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의 교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구려의 교육
1) 태학(중앙, 고등, 관학)
2) 경당(지방, 초등~고등, 사학)

2. 백제의 교육

3. 신라의 교육
1) 삼국의 신라 교육
2) 통일신라의 교육

본문내용

선덕여왕 9년에 도당유학 시작. 6두품이 다수
(5) 신라의 교육 사상가
① 원광 - 600년(진평왕 22년) 불교 지식을 신라에 보급.
- 세속오계는 화랑도의 중심이념이 됨.
- 호국불교를 정립함으로써 신라불교 발전에 기여.
- 교육이념 : 세속오계에 포함. 유교 + 불교
- 교육적 인간상 : 지·덕·체를 겸비한 화랑.
- 교수방법 : 신체적 훈련과 정신수양
② 원효 - 교육이념 : 화쟁사상(和諍思想) : 조화, 통일, 교육적 인간상 재정립 도움
- 교육적 인간상 : 오늘날의 전인의 이상과 흡사.
-교육방법 : 탁견 제시
③ 설총 - 원효대사와 요석공주의 아들
- 이두문(吏讀文)인 향찰을 집대성.
- 육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한문을 국어화 하는데 공헌.
- 교육이념 : 국왕의 교육이념(유덕선정을 베풀 수 있는 임금이 되도록 함)
- 교육방법 : 비유적 교육방법. [화왕계(花王戒)]
④ 최치원 - 28세에 시독을 임명하고 한람학사, 병부시랑을 지냄.
- 유·불·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려고 노력. [난랑비서][지증대사비서]
- 교육이념 : 사람됨의 길로서 이욕의 문을 막아 부모님께 받은 몸을 상하게 하지 않음
- 교육적 인간상 : 화랑도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3.18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