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오개념 재검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의 오개념 재검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풀어 놓는 글
1. 가설은 이론이 되고 이론은 법칙이 된다.
2. 가설은 경험에 의한 (근거가 있는) 추측이다.
3.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과학적 방법이 존재한다.
4. 신중하게 축적된 증거는 확실한 지식으로 귀착된다.
5. 과학과 과학의 방법은 절대적인 증명을 제공한다.
6. 과학은 창조적이기보다도 과정적이다.
7. 과학과 과학의 방법은 모든 질문에 답을 줄 수 있다.
8. 과학자들은 특히 객관적이다.
9. 실험은 과학적 지식에 이르는 주된 방법이다.
10. 과학에 있어서 모든 작업은 그 과정의 진실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조사된다.

Ⅲ. 마무리 짓는 글

본문내용

에 걸친 자세한 관찰로부터 유도된 관찰 증거를 사용하여 태양계에 대한 우리들의 견해를 변화시켰지만, 실험을 수행하지는 않았다.
찰스 다윈은 보통 자연과학과 연관된 실험적 기법보다 사회과학에서 사용되는 정량적인 기법과 더 유사한 조사 체제로서 그의 경력을 강조하였다. 그의 대부분의 혁명적인 발견들에 대해 다윈은 그러한 관찰에 관한 사색과 생각으로 주석을 단 노트에 그의 폭넓은 관찰들을 기록하였다. 비록 다윈이 베이컨에 의해 제안된 귀납적인 방법을 지지하였지만, 그는 사색이 없는 혹은 이해에 앞선 관찰들은 비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다윈에 의해 진전된 기법들은 영장류를 연구한 Goodall and Nossey과 같은 과학자들에 의해 폭넓게 사용되었다. 과학적 지식은 관찰, 분석, 사색, 문헌조사, 실험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된다.
10. 과학에 있어서 모든 작업은 그 과정의 진실성을 유지하기 위해 재조사된다.
(Myth 10: All Work in Science is Reviewed to Keep the Process Honest.)
종종 전통적인 과학적 방법의 최종단계는 연구자들이 그들의 결과를 의사전달하여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연구로부터 배우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실 보고서를 완성할 때, 학생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이 그 활동을 반복할 수 있을 만큼 명확히 그들의 방법을 제시하라는 것을 듣게 된다. 학생들이 이러한 요청으로부터 쉽게 기술하는 결론은 전문적인 과학자들 또한 서로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서로의 실험을 항상 재조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불행히도 그와 같은 검토 체계가 유용하다고는 하지만, 다른 사람들에 의해 검토된 한 사람의 과학자로부터 나온 결과들의 수는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적다.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너무나 바쁘고 연구자금도 이러한 형태의 재조사를 수행하기에는 너무나 제한되어 있다.
감시의 부족 결과는 최근에 과학 그 자체를 의심스럽게 만들고 있다. 학문적 신분보장, 개인적인 경쟁과 과 연구 자금에 대한 압박 떠문에 공공연한 과학적 기만의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그렇게 놀랄 일도 아니다. 그러나, 기만이 없다고는 하지만, 엄청나게 많은 양의 출판된 과학적 연구와 다른 사람들의 작업을 재생산하기보다는 새로운 정보를 생산하도록 하는 압력은 오류가 드러나지 않게 될 기회가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통념에 대한 재미있는 결과는 과학자들이 좀처럼 명백한 결과를 보고 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결과를 보고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과학 학술지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제대로 맞지 않는 것을 보고할 실수가 문제인 것이다. 특수한 과학적 학문에서 제대로 돌아가는 것들이 긍적적이든 부정적이든 현상과 관련한 모든 정보들에 접근할 수 있을 때, 그 학문 분야는 진보할 수 있다.
Ⅲ. 마무리 짓는 글
만약 힉생들과 그들의 교사들이 대담하게 이들 통념들을 사실이라고 여긴다면, 우리들은 과학교수와 과학교사 교육에 있어서 그 사실들과 원리들보다는 오히려 과학 그 자체에 관한 새로운 초점을 지원하여야 한다. 이것은 새로운 과학 연구계획 모두에서 중심적인 메시지 중의 하나이다.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AAS, 1993) 와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Research Council,1994) project 둘 모두는 학교 과학은 학생들에게 범례에서 벗어나 과학의 본성에 관한 통념에서 유래하는 과학, 오개념, 이상화된 것들을 실제적으로 경험할 기회를 부여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부적합한 견해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 "기어 다니는 여우 사냥개 (creeping fox terrier)"을 제거하기 위한 교과서의 신중한 재검토가 수반되는 과학의 실제적인 게임의 법칙에 관해 배우고 적용할 기회를 증가시켜야 한다. 절반의 진리 (half-truth)의 안개를 제거하고 완전한 빛 속에 과학을 드러내게 함으로써만이 과학의 장점과 한계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학습자들은 과학의 진실한 장관에 빠져들게 될 것이며, 그 과정과 산물들을 옳게 판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박승재,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1985.
2. 권재술ㆍ김범기,『과학 오개념 편람』(역학편), 1993.
3. 조희형ㆍ박승재,『과학론과 과학교육』, 서울대학교(복사본), 199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2.1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