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2. 본론
1) 아동 호흡기 구조와 기능
2) 개인력
3)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 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2. 본론
1) 아동 호흡기 구조와 기능
2) 개인력
3)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1
복합적 요인(가래, 질병, 연령으로 인한 치료 불이행)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가래가 자꾸 끓어요. 며칠 전에는 열도 나고 난리였어요.”-2019. pm 14:30
\"이거(호흡기치료) 안 한다고 자꾸 (떼내려고) 이래요.“-2019 pm 14:30
\"이거 (cipping) 해주면 싫다고 또 칭얼거려요.“-2019pm 14:40
1. 2019. acute laryngitis 진단.
2. 네뷸라이져 손으로 밀치며 거부하는 모습 보임-2019. pm 14:30(+O2 네뷸라이져 적용중임.)
3. 가래로 인해 컹컹거리는 기침 보임.-2019~
4. 일어나서 춤추며 놀다가 호흡 가빠지고 침대에 주저앉는 모습 보임.-2019 pm 13:40
5. V/S 결과 다음과 같았음.(호흡수 높음.)
<2019.>
17:35
19:00
21:00
22:00
23:50
T
38.5
37.4
37.6
36.8
38.1
P
138
R
46
38
BP
90/51
SPO2
13:00
05:00
08:30
9:00
13:00
17:00
21:00
T
38.1
37.9
38.3
38.3
36.7
37.2
37.3
P
136
147
148
R
38
32
36
BP
110/61
100/80
SPO2
100%
100%
<2019..>
6. 2019. rhinovirus와 RSV 검사 결과 positive임.
사정
사정 내용
호흡 횟수
입원 당시 46회.->입원 후 28~32회로 변화.
호흡 깊이
빠르고 얕은 호흡
호흡 용이성
입을 벌린 채로 호흡함.
숨 쉴 때 코를 벌렁거리며 비강 캐뉼라 적용하고 있음.
호흡 리듬
호흡 횟수는 많고 깊이가 얕음.
기침 양상
기침을 할 때 가래를 동반하며(기관지염으로 번졌을 것으로 추정) 컹컹거리는 소리가 남.
호흡음
청진기로 청진했을 때 wheezing sound 남.
호흡음이 비교적 규칙적으로 들림.
7.. 호흡양상 사정결과 다음과 같음.-2019
간호목표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호흡깊이, 호흡리듬 , 청색증 등)을 보인다.
단기목표
4일 안에 O2 제거 후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1. 비약물적 간호를 수행한다.
1) 치료적 중재를 시행한다.
1)-1. 2019. pm 14:30 네뷸라이저 치료를 거부하는 모습 보여 다른 곳으로 관심 돌리는 전환요법 사용함.
(평소 좋아하는 뽀로로 영상 시청하도록 하며 네뷸라이져 실시함.)
1)-2. 2019. 가습요법을 적용함.
1)-3. 2019 pm 14:40 등 두드리는 기구 통해서 가래배출 용이하도록 도움,
1)-4. 2019.~ 바이브레이터 적용함.: QID at RULF, RLLF(우상엽과 우하엽)
1)-5.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 횟수: 36회/min
호흡 횟수: 32회/min
호흡 깊이: 얕고 빠름
호흡 깊이: 얕고 빠름
호흡 리듬: 비교적 규칙적
호흡 리듬: 비교적 규칙적
호흡음: wheezing
호흡음: wheezing
2) 보호자 교육을 수행한다.
2)-1. 2019 pm 13:00 보호자에게 환아가 물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함. -> “물 많이 마시도록 해주거나 물이 싫다고 하면 좋아하는 음료수 있다면 마시게 하면 좋습니다.” <2019. 보호자가 컵으로 환아에게 물 건네는 모습 관찰함.>
2)-2. 2019. pm 13:40 복도에서 보호자와 산책 시 손으로 폴대를 잡고 뛰어다니며 숨 거칠어지며 컹컹소리나는 가래섞인 기침하는 것 관찰.(기관지 염으로 번짐) > 보호자에게 호흡곤란이 오지 않도록 적절한 활동조절이 필요함을 설명함. <2019. pm 14:00 대상자가 혼자 폴대 잡고 뛰려 하자 보호자가 손 잡고 제지하는 모습 관찰함.>
습도를 높여 분비물을 액화시켜 배액을 촉진한다.
찬 습기는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고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혈관수축을 돕는다. 분무기로부터 나오는 찬 증기를 쐬어주면 급성 후두경련과 호흡곤란이 수 분 내에 완화된다. 병원에서는 습도를 높여줄 수 있다.
에너지 보전법은 피로, 호흡곤란, 산소소비를 줄인다.
2. 약물적 치료를 수행한다.
1) 분비물로 인하여 좁아진 기관지 확장을 위한 호흡기치료를 실행한다.
1)-1 2019 풀미코트를 진해거담제로써 네뷸라이져 통해 12시간마다 적용중.
2) 2019.~ 레보투스 시럽 진해거담제로써 2ml를 경구로 하루 3번 적용중.
3) 2019.~ 코프시럽을 진해거담제로써 경구로 2.5ml 하루 세 번 적용중.
4) 2019.12.13 ephinephrine IV로 의사 지시에 따라 적용중.
진해거담제는 가래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다.
간호평가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호흡깊이, 호흡리듬 , 청색증 등)을 보인다.
->2019 pm 16:00 호흡수 28회로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가래섞인 기침 하는 것 관찰함. (미달성)
4일 안에 O2 제거 후 정상적 호흡양상을 보인다.
->2019 pm 16:30 O2 제거 안하여 확인 못함. (미달성)
Ⅲ. 결론
사례연구를 통해 감기와 이러한 크루프 질병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연구한 급성 기관지염 아동의 간호중재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실제로 학생간호사로서 해줄 수 있는 중재에는 또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호에 대한 지식을 배우는 입장으로써 아동이 회복하여 퇴원하였을 때에 건강하고 밝은 모습으로 갈 수 있도록 사소한 것이지만 빠른 회복을 위해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필요를 느낄 수 있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간호의 방법을 공부하고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었고 이러한 점에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느꼈다.
이번 급성 후두염 사례연구를 통한 경험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실제 아동을 마주하였을 때 좀 더 포괄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에 뒷받침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아동건강 회복간호 (김미예, 구현영, 권윤정, 권인수 등/ 수문사)
2. KMLE 의학정보 검색엔진
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송미령, 고영, 오현진, 부전주 공역/ 현문사)
#1
복합적 요인(가래, 질병, 연령으로 인한 치료 불이행)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가래가 자꾸 끓어요. 며칠 전에는 열도 나고 난리였어요.”-2019. pm 14:30
\"이거(호흡기치료) 안 한다고 자꾸 (떼내려고) 이래요.“-2019 pm 14:30
\"이거 (cipping) 해주면 싫다고 또 칭얼거려요.“-2019pm 14:40
1. 2019. acute laryngitis 진단.
2. 네뷸라이져 손으로 밀치며 거부하는 모습 보임-2019. pm 14:30(+O2 네뷸라이져 적용중임.)
3. 가래로 인해 컹컹거리는 기침 보임.-2019~
4. 일어나서 춤추며 놀다가 호흡 가빠지고 침대에 주저앉는 모습 보임.-2019 pm 13:40
5. V/S 결과 다음과 같았음.(호흡수 높음.)
<2019.>
17:35
19:00
21:00
22:00
23:50
T
38.5
37.4
37.6
36.8
38.1
P
138
R
46
38
BP
90/51
SPO2
13:00
05:00
08:30
9:00
13:00
17:00
21:00
T
38.1
37.9
38.3
38.3
36.7
37.2
37.3
P
136
147
148
R
38
32
36
BP
110/61
100/80
SPO2
100%
100%
<2019..>
6. 2019. rhinovirus와 RSV 검사 결과 positive임.
사정
사정 내용
호흡 횟수
입원 당시 46회.->입원 후 28~32회로 변화.
호흡 깊이
빠르고 얕은 호흡
호흡 용이성
입을 벌린 채로 호흡함.
숨 쉴 때 코를 벌렁거리며 비강 캐뉼라 적용하고 있음.
호흡 리듬
호흡 횟수는 많고 깊이가 얕음.
기침 양상
기침을 할 때 가래를 동반하며(기관지염으로 번졌을 것으로 추정) 컹컹거리는 소리가 남.
호흡음
청진기로 청진했을 때 wheezing sound 남.
호흡음이 비교적 규칙적으로 들림.
7.. 호흡양상 사정결과 다음과 같음.-2019
간호목표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호흡깊이, 호흡리듬 , 청색증 등)을 보인다.
단기목표
4일 안에 O2 제거 후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1. 비약물적 간호를 수행한다.
1) 치료적 중재를 시행한다.
1)-1. 2019. pm 14:30 네뷸라이저 치료를 거부하는 모습 보여 다른 곳으로 관심 돌리는 전환요법 사용함.
(평소 좋아하는 뽀로로 영상 시청하도록 하며 네뷸라이져 실시함.)
1)-2. 2019. 가습요법을 적용함.
1)-3. 2019 pm 14:40 등 두드리는 기구 통해서 가래배출 용이하도록 도움,
1)-4. 2019.~ 바이브레이터 적용함.: QID at RULF, RLLF(우상엽과 우하엽)
1)-5.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 횟수: 36회/min
호흡 횟수: 32회/min
호흡 깊이: 얕고 빠름
호흡 깊이: 얕고 빠름
호흡 리듬: 비교적 규칙적
호흡 리듬: 비교적 규칙적
호흡음: wheezing
호흡음: wheezing
2) 보호자 교육을 수행한다.
2)-1. 2019 pm 13:00 보호자에게 환아가 물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함. -> “물 많이 마시도록 해주거나 물이 싫다고 하면 좋아하는 음료수 있다면 마시게 하면 좋습니다.” <2019. 보호자가 컵으로 환아에게 물 건네는 모습 관찰함.>
2)-2. 2019. pm 13:40 복도에서 보호자와 산책 시 손으로 폴대를 잡고 뛰어다니며 숨 거칠어지며 컹컹소리나는 가래섞인 기침하는 것 관찰.(기관지 염으로 번짐) > 보호자에게 호흡곤란이 오지 않도록 적절한 활동조절이 필요함을 설명함. <2019. pm 14:00 대상자가 혼자 폴대 잡고 뛰려 하자 보호자가 손 잡고 제지하는 모습 관찰함.>
습도를 높여 분비물을 액화시켜 배액을 촉진한다.
찬 습기는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고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혈관수축을 돕는다. 분무기로부터 나오는 찬 증기를 쐬어주면 급성 후두경련과 호흡곤란이 수 분 내에 완화된다. 병원에서는 습도를 높여줄 수 있다.
에너지 보전법은 피로, 호흡곤란, 산소소비를 줄인다.
2. 약물적 치료를 수행한다.
1) 분비물로 인하여 좁아진 기관지 확장을 위한 호흡기치료를 실행한다.
1)-1 2019 풀미코트를 진해거담제로써 네뷸라이져 통해 12시간마다 적용중.
2) 2019.~ 레보투스 시럽 진해거담제로써 2ml를 경구로 하루 3번 적용중.
3) 2019.~ 코프시럽을 진해거담제로써 경구로 2.5ml 하루 세 번 적용중.
4) 2019.12.13 ephinephrine IV로 의사 지시에 따라 적용중.
진해거담제는 가래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다.
간호평가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호흡양상(호흡수, 호흡음, 호흡깊이, 호흡리듬 , 청색증 등)을 보인다.
->2019 pm 16:00 호흡수 28회로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가래섞인 기침 하는 것 관찰함. (미달성)
4일 안에 O2 제거 후 정상적 호흡양상을 보인다.
->2019 pm 16:30 O2 제거 안하여 확인 못함. (미달성)
Ⅲ. 결론
사례연구를 통해 감기와 이러한 크루프 질병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연구한 급성 기관지염 아동의 간호중재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실제로 학생간호사로서 해줄 수 있는 중재에는 또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간호에 대한 지식을 배우는 입장으로써 아동이 회복하여 퇴원하였을 때에 건강하고 밝은 모습으로 갈 수 있도록 사소한 것이지만 빠른 회복을 위해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필요를 느낄 수 있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간호의 방법을 공부하고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었고 이러한 점에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느꼈다.
이번 급성 후두염 사례연구를 통한 경험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실제 아동을 마주하였을 때 좀 더 포괄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에 뒷받침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아동건강 회복간호 (김미예, 구현영, 권윤정, 권인수 등/ 수문사)
2. KMLE 의학정보 검색엔진
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송미령, 고영, 오현진, 부전주 공역/ 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급성인두편도염 케이스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급성편도염 Acute Tonsilitis 실습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호흡기계 간호과정 적용가능!
급성위장염(AGE) 케이스 스터디
아동 급성 세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A++++++++++
급성장염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실습 A+/ 급성 인두편도염 CASESTUDY(간호과정)/SOAPIE/간호진단5개, 간호과정5개
아동간호학실습 Case study(AGE, Acute Gastroenterit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