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교육론]현행 교사교육의 문제점 및 대안적 탐색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패러다임의 변화와 교사교육
1) 패러다임의 변화
2) 교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2. 교사교육의 역사적 고찰
1) 교사교육 대상자
2) 교사교육의 담당자
3) 교사교육의 내용
4) 교사교육의 방법

3. 현행 교사교육의 비판 및 문제점
1) 교사교육의 목적
2) 교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의 문제점
3) 교사교육 방법에서의 문제점

4. 교사교육의 대안적 탐색
1) 교사교육의 목적
2) 교사교육의 소재
3) 교사교육의 활동

5. 미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시사점
1) 인디아나 대학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2) 코네티컷 대학교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3)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 교육실습으로 구성하여 우리나라와는 달리 교양과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
6. 결론 및 논의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논의할 문제는 현재 우리가 대학에서 교사교육의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교수방법에 대한 검토가 면밀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교사교육 과정에 적용되고 있는 교육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사양성 교수방법의 가치를 재음미하고, 이를 교육의 재개념화에서 제시한 교육활동으로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새로운 교육활동소들을 찾아내는 기초작업이 될 것이다. 교사교육의 목적이 다양한 만큼 이에 상응하는 교육활동 또한 다양한 관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이는 매우 의의있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의 재개념화 관점을 교사교육에 적용시켜 본 기초 연구로서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들이 언젠가는 더 나은 연구의 촉매작용을 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기대한다. 본 논문은 교사교육에 관한 논의에 가르침과 배움의 현상을 포함시키고 그 가르침과 배움의 과정을 발전시킬 수 있는 메타교육을 교사교육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교사들의 교육 전문성을 높이고, 자신의 교육적 삶을 더 풍요롭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안이 처음 시도된 것은 아니나, 기존의 제안들은 교육학 고유의 학문적 영역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남의 땅에 농사를 지은 것이나 다름없다.
한 인간이 새로운 세계 속으로 들어가고 그것을 소유하고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은 배움의 과정을 통해서이다. 그런데 이 배움의 과정은 스승과의 적극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촉진된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교사는 학생을 '가진' 사람이며, 자기 학생을 새로운 세계로 입문시키는 것이 그의 임무이다. 교사는 학생이 아직 밟아 보지 못한 세계를 이미 거친 사람으로서, 자신이 거쳐온 세계에 학생들을 입문시키는 것을 주임무로 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이들 상호간에는 어느 정도의 긴장과 갈등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이들이 서로 희망하는 것은 이 갈등을 극복하고 언젠가는 이해의 눈길을 주고받는 순간일 것이다. 이러한 결실을 맛보기 위해서 교사는 자신의 학생을 이해하는 사람이 되어야 하고 이들을 새로운 세계로 이끄는 인도자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경동(1978). 현대의 사회학. 서울: 박영사.
김기석(1977). 교육과정 개혁과정에 관한 사회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기태, 조평호(2005). 미래지향적 교사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재우(1996). 교직교육론. 서울: 양서원.
김영우(1994).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교육학연구』, 32(4). 한국교육학회. 39-66.
김영채(1991). 『학습과 사고의 전략』. 서울: 교육과학사.
신기현(1995). 메타교육의 관점에서 본 임상장학.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노종희(1994). 교사교육 체제와 질 관리. 『교육학연구』, 32(4). 한국교육학회. 115-135.
신재철(1991). 교원과 교육학 교육. 『교육학연구』, 29(3). 한국교육학회. 1-10.
이윤식(1994). 교사자격과 임용. 『교육학연구』, 22(4). 한국교육학회. 77-105.
이종재(1990). 교사임용방법의 원칙과 선행과제. 『새교육』, 431.
장상호(1990). 교육의 정체혼미와 교육학의 과제. 『교육이론』, 5(1).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21-64.
장상호(1997). 교육의 재개념화에 따른 10가지 새로운 탐구영역. 『교육원리연구』, 2(1), 111-212.
정영수 외(1998). 『교사와 교육』. 서울: 문음사
정진곤(1997). 교사양성 과정에서의 교육학의 성격과 과제.『1997년도 연차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교육학회. 47-62.
정재철 외 (1983). 『교사교육 혁신을 위한 종합연구』. 서울: 문교부.
정태범(1994). 교원양성제도의 개선방향. 『한국교사교육』, 10호. 한국교사교육협의회.
조대연·권대봉(1998). 신임교사들을 위한 구조화된 현장훈련. 『교육학연구』, 36(1). 한국교육학회. 93-115.
최명선(1998). 교육적 체험의 존재론적 의미. 『교육학연구』, 36(1). 한국교육학회. 19-35.
최성욱(1996). 교과 교육학 논의의 반성적 이해와 대안적 접근. 『교육원리연구』, 1(1), 51-84.
최용섭(1984).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방법의 개선. 『한국교사교육』, 제1호. 한국교사교육협의회. 39.
한명희(1997).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1997년도 연차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교육학회. 1-22.
Arends, R. I.(1994). Learning to Teach. 2nd. New York: McGraw Hill.
Carr, W.(1990). Educational theory and its relation to educational practice. In Handbook of Educational Ideas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
Paston, H. S.(1973). Learning to Teach Art. Loncoln: Professional Educators, Publications.
Smith, D. E. P.(1961). Learning to Learn . New York: Harcourt, Brase & World.
Schneider, B.(1987). Tracing the provenance of teacher education. in T. S. Popkeweitz(Ed.). Critical Studies in Teacher Education. New York: The Popular Press. 장상호 역. 교사교육의 유래(미출간번역물)
Wragg, E. C.(1974). Teaching Teaching. New York: Abbot, David & Charles.
Wright, J.(1982). Learing to Learn in Higher Education. London: Croom Helm.
  • 가격2,9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8.19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