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정리 - 고대사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정리 - 고대사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각 국가별 제천행사

2. 청동기와 철기보급

3. 양인확보 정책

4. 諸家(제가)권

5. 장수왕의 평양천도

6. 신라 골품제

7. 고대사회의 특징

8. 신라 왕호 변천

9. 초기불교

10. 고대 합의기구

11. 삼한의 벼농사

12. 신라하대사회

13. 단군신화로 보는 사회상

14. 8조법과 사회성격

15. 철기도입 사회변화

16. 삼국사회의 성격

17. 귀족 중심의 경제생활

18. 화랑도

19. 민정문서

20. 가야연맹

21. 삼국문화

22. 일본문화 전파

23. 나말과 여말의 공통적 특징

24. 원효

25. 신라 통일

26. 삼국의 지방제도

27. 삼국의 중앙조직

28. 호족

29. 6두품

30. 통일신라 정치제도

31. 통일 신라 중대 정치

32. 신라하대 불교변화

본문내용

불교의 민중화(대중화), 나무아미타불⇒정토종 보급
- 민간 문화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계기
25. 신라 통일
▷ 한강유역 점령
- 삼국항쟁에서 신라가 주도권
- 중국과 직접연결, 외교적 발판
- 한강의 인적.물적 자원확보
⇒ 삼국 통일의 기반
▷ 삼국통일 의의
- 나당전쟁을 통한 자주적 통일,
- 삼국민이 하나 되는 계기⇒민족국가 형성
- 민족문화 발달⇒보다 개방된 사회로 발전
▶ 포섭정책
- 귀족의 지위보장, 9서당 포함⇒신라의 기존질서에 편입
▷ 한계
- 외세의 의존, 전쟁에 의한 통일
- 대동강 이남의 통일(만주 상실), 불완전한 통일(후삼국 분열)
26. 삼국의 지방제도
- 지방을 동.서.남.북.중 이라는 방위 개념으로 5구역
- 중앙에서 지방관 파견
- 군사적 조직으로 편성, 지방관은 행정관과 군사권 관할
- 특수행정구역 설치(고-3경, 백-22답로, 신-2소경)
27. 삼국의 중앙조직
- 국왕을 중심으로 일원적인 통치체계
- 정복지를 행정구역으로 편제
- 관등제 마련(족장출신 귀족화)
- 귀족 합의제, 국왕 중심의 귀족정치
- 고 : 대대로 이하 10여 관등, 백 : 6좌평제, 16관등, 신 : 이벌판 이하 17관등
⇒ 국가의 발전에서 필요에 따라 기구 설치
28. 호족
- 토착적인 지방세력(촌주, 유력자)
- 중앙귀족들이 호족화(진골, 6두품, 군진세력)
- 세력권내에 독자적 권한(군사, 행정, 경제력, 백성지배)
- 선종과 결탁, 6두품 지식인층과 제휴
- 학교설치, 새로운 관료제 마련, 지방문화 향상
- 지방통제력 약화, 지방 개발사업에 따른 경제력 상승기반
- 견성오도, 불립문자⇒불국토 제시
- 풍수지리설 이용
⇒ 고려 왕조 개창
29. 6두품
- 신라 지배층, 신분제약(종교, 학문, 도당유학)
- 중대 왕권과 결탁(집사부)
- 신라 사회 신분제 반대, 비판(소극적), 나말에 호족과 결탁
⇒ 고려 건국 중심 역할
30. 통일신라 정치제도
▷ 중앙
- 당제 모방(집사성과 6전조직 체계)
- 집사성 마련⇒단일성(국무총괄 기능 약화)
- 시중의 지위 낮음
- 중앙관직이 당과 같이 실시×(골품제의 제약)
- 귀족세력의 대표기구인 상대등과 병부위주의 권력 구조
⇒ 신라사회의 미성숙성(당제모방×)
▷ 지방
- 주의 장관(군주)⇒총관⇒도독(민정장관)
- 군.현의 장관을 중앙에서 파견, 외사정 설치(감찰)
- 상수리 제도 실시(토착세력 통제)
- 소경 확대
▷ 소경
- 수도역할 보완, 지방세력 통제, 중앙문화 전파, 통치기반확보
⇒ 신라말 지방의 정치, 군사, 문화적 중심지⇒독자적 지방세력 성장 역할
31. 통일 신라 중대 정치
- 유교이념의 도입, 중앙집권적 관료정치 발달, 왕권전제화
▷ 신문왕 - 귀족세력 숙청, 전제왕권 확립
- 국학설립(유교정치이념 보급), 왕권의 전제화 사상적 정당화
- 중앙 관청 14개 정비
- 지방제 9주 5소경
- 군사 9서당 10정
▷ 전제왕권 강화 - 무열왕 계통의 직계자손의 왕위 독점 세습
- 문무왕의 삼국통일 완수, 신문왕의 귀족 숙청과 제도 정비
- 상대등의 지위 약화와 집사부 시중지위 강화
- 관청의 명칭이 중국화
- 신문왕 때의 만파식적
- 의상의 신라 화엄종 개창(불교 사찰 창건)
- 유교이념의 도입, 장자 상속제의 확립
32. 신라하대 불교변화
- 교종⇒선종
- 교종의 귄위와 형식에 반대
- 참선 중시, 선종 9산
- 호족들의 지지⇒지방분권적이며 기성권위 부정
- 고려왕조 개창의 사상적 기반
- 개인성향, 조형미술 쇠퇴
*도입기 불교 - 중앙집권 이데올로기 기능, 호국 불교, 샤머니즘적인 요소, 귀족계층
*중대불교 - 불교의 대중화, 불교의 교리연구 심화확대, 교파(종단)성립
한국적 불교(토착화)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