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구려 초기의 전쟁과 영토
3. 백제 초기의 전쟁과 영토
4. 신라 초기의 전쟁과 영토
5. 맺음말
2. 고구려 초기의 전쟁과 영토
3. 백제 초기의 전쟁과 영토
4. 신라 초기의 전쟁과 영토
5. 맺음말
본문내용
확립하고자 하였으나, 상주·김천 지역은 친가야계 속국들이 있던 지역으로서 영남지역에 있어서 가장 선진세력이었던 가야와의 본격적인 항쟁관계에 들어서게 된다. 이 항쟁기간에 있어서 신라에 비하여 훨씬 강대하였던 가야에 대항하여 신라는 왕권을 강화해나가며 중앙집권화를 완성해 나갔다. 그리하여 4세기 초반에 이르러서야 낙동강 서안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함과 함께 신라 내부적으로는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의 왕권강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동일 시기 백제의 동진으로 인한 압박으로 인하여 4세기 중반 이후 고구려의 군사력에 의지하여 백제와 가야의 압박을 해소하게 되면서, 고구려의 내정간섭을 받게 되고 실질적으로 고구려의 부용세력으로 전락하고 말게 된다. 그러나 신라의 실질적인 발전은 이 시기에 크게 진전되게 된다. 고구려의 선진군사기술의 도입이 이 시기에 이루어지게 되고, 고구려와 백제간의 전란 속에서 신라는 큰 전란없이 내부적 역량을 축적해 나갈 수 있었고, 이는 이후 5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한반도 내의 삼국 정립구조를 낳을 수 있는 모태가 되었다.
5. 맺음말
지금까지 삼국의 초기 발전과정과 전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삼국 모두 부족국가의 연맹체의 성격에서 고대국가로의 이양 단계에 있어서 외부에 대한 전쟁수행이 고대국가화를 촉진시켰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구려의 경우, 전쟁의 수행은 국가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적인 기반이 빈약했던 고구려의 경우 전쟁수행을 통해 얻은 전리품으로 그 경제를 지탱하였다. 그리고 그 전리품의 분배과정과 전쟁수행과정을 통해서 점차적으로 중앙집권화의 길을 걸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삼국이 전쟁수행을 통해서 영역을 확장하고 고대국가화되는 과정에 있어서 주변의 적대세력이 어떤 존재였는가에 따라 그 속도에 차이가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구려나 백제의 경우 주변에 부여, 낙랑, 요동 등 한반도 전체에 있어서 가장 강력하고 선진화되어 있는 세력들이 존재하였고 이들과 항쟁하는 과정을 통해서 중앙집권화가 빠르게 진행된 반면, 신라의 경우 비교적 주변세력들의 실력이 신라와 비슷하거나 약간 나은 정도로서 이들을 영역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앙집권화가 고구려나 백제에 비하여 느리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신라의 중앙집권화가 두두러지기 시작한 것은 고구려라는 강대세력이 남하하면서 이에 부용하였던 5세기 이후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을 통해서 부족하나마 삼국의 초기 성장에 있어서 전쟁수행과 영역화과정이 가진 의미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전쟁수행과 영역화 과정에서 군의 지휘체계의 일원화와 수취체계의 정비가 필요하였고, 주변세력이 강력할수록 이 과정이 빠르게 진행될 필요가 있었기에 고구려와 백제처럼 주변에 강국들과 일찍부터 항쟁하였던 국가들은 중앙집권화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진 반면, 신라는 그 과정이 비교적 완만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초기 국가의 전쟁수행과 영역화과정은 고대국가로 발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도학, 1997, 『백제사』, 푸른역사.
朴成熙, 1999, 「古代 三國의 史書 편찬에 대한 재검토」『震檀學報』88.
李基東, 1999, 『百濟史硏究』, 一潮閣.
노태돈, 2000,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이범직·김종연 편, 2000, 『한국인의 역사의식』, 청년사.
손영종, 2001, 『광개토왕릉비문연구』, 중심.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강좌한국고대사5 문자생활과 역사서의 편찬』.
國立慶州博物館, 2002, 『文字로 본 新羅』.
전덕재,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5. 맺음말
지금까지 삼국의 초기 발전과정과 전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삼국 모두 부족국가의 연맹체의 성격에서 고대국가로의 이양 단계에 있어서 외부에 대한 전쟁수행이 고대국가화를 촉진시켰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구려의 경우, 전쟁의 수행은 국가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적인 기반이 빈약했던 고구려의 경우 전쟁수행을 통해 얻은 전리품으로 그 경제를 지탱하였다. 그리고 그 전리품의 분배과정과 전쟁수행과정을 통해서 점차적으로 중앙집권화의 길을 걸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삼국이 전쟁수행을 통해서 영역을 확장하고 고대국가화되는 과정에 있어서 주변의 적대세력이 어떤 존재였는가에 따라 그 속도에 차이가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구려나 백제의 경우 주변에 부여, 낙랑, 요동 등 한반도 전체에 있어서 가장 강력하고 선진화되어 있는 세력들이 존재하였고 이들과 항쟁하는 과정을 통해서 중앙집권화가 빠르게 진행된 반면, 신라의 경우 비교적 주변세력들의 실력이 신라와 비슷하거나 약간 나은 정도로서 이들을 영역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앙집권화가 고구려나 백제에 비하여 느리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신라의 중앙집권화가 두두러지기 시작한 것은 고구려라는 강대세력이 남하하면서 이에 부용하였던 5세기 이후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을 통해서 부족하나마 삼국의 초기 성장에 있어서 전쟁수행과 영역화과정이 가진 의미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전쟁수행과 영역화 과정에서 군의 지휘체계의 일원화와 수취체계의 정비가 필요하였고, 주변세력이 강력할수록 이 과정이 빠르게 진행될 필요가 있었기에 고구려와 백제처럼 주변에 강국들과 일찍부터 항쟁하였던 국가들은 중앙집권화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진 반면, 신라는 그 과정이 비교적 완만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초기 국가의 전쟁수행과 영역화과정은 고대국가로 발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도학, 1997, 『백제사』, 푸른역사.
朴成熙, 1999, 「古代 三國의 史書 편찬에 대한 재검토」『震檀學報』88.
李基東, 1999, 『百濟史硏究』, 一潮閣.
노태돈, 2000,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이범직·김종연 편, 2000, 『한국인의 역사의식』, 청년사.
손영종, 2001, 『광개토왕릉비문연구』, 중심.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강좌한국고대사5 문자생활과 역사서의 편찬』.
國立慶州博物館, 2002, 『文字로 본 新羅』.
전덕재,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