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1) 발생기전, 2) 주요 증상(2가지 이상), 3)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를(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2.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후군(DIC)의 1) 발생기전, 2) 주요 증상(2가지 이상), 3) 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를(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10점).
3. 표적치료제의 1) 정의, 2) 암종별 대표적인 표적치료제, 3) 주요 부작용(2가지 이상), 4) 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를(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10점)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1) 발생기전, 2) 주요 증상(2가지 이상), 3)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를(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2.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후군(DIC)의 1) 발생기전, 2) 주요 증상(2가지 이상), 3) 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를(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10점).
3. 표적치료제의 1) 정의, 2) 암종별 대표적인 표적치료제, 3) 주요 부작용(2가지 이상), 4) 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를(2가지 이상) 제시하시오(10점)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HER2 단백질이 과다 발현되어 있다. HER2를 과발현하는 전이성 위암에 HER2를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항체인 허셉틴과 항암제를 함께 사용하며, HER2가 과발현된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의 경우 또 다른 HER2에 대한 단클론항체인 퍼제타를 허셉틴, 항암제와 함께 사용한다. 또, HER2의 표적치료제로 허셉틴에 세포독성 항암제를 부착하여 항체가 HER2와 결합하면 항암제를 암세포로 전달하는 방식의 치료제도 있다. 이러한 항체-약물 접합제는 약물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므로 부작용은 적고 높은 효과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허셉틴에 내성이 생긴 유방암 혼자에게 항체-약물 접합제인캐싸일라. 앤허투 등을 사용한다.
3) 주요 부작용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키나아제 억제제인 이레사, 타세바, 지오트립의 경우 피부 건조, 가려움, 구내염, 설사, 식욕부진, 오심 등의 부작용을 흔하게 보이며, EGFR에 대한 단클론항체인 얼비툭스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피부에 여드름성 발진, 피로, 발열, 오한, 오심, 설사, 알레르기 반응, 탈모 등이 나타난다.
HER2를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항체인 허셉틴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오한, 발열, 부종 등이 있고, 허셉틴 사용 환자의 약 20%는 심장독성이 보고되기 때문에 심장 기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 퍼제타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혈구수 감소, 설사, 식욕감퇴 등이 있다. 그리고 허셉틴 내성 유방암이나 위암 환자에게 사용하는 캐싸일라와 엔허투는 흔한 부작용으로 피로, 근골격 통증, 간 효소 수치 상승, 혈구소 감소, 탈모 등이 나타났고, 엔허투 투여 환자 중 약 10%는 간질성 폐질환·폐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4) 간호 중재
암 환자의 경우 면역 기능이 약해져 있으므로 감염에 노출되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면역 기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영양 지원과 생활 습관 개선을 돕고, 암 진단 및 치료 과정은 환자에게 스트레스와 불안을 유발하므로 환자에게 심리적 지원과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한다. 국가암정보센터, 표적치료제, https://www.cancer.go.kr/
4. 출처 및 참고문헌
Sophie Katz, MD, MPH,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2024), MSD 매뉴얼, 인플
루엔자, https://www.msdmanuals.com/
김태훈, (2024.12.30), 인플루엔자 유행세 확산··· 학령기 아동·청소년 ‘주의’,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412301356001
서울대학교 병원,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정보, 파종성 혈관 내 응고, http://www.snuh.org/
Michael B. Streiff, MD,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2023), MSD 매
뉴얼, 파종성 혈관내 응고(DIC), https://www.msdmanuals.com/
국가암정보센터, 표적치료제, https://www.cancer.go.kr/
3) 주요 부작용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키나아제 억제제인 이레사, 타세바, 지오트립의 경우 피부 건조, 가려움, 구내염, 설사, 식욕부진, 오심 등의 부작용을 흔하게 보이며, EGFR에 대한 단클론항체인 얼비툭스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피부에 여드름성 발진, 피로, 발열, 오한, 오심, 설사, 알레르기 반응, 탈모 등이 나타난다.
HER2를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항체인 허셉틴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오한, 발열, 부종 등이 있고, 허셉틴 사용 환자의 약 20%는 심장독성이 보고되기 때문에 심장 기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 퍼제타의 흔한 부작용으로는 혈구수 감소, 설사, 식욕감퇴 등이 있다. 그리고 허셉틴 내성 유방암이나 위암 환자에게 사용하는 캐싸일라와 엔허투는 흔한 부작용으로 피로, 근골격 통증, 간 효소 수치 상승, 혈구소 감소, 탈모 등이 나타났고, 엔허투 투여 환자 중 약 10%는 간질성 폐질환·폐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4) 간호 중재
암 환자의 경우 면역 기능이 약해져 있으므로 감염에 노출되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면역 기능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영양 지원과 생활 습관 개선을 돕고, 암 진단 및 치료 과정은 환자에게 스트레스와 불안을 유발하므로 환자에게 심리적 지원과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한다. 국가암정보센터, 표적치료제, https://www.cancer.go.kr/
4. 출처 및 참고문헌
Sophie Katz, MD, MPH,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2024), MSD 매뉴얼, 인플
루엔자, https://www.msdmanuals.com/
김태훈, (2024.12.30), 인플루엔자 유행세 확산··· 학령기 아동·청소년 ‘주의’,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412301356001
서울대학교 병원,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정보, 파종성 혈관 내 응고, http://www.snuh.org/
Michael B. Streiff, MD,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2023), MSD 매
뉴얼, 파종성 혈관내 응고(DIC), https://www.msdmanuals.com/
국가암정보센터, 표적치료제, https://www.cancer.go.kr/
키워드
추천자료
[기초간호학 공통] 1.면역에 관여 세포, 면역과 관련 4가지 형태 과민반응 특징과 질환 및 발...
기초간호과학 2019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초간호과학 자가면...
기초간호과학 2020년)아데노 바이러스,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 환자를 위한 간호 사정...
기초간호과학 2021 기초간호과학 1.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 2) 인플루...
기초간호과학 1.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
[기초간호과학] 1.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
기초간호과학 2021 [기초간호과학] 1.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의, 증상, 예방법 2) 인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 기초간호과학 2021 인플루엔자 바이...
기초간호과학 2021 기초간호과학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TP) 기...
기초간호과학 ) 1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의 발생기전 및 치료방법(약물치료 시 약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