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동기시대 경제생활의 변화상과 군장의 등장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1) 청동기시대 경제생활의 변화상
2) 군장의 등장이 갖는 사회적 의미
2. 6~7세기 삼국 관계와 대외항쟁에 관하여 설명해주세요.
1) 삼국 간의 치열한 항쟁
2) 고구려와 수의 전쟁
3) 고구려와 당의 전쟁
3. 신라 하대(말)의 1)동요 양상, 2)새로운 세력과 사상, 3)후삼국의 분열에 관하여 설명해주세요.
1) 신라 하대(말)의 동요 양상
2) 신라 하대(말)의 새로운 세력과 사상
3) 후삼국의 분열
4. 고려 초의 중앙집권화 정책에 관하여 서술해주세요.
5. 고려 전기 역사서 편찬과 역사 인식에 관하여 서술해주세요.
6. 참고문헌
1) 청동기시대 경제생활의 변화상
2) 군장의 등장이 갖는 사회적 의미
2. 6~7세기 삼국 관계와 대외항쟁에 관하여 설명해주세요.
1) 삼국 간의 치열한 항쟁
2) 고구려와 수의 전쟁
3) 고구려와 당의 전쟁
3. 신라 하대(말)의 1)동요 양상, 2)새로운 세력과 사상, 3)후삼국의 분열에 관하여 설명해주세요.
1) 신라 하대(말)의 동요 양상
2) 신라 하대(말)의 새로운 세력과 사상
3) 후삼국의 분열
4. 고려 초의 중앙집권화 정책에 관하여 서술해주세요.
5. 고려 전기 역사서 편찬과 역사 인식에 관하여 서술해주세요.
6.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렇게 되면 지금까지 커다란 정치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무훈 공신들의 세력은 자연히 약화되는 대신에 군주에게 충성을 본분으로 하는 신진인사들이 기용되어 왕권은 안정을 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광종대에는 두 차례에 걸쳐 관료들의 공복을 정비하였다. 우선 956년에는 백관의 의복을 중국의 제도와 같게 정하였다. 이어 960년(광종 11년)에는 원윤(元尹) 이상은 자삼(紫衫)으로, 중단경(中壇卿) 이상은 단삼(丹衫)으로, 도항경(都航卿) 이상은 비삼(緋衫)으로, 소주부(小主簿) 이상은 녹삼((綠衫)으로 공복을 개정하였다. 광종이 이렇게 공복에 크게 관심을 기울인 이유는 아마도 관료 제도를 정비하여 조정의 질서를 확립하려는 의도였다. 우리역사넷 홈페이지.
성종은 최승로가 올린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호족 세력을 포용하면서 중앙집권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성종은 신라시대부터 남아있던 잔재를 향직 개편을 통해 청산하였으며, 지방에 12목을 두었다. 그에 따라 지방에서 호족들의 권한이 크게 축소되었다.
성종은 지방 호족 자제를 뽑아 개경에서 교육시키고, 지방에 학교를 세우는 등 호족들이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되는 것을 장려하였다. 과거제가 안정적으로 시행되면서, 과거에 급제한 문신 관료들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성종의 중앙집권화정책이 효과를 거두면서 건국 이래의 정치적 혼란이 종식되고 국가체제가 안정되었다. 송찬섭 외(2017).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91~92페이지.
5. 고려 전기 역사서 편찬과 역사 인식에 관하여 서술해주세요.
고려시대에는 왕대별로 실록이 편찬되었다. 하지만 거란의 침입으로 개경이 함락될 때 모두 불탔고, 다시 자료를 모아 태조부터 제7대 목종까지의 <절대실록>을 편찬하였다. 그 이후에도 왕대별로 실록을 만들었지만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없다. 고려 전기의 역사서로는 박인량의 <고금록>, 예종 때 홍관이 지은 <속편년통재> 등이 있었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가락국가>는 <삼국유사>에 실려 전한다. 송찬섭 외(2017).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02페이지.
<삼국사기>는 고려시대의 학자인 김부식 등이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1145년(인종23년)경에 편찬한 삼국시대의 정사를 기록한 책으로 김부식의 주도하에 총 11인의 편사관에 의해서 편찬되었다. 본서의 서술 체제는 기전체이며, 내용에서도 유교 이념에 입각한 사론을 덧붙여 전형적인 유교적 역사관에 의해 정리되었다. 유교화를 통해 당시 사회의 혼란에 대처하려 했던 김부식은 정치적 실각으로 정책 추진이 좌절되자 삼국에 대한 역사 기술을 통해 고려의 위기적 상황이 유교적 이념의 붕괴에 따른 것이며, 위기의 유일한 극복 방안이 유교국가 건설에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다. 삼국사기는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입각해 쓰여졌기 때문에, 전통적인 신화나 설화와 같은 민간의 역사인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고, 왕실과 귀족 등 지배층의 관점에서 서술된 한계가 있다. 디지털장서각 홈페이지.
6.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7).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1~14페이지, 14~15페이지, 52페이지, 54~55페이지, 82~83페이지, 83~84페이지, 91~92페이지, 102페이지.
권용호(2023). 고구려와 수의 전쟁. 지식을만드는지식. 4페이지.
이성무,이희진(2013). 다시 보는 한국사. 청아출판사.
채웅석(2017). 지방사회의 동요와 호족의 등장. 한국고대사학회. 1~2페이지.
한국사수험연구소(2024).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시대고시기획. 6페이지.
디지털장서각 홈페이지.
우리역사넷 홈페이지.
광종대에는 두 차례에 걸쳐 관료들의 공복을 정비하였다. 우선 956년에는 백관의 의복을 중국의 제도와 같게 정하였다. 이어 960년(광종 11년)에는 원윤(元尹) 이상은 자삼(紫衫)으로, 중단경(中壇卿) 이상은 단삼(丹衫)으로, 도항경(都航卿) 이상은 비삼(緋衫)으로, 소주부(小主簿) 이상은 녹삼((綠衫)으로 공복을 개정하였다. 광종이 이렇게 공복에 크게 관심을 기울인 이유는 아마도 관료 제도를 정비하여 조정의 질서를 확립하려는 의도였다. 우리역사넷 홈페이지.
성종은 최승로가 올린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호족 세력을 포용하면서 중앙집권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성종은 신라시대부터 남아있던 잔재를 향직 개편을 통해 청산하였으며, 지방에 12목을 두었다. 그에 따라 지방에서 호족들의 권한이 크게 축소되었다.
성종은 지방 호족 자제를 뽑아 개경에서 교육시키고, 지방에 학교를 세우는 등 호족들이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되는 것을 장려하였다. 과거제가 안정적으로 시행되면서, 과거에 급제한 문신 관료들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성종의 중앙집권화정책이 효과를 거두면서 건국 이래의 정치적 혼란이 종식되고 국가체제가 안정되었다. 송찬섭 외(2017).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91~92페이지.
5. 고려 전기 역사서 편찬과 역사 인식에 관하여 서술해주세요.
고려시대에는 왕대별로 실록이 편찬되었다. 하지만 거란의 침입으로 개경이 함락될 때 모두 불탔고, 다시 자료를 모아 태조부터 제7대 목종까지의 <절대실록>을 편찬하였다. 그 이후에도 왕대별로 실록을 만들었지만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없다. 고려 전기의 역사서로는 박인량의 <고금록>, 예종 때 홍관이 지은 <속편년통재> 등이 있었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가락국가>는 <삼국유사>에 실려 전한다. 송찬섭 외(2017).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02페이지.
<삼국사기>는 고려시대의 학자인 김부식 등이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1145년(인종23년)경에 편찬한 삼국시대의 정사를 기록한 책으로 김부식의 주도하에 총 11인의 편사관에 의해서 편찬되었다. 본서의 서술 체제는 기전체이며, 내용에서도 유교 이념에 입각한 사론을 덧붙여 전형적인 유교적 역사관에 의해 정리되었다. 유교화를 통해 당시 사회의 혼란에 대처하려 했던 김부식은 정치적 실각으로 정책 추진이 좌절되자 삼국에 대한 역사 기술을 통해 고려의 위기적 상황이 유교적 이념의 붕괴에 따른 것이며, 위기의 유일한 극복 방안이 유교국가 건설에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다. 삼국사기는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입각해 쓰여졌기 때문에, 전통적인 신화나 설화와 같은 민간의 역사인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고, 왕실과 귀족 등 지배층의 관점에서 서술된 한계가 있다. 디지털장서각 홈페이지.
6. 참고문헌
송찬섭 외(2017).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1~14페이지, 14~15페이지, 52페이지, 54~55페이지, 82~83페이지, 83~84페이지, 91~92페이지, 102페이지.
권용호(2023). 고구려와 수의 전쟁. 지식을만드는지식. 4페이지.
이성무,이희진(2013). 다시 보는 한국사. 청아출판사.
채웅석(2017). 지방사회의 동요와 호족의 등장. 한국고대사학회. 1~2페이지.
한국사수험연구소(2024).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시대고시기획. 6페이지.
디지털장서각 홈페이지.
우리역사넷 홈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