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변요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배변의 생리 및 정상 장배설 기전

2. 배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장배설 장애의 종류와 원인

4. 장배설 장애와 관련된 약물종류

5. 배변장애와 관련된 간호과정

6. 관장의 종류와 적응증

7. 관장의 절차

본문내용

브 끝에 윤활제를 바름.
· 침상 주위에 타월을 준비함.
· 반창고를 준비하여 삽입 후 허벅지에 부착시킴
· 튜브 삽입의 확인은 튜브 끝을 불에 담가 공기가 나오는지 확인함.
· 장내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물이 담긴 용기를 준비해서 튜브를 담가둔다.
* 장훈련 프로그램
- 대상자의 일상 배변습관과 정상배변을 촉진 또는 방해 요소 파악.
- 대상자와 함께 다음과 같이 계획함.
· 하루에 2500~3000ml의 수분섭취
· 섬유성 식이섭취 증가
· 특히, 평소 배변시간 전에 뜨거운 음료섭취
· 운동증가
- 2~3주 동안 매일 실시.
· 대상자의 배변시간 30분 전에 하제 투여.
· 변의를 느끼면 화장실에 가도록 도와주거나 변기 제공.
· 배변 동안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고 시간을 제한시킴(30~40분 정도)
· 대상자에게 앞쪽으로 기대어 복부를 손으로 누르고 변을 보게 하는데 이 방법은 결장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치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긴장은 주지 않도록 함.
- 대상자가 성공적으로 배변했을 때 칭찬 하고 실패했더라도 부정적으로 대하지 않음.
- 대상자에게 격려해 줌.
5) 평가
■ 변의 특성을 관찰한다.
■ 배변의 빈도를 기록한다.
■ 대상자의 섭취 및 배설량을 측정한다.
■ 항문, 항문 주위, 스토마 주위 피부를 시진한다.
■ 복부팽만 여부를 촉진한다.
■ 장음을 청진한다.
■ 대상자에게 장내 가스가 찼는지, 배변 시 불편감이 있는지, 긴박성 변의를 느끼는지, 대장의 충만감이 있는지를 물어본다.
■ 대상자가 스스로 인공항문 관리를 할 수 있는지를 관찰해 본다.
■ 대상자에게 식습관, 일일 운동량, 배변 시 불편감을 해소시키는 방법이 있는지 물어봄.
6. 관장의 종류와 적응증
1) 배출관장(cleansing enema)
: 결장과 직장을 자극하고 장을 팽창시킴으로써 연동 운동을 자극.
■ 고관장(high enema)
- 결장을 가능한 많이 비우기 위해 시행.
- 성인에게 1L 정도의 용액을 주입.
- 저관장보다 높은 압력으로 용액 주입.
- 용액이 들어있는 용기를 더 높이 들어야 하고 5~10분 동안 시행한다면 효과적.
■ 저관장(low enema)
- 직장과 S자결장을 깨끗이 하기 위해 시행하며 500ml 정도의 용액 주입.
2) 구풍관장(carminative enema) : 가스배출이 목적.
-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60~180ml의 용액을 직장에 주입
■ 직장과 결장을 팽창시켜서 연동운동을 자극.
3) 기름을 이용한 정체관장(oil retention enema)
- 직장과 결장을 윤활시킴으로써 작용함.
- 직장, 항문에 윤활작용을 해서 배변을 용이하게 하므로 1~3시간동안 용액을 보유하고 있어야 함.
4) 반환관장(return flow enema) : Harrish 관류(flush), 결장세척(colonic irrigation)
- 가스배출에 이용되며 100~200ml의 용액을 주입하여 대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하고 대변을 배출하게 함.
5) 적응증 (관장의 목적)
- 연동운동을 자극해서 대변이나 가스를 제거함.
- 대변을 제거하고 장을 부드럽게 함.
- 검사를 위해 장을 깨끗이 비움.
- 수술이나 분만 전에 대변을 제거하여 배변으로 일어날 수 있는 오염 방지.
- 체온 하강
- 진단목적으로 바륨을 마셨거나 장내에 주입한 용액을 검사실시 후 세척하는 것과 가스로 인한 통증을 제거함.
- 배변훈련과정에서 정상적인 장의 기능을 도움.
7. 관장의 절차
1) 준비 물품
: 관장 250mL의 따뜻한 관장용액, 관과 잠금장치가 달려있는 관장통, 카바가 있는 변기(필요시), 수용성 윤활 젤리가 든 튜브, 방수용 패드, 장갑, 휴지, 스크린, 목욕수건, 일회용 장갑
2) 절차
■ 먼저 대상자에게 과정을 설명한다.
- 용액이 주입도리 때 가득 찬 듯한 느낌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한 뒤 S자 결장과 하행결장으로 중력에 의해 용액이 잘 흘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오른쪽 다리를 굽혀 좌측위를 취하도록 하고 목욕 담요로 싸준다. 그리고 밑 홑이불을 보호하기 위해 대상자의 엉덩이 아래에 방수포를 깐다.
■ 준비물을 준비한다.
- 적절한 크기의 직장용 큐브가 어른은 #20~30 Fr. 어린이의 경우에 영아는 #12 Fr. 학령 전후 어린이는 #14~18 Fr.가 적당하다.
- 관장용액의 온도는 어른에서 40.5~43.0 , 어린아이인 경우 37.7 정도이다. 기름 정체관장은 33 정도가 좋다.
■ 일회용 장갑을 끼고 배액관과 튜브를 관장통에 연결하고 조절기로 잡근다.
■ 튜브에 윤활제를 바르고 난 뒤 배꼽 쪽을 향하여 부드럽게 삽입한다.
- 삽입되는 튜브의 길이는 대상자의 나이와 체격에 따라 다르다. 성인은 7.5~10cm, 어린이는 5~7.5cm, 영아에서는 2.5~3.75cm이다. 튜브 삽입시에 퇴색이 발견되면 즉시 튜브를 빼고 보고한다.
- 삽입 시 저항이 있으면 대상자로 하여금 숨을 크게 쉬게 하고 용액을 조금씩 흘려보낸다. 저항이 계속되면 수행을 중단하고 저항이 없으면 조절기를 열고 관장통을 적절한 높이로 올린다.
■ 튜브의 조절기를 열어 용액이 서서히 주입되게 한다.
- 용액이 주입되는 동안 대상자가 심한 팽만감과 통증을 호소하면 약 30초 정도 용액 주입을 중단한 후 다시 서서히 주입한다.
■ 용액이 전부 주입되었거나 대상자가 변의를 심하게 호소하면 조절기를 잠그고 여러 겹의 휴지로 항문과 튜브 둘레를 누르면서 튜브를 제거한다.
■ 일정시간 동안 관장액을 보유하기 위해 항문을 휴지로 누른 후 누워 있는 것이 관장액을 보유하기가 쉽다.
- 관장용액을 보유하는 시간은 관장의 목적 및 대상자의 외괄약근 수축력 정도에 달려 있다. 기름 정체관장은 보통 2~3시간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관장은 5~15분이면 된다. 실변을 하는 대상자는 간호사가 항문 입구를 막아주어 용액을 보유하도록 도와준다.
- 용액을 보유하는 동안 복부팽만감과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 대상자의 배변을 돕는다.
■ 대상자가 배변을 하고 회음부와 둔부를 비누와 물로 씻게 하고 손을 씻는다.
■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고 관장시간과 날짜, 관장의 종루, 배출액의 색깔, 농도, 양과 대상자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12.22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