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교육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대안교육의 등장 배경
대안교육운동의 성격
대안학교의 종류

Ⅲ. 결론

본문내용

아이들이 어떻게 개인당 2평도 되지 않는다고 하는 작은 공간에 모여 앉아서, 시청각 교재라고는 하나 없이 칠판의 판서와 교사의 설명이 중심이 되는 일방적인 강의를 들을 수 있겠는가? 라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었다. 지금의 이러한 우리의 교육환경에 비교할 때 대안학교라고 하는 것은 다소 실험적일 수 있다. 지금까지 정리해 본,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가치'에 더한 교육이념, 지역 사회에 뿌리내린 '작은 학교'지향성, 교육주체의 원상회복이라는 세 가지 공통적 성격이외에도, 우리의 대안교육운동은 실천 상호간에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공동성'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차별성'도 분명 존재한다.
그런데 지금 현단계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서구의 이론과 틀에 맞추어 우리의 대안교육 실천들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 교육이념,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보다 많은 다양한 대안 교육 실천들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훌륭하고 쓸모 있는 '이론'은 많은 다양한 '실천'이 있은 후에야 비로소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주 개인적인 글을 쓰자면, 신영복씨는 "학교는 기존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종속의 땅'이기도 하지만, 그 연쇄의 고리를 끓을 수 있는 '가능성의 땅'이기도 하다."
)『나무야 나무야』中 「드높은 삶을 지향하는 진정한 합격자가 되십시오」, 돌베개, 신영복, 1996, p93
라고 말한 바 있다.
나는 이 말을 믿는다. '교육'의 힘이라는 것은 당장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을 통해 사람은 깨일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그러한 사람들에 의해 사회는 조금씩 변해가고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신념들이 내가 예비교사에 있는 지금이나, 또한 현장에 나갔을 때까지도 변치 않기를 소망한다.
지금은 교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이 너무나 좁아 때로는 포기하고자 하는 마음이 들 때도 있다. 하지만 빵점 학교때 나를 응시하는 아이들의 또렷한 눈동자를 보았을 때의 짜릿했던 전율을 떠올리면서 교직으로 나가고자 하는 나의 신념을 다시 한번 굳히며, 이 글을 마칠까 한다.
참고도서
『대안교육이란 무엇인가』, 내일을 여는 책, 정유성, 1997
『한국 교육의 비판적 이해』, 제 3세계 문화 연구소 편, 한울,1993
『한국 학력사회론』, 김부태, 내일을 여는 책, 1997
『페다고지』, 한마당, 파울로 프레이리, 1995
『제 2회 예비교사 교양대학 자료집』, 서울지역 사범대학 학생 대표자 협의회(서사협), 1996
『네 희망의 활 위에』, 예비교사 출범식 교양마당,서사협, 1996
『서사협 지역학교 자료집 이-이-이--야야-야』, 서사협, 1996
『팽팽하면 되리라』, 서사협, 1997
『실험학교 이야기』, 윤구병, 보리, 1995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하나의 문화, 조혜정, 1996
『대안교육운동에 대하여』, 서울평화교육센터, 고병헌, 1996
『대안학교의 모델과 실천』, 서울평화교육센터 엮음, 내일을 여는 책, 1996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2.1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