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배경
3.찰스피니의 초기사역
4.오벌린
5.장로교와의 갈등
6.찰스피니의 완전주의
7.찰스피니의 완전론에 대한 평가
2.배경
3.찰스피니의 초기사역
4.오벌린
5.장로교와의 갈등
6.찰스피니의 완전주의
7.찰스피니의 완전론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에 대한 완전한 순중에 있다. 하나님의 법은 오직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만을 요구 한다. 그러므로 천부적 능력에 근거하여 완전한 성화에 도달할 수 있다. 완전 성화는 각 개인의 책임이다.
6. 찰스 피니의 완전론에 대한 평가
찰스 피니의 말한 내용의 대부분은 그가 체험했던 내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의 완전주의교리와 회심, 체험 사이에는 필수적인 상호 보완 관계가 있었다. 피니는 분명, 완전상태(원숙한 사랑과 성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회심 체험은 지속되지 못안다고 믿었을 것이다. 그의 완전주의 교리와 회심 체험 사이에 존재하는 통일성은 그에게 있어서 지극히 중요한 요소였다.
첫째 피니는 기도교 온전론 이 하나님의 울법에 대한 온전한 순종 을 의미하며 인간이 그것을 행할 수 잇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하나님의 은헤보다 인간의 능력을 강조한다. 그의 완전론은 완전론으 내용과 거기에 도달하고 그것을 유지할 수있는 방법 사이에 본질적으로 모종의 모순을 안고있다.
둘째로 우리는 성화되기 위해 칭의를 받는 것이 아니라. 칭의를 얻기 위해 성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칭의는 성화에 의해 좌우되며 완전한 성화를 함축한다. 우리가 성화없이 칭의를 가질 수 있다는 말은 잘못이며 칭의없이 성화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이 옳다는 것이다. 칭의가 현재의 완전한 순종 , 완전한 성화 , 도덕적 완전 에 근거하며 또한 이러한 것들에 의하여 좌우되며, 이러한 것들이 지속되는 한도 내에서 지속된다는 주장은 본질적으로 개혁주의와 상치된다. 이런 성화와 칭의의 모호한 구분과 전도현상은 전통적인 칭의론과 성화ㅓ런을 뒤엎는 도전이다.
세번째로 비평해야 할 점은 결국 칭의 와 성화 를 전도시키고 완전성화 를 칭의의 전제조건으로 인식함으로 말미암아 피니가 점진적 성화의 개념의 배제하였다는 사실이다. 피니에 의하면 부분적으로 성화된 신자란 존재할 수 없다. 불완전한 성결은 있을 수 없으며 부분적으로 성화된 상태는 있을 수 없다. 이는 점진적 성화를 인정하는 견해와는 틀리다.
넷째로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달성과 달성에 대한 전망 사이의 긴장으로부터, 우리는 비판할 만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피니의 완전주의 사상전체는 ,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달성과 성공에 대한 합리적 희망을 통한 달성 대한 전망, 이 양자의 구별속에 내포된 태도와 행위 사이의 역동적 상호 작용에 관한 그의 개념에 의해 좌우된다. 성공에 대한 합리적 희망 을 가져야 할 필요성, 이것이 핵심적인 것이었다. 피니는 희망을 인간 노력의 주요동기로 보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피니는 완전의 획득을 성공에 대한 어떤 합리적인 희망으로 만듦으로써 완전에 대한 자신의 개념을 인위적으로 교묘히 치리한다.
찰스피니에 대한 이 역사적 교리적 고찰은 우리가 피니를 그들 자신의 역사적 맥락 즉 19세기 미국 부흥 운동의 흐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피니는 결코 전통적인 의미의 칼빈주의자는 아니다. 오히려 웨슬리안의 전통 속에서 그의 신학의 정 체성을 발견해야 할 것이다 그의 후기 신학은 초기보다도 더욱 반칼빈주의, 친알미니안주의적이었다. 피니의 완전주의 역시 웨슬리안 완전주의에서 빌려온 것이다.
초기 단계에 있어서 피니의 완전주의는 독창적인 고안물이 아니었으며 서부 뉴욕의 완전 주의를 확대시킨 것 내지 웨슬리 형의 완전주의와 뉴 디비니티의 그것을 수정한 것이었다.
참 고 문 헌
베실 밀러, 유양숙 역 , 찰스 피니의 생애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2.
장종철, 웨슬리의 교육신학, 감신대 출판사,1990.
박용규, 찰스 피니와 완전주의 신학지남, 1992.
세계인명사전.
Mary Boys , Educating in Faith.
6. 찰스 피니의 완전론에 대한 평가
찰스 피니의 말한 내용의 대부분은 그가 체험했던 내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의 완전주의교리와 회심, 체험 사이에는 필수적인 상호 보완 관계가 있었다. 피니는 분명, 완전상태(원숙한 사랑과 성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회심 체험은 지속되지 못안다고 믿었을 것이다. 그의 완전주의 교리와 회심 체험 사이에 존재하는 통일성은 그에게 있어서 지극히 중요한 요소였다.
첫째 피니는 기도교 온전론 이 하나님의 울법에 대한 온전한 순종 을 의미하며 인간이 그것을 행할 수 잇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하나님의 은헤보다 인간의 능력을 강조한다. 그의 완전론은 완전론으 내용과 거기에 도달하고 그것을 유지할 수있는 방법 사이에 본질적으로 모종의 모순을 안고있다.
둘째로 우리는 성화되기 위해 칭의를 받는 것이 아니라. 칭의를 얻기 위해 성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칭의는 성화에 의해 좌우되며 완전한 성화를 함축한다. 우리가 성화없이 칭의를 가질 수 있다는 말은 잘못이며 칭의없이 성화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이 옳다는 것이다. 칭의가 현재의 완전한 순종 , 완전한 성화 , 도덕적 완전 에 근거하며 또한 이러한 것들에 의하여 좌우되며, 이러한 것들이 지속되는 한도 내에서 지속된다는 주장은 본질적으로 개혁주의와 상치된다. 이런 성화와 칭의의 모호한 구분과 전도현상은 전통적인 칭의론과 성화ㅓ런을 뒤엎는 도전이다.
세번째로 비평해야 할 점은 결국 칭의 와 성화 를 전도시키고 완전성화 를 칭의의 전제조건으로 인식함으로 말미암아 피니가 점진적 성화의 개념의 배제하였다는 사실이다. 피니에 의하면 부분적으로 성화된 신자란 존재할 수 없다. 불완전한 성결은 있을 수 없으며 부분적으로 성화된 상태는 있을 수 없다. 이는 점진적 성화를 인정하는 견해와는 틀리다.
넷째로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달성과 달성에 대한 전망 사이의 긴장으로부터, 우리는 비판할 만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피니의 완전주의 사상전체는 , 그리스도인의 완전의 달성과 성공에 대한 합리적 희망을 통한 달성 대한 전망, 이 양자의 구별속에 내포된 태도와 행위 사이의 역동적 상호 작용에 관한 그의 개념에 의해 좌우된다. 성공에 대한 합리적 희망 을 가져야 할 필요성, 이것이 핵심적인 것이었다. 피니는 희망을 인간 노력의 주요동기로 보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피니는 완전의 획득을 성공에 대한 어떤 합리적인 희망으로 만듦으로써 완전에 대한 자신의 개념을 인위적으로 교묘히 치리한다.
찰스피니에 대한 이 역사적 교리적 고찰은 우리가 피니를 그들 자신의 역사적 맥락 즉 19세기 미국 부흥 운동의 흐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피니는 결코 전통적인 의미의 칼빈주의자는 아니다. 오히려 웨슬리안의 전통 속에서 그의 신학의 정 체성을 발견해야 할 것이다 그의 후기 신학은 초기보다도 더욱 반칼빈주의, 친알미니안주의적이었다. 피니의 완전주의 역시 웨슬리안 완전주의에서 빌려온 것이다.
초기 단계에 있어서 피니의 완전주의는 독창적인 고안물이 아니었으며 서부 뉴욕의 완전 주의를 확대시킨 것 내지 웨슬리 형의 완전주의와 뉴 디비니티의 그것을 수정한 것이었다.
참 고 문 헌
베실 밀러, 유양숙 역 , 찰스 피니의 생애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2.
장종철, 웨슬리의 교육신학, 감신대 출판사,1990.
박용규, 찰스 피니와 완전주의 신학지남, 1992.
세계인명사전.
Mary Boys , Educating in Fa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