러한 세대차이를 보는 각 세대의 눈이다.
Ⅳ. 맺음말---서로 다른 세대의 정서를 인정해야……
어차피 다른 방식으로 살아온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은 차선책이다. 젊은이는 어른을 인정하고 어른은 젊은이를 이해하는 것이다. 다른 세대의 정서를 우호적으로 받아들이는 ‘상호선린’이 존재하는 나라의 문화는 풍요롭다. 한두 가지 장르의 음악이 국내 가요계를 독점하는 편향은 어쩌면 정서적 대치에서 비롯된 것인지도 모른다. 이러한 모순을 풀기 위해서는 먼저 기성세대의 관대함이
필요하다. 아울러 신세대 역시 기성세대를 이해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민중가요.완벽대비
대중 매체와 여성학
사회 속 민중가요의 역사와 음악운동
[대중문화][한국대중문화][문화][미디어][매스미디어][대중매체][한국문화][대중]대중문화의 ...
[대중문화][대중매체][대중성]대중문화의 정의, 대중문화의 성격, 대중문화의 영향력, 미국의...
[대중문화][대중매체][대중][문화]대중문화의 정의, 대중문화의 발전과정, 대중문화의 이해와...
대중문화의 형성, 대중문화의 성격, 대중문화의 상식적 지식, 대중문화의 영향력, 대중문화와...
[대중문화][대중문화의 정의][대중문화의 발전과정][대중문화와 예술][대중문화 평가][대중매...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대학문화 민중가요
일본대중문화(일본문화)의 현황, 일상생활 속의 일본대중문화(일본문화), 일본대중문화개방(...
대중문화 수용자 역할, 미디어의 생산 방식, 프로슈머의 한계, 사례, 일시적 현상, 문화의 획...
[고대가요][공무도하가][황조가][해가][도솔가]고대가요의 역사, 고대가요의 이해, 고대가요...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긍정적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