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속 민중가요의 역사와 음악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 속 민중가요의 역사와 음악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화기의 소용돌이

창가의 변질과 민중가요의 맥

조직적인 음악운동의 상황

데모노래로조차 잇기 힘들었던 민중가요의 명맥

독자적 문화로 정립되기 시작한 민중가요

민중가요의 정착과 발전

행진곡의 서정성 획득과 비장한 서정가요, 그리고 음악 운동의 시작

두 가지 대중화의 성공, 노동가요의 정착과 대중 가요 권으로의 진출

본문내용

로 성립되었다. 1980년을 경험하면서 이전까지 취미서클의 성격을 벗지 못하고 있던 서울대 '메아리', 이대'한소리'등의 대학 노래서클들이 운동성을 획득하게 되었고, 이들이 대학을 졸업하고서 사회운동 속에서 노래활동을 시작했던 1984년부터 음악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이들의 작품은 역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진보적 지식인들의 노래였으므로, 그들 특유의 사고방식과 정서, 취향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다. 이들의 인식과 정서는 매우 치열했으나 생활의 냄새가 없었고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비장함이 과장되어 강조되었다. 이러한 노래문화가 보다 생활적이고 둔탁하면서도 튼튼한 노동자들의 인식과 정서를 받아들이는 데에는 7·8월 투쟁이라는 또 다른 변화가 필요했던 것이다.
두 가지 대중화의 성공, 노동가요의 정착과 대중 가요 권으로의 진출
1987년 6월 시민 항쟁과 7·8월 노동자 대 투쟁은 제 5 공화국을 무너뜨리고 제 6공화국의 여러 조건들을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되었다. 완전하지는 않지만 제5공화국 시절보다는 훨씬 많은 자유를 얻어냈다. 합법적으로 민주노조를 만들었고, 파업 등의 집단행동을 연례화시켰으며, 금지곡을 해금하고 검열을 완화시키겠다는 정치적 제스처나마 얻어냈다. 이 시기에 민중가요와 음악운동은 크게 두 가지의 성과를 만들어내었다. 하나는 노동가요의 성장이면, 다른 하나는 민중가요의 합법적 대중가요 공간으로의 진출이다. 또한 이 시기는 음악운동이 전국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다양한 음악운동집단들이 생겨나 음악적 폭이 넓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노동가요와 대중 가요권으로의 진출을 비롯한 이러한 민중가요, 음악운동의 성장과 함께 노조나 시민단체 등 비전문 노래패들의 조직과 활동도 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각 노동조합의 노래패는 지역별 협의체로 발전될 가능성까지 보이고 있다.
이상으로 사회 속의 민중가요의 역사와 음악 운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1990년대 들어 기존의 민중가요가 많이 쇠퇴되었다. 특별한 투쟁을 위한 정치적 상황이 많지 않았고, 또 사회적 성향이 데모와 학생운동은 지양되는 쪽으로 흘러가버려 민중가요의 자리는 더욱더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 과제를 준비하면서 민중가요를 한 번 공부해보자라는 마음가짐으로 했다. 그러나 역시 제일 중요한 것은 이런 이론적인 것에만 치우치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 내가 노래패 활동을 하고 있고 또 한 노래패를 이끌고 있는 위치에 있지만, 그것이 참 어렵다. 노래패의 활동성이 보장되어야 민중가요도 새로운 발전을 기약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형설 출판사, 신사회학 개론, 김영종 저
사회변동의 비교 사회학, 일신사, 그레이엄 크로우 지음, 박형신·이혜경 옮김
사회학 이론과 현실 인식, 민영사, 박영신 지음
현대 사회학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동원 외 12명
현대 사회학의 이론, 한길사, 전경갑 지음
인터넷 사이트 : 민중가요,
영남대학교 각 노래패 자료를 모아서 이용했습니다.
예사가락
법대 '새벽을 여는 노래'
사범대 '참새소리'
국문과 '민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2.18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