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작가소개
2.Ode on a Grecian Urn 원문
3.작품해석
4.작품 해설, 감상
5.Note
참고문헌
2.Ode on a Grecian Urn 원문
3.작품해석
4.작품 해설, 감상
5.Note
참고문헌
본문내용
s. Critics disagree whether the whole of these lines is said by the urn, or "Beauty is truth, truth beauty" by the urn and the rest by the lyric speaker; whether the "ye" in the last line is addressed to the lyric speaker, to the readers, to the urn, or the the figures on the urn; whether "all ye know" is that beauty is truth, or this plus the statement in lines 46-48; and whether "Beauty is truth" is a profound metaphysical proposition, an overstatement representing the limited point of view of the urn, or simply nonsensical." (794, footnote 7)
3) Watson은 'Marian Allott edition'과 'John Barnard edition'을 텍스트로 삼는다. 그는 명제의 화자를 Keats로 보고, Urn의 명제라는 견해에 반대한다. 화자를 Urn으로 설정할 때, 너무 강한 명령의 분위기가 노출된다는 것이다.
4) Simpson은 Keats를 포함한 소위 낭만주의자들이 이론에 대한 무의식적 저항을 대변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으나, 개인과 사회의 구분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Keats를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인 차원으로 환원시키고 있다. Simpson은 단지 "a commitment to uncertainty"정도로 얘기했어야 했다. Keats가 시 전체를 불확실성으로 채우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하지만 그것은 'tolerent'나 'ethic' 등, 사회적/개인적 code로서는 아니다. 오히려 그는 어떠한 개념화, 이론화도 부정하고 있다.
5) Watson은 1820년 판이 이러한 해석을 가능하게 함을 인정하고 있었다(이탤릭 강조). 그가 반대하는 이유는 그것의 인정이 시인의 목소리(tone)의 일관성을 해치기 때문이라는 것이지만, 그것은 사실에 대한 언급이라기보다는 논의의 대상으로 보인다. 그가 'Allott'와 'Barnard' 판을 텍스트로 설정한 이유 역시 이러한 해석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배려이다. "Full details of the arguments may be found in the editions of Keats's poetry by Miriam Allott and by John Barnard. Here there is only space to say that the quotation marks around 'Beauty is truth, truth beauty' appear in the 1820 volume which was seen through the press by Keats; yet the line and a half which follows seems to be a part of the message (it could, of course, be a rather sardonic comment by the poet on the urn's statement, but would be out of keeping with the tone of the poem). (286-27)
6) 낭만주의적 이상에서 현실로 돌아오는 하향 패턴은, 보다 명료하게는 "Ode on Indolence"에서 볼 수 있으며, 다소 추상적인 이미지를 사용하는 "Ode on Melancholy"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참고문헌---Abrams, M. H., ed.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6th ed. vol 2. New York & London: W. W. Norton, 1993.
Bate, Walter Jacson. “Negative Capability” Keats: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Ed. by Walter Jacson Bate. New Jersey: Prentice-Hall, 1964.
Bloom, Harold. The Visionary Company: A Reading of Romantic Poetry. Ithaca & London: Cornell UP, 1971.
Brooks, Thomas. “Keats's Sylvan Historian.” English Romantic Poets: Modern Essays in Criticism. Ed. by M. H. Abrams. London & Oxford & New York: Oxford UP, 1975.
Levinson, Marjorie. “Introduction to Keats's Life of Allegory.” Romanticism. Ed. and Intr. by Cynthia Chase. London & New York: Longman, 1993.
Rosenthal, M. L. The Modern Poets: A Critical Introduction. London: Oxford UP, 1968.
Simpson, David. Romanticism, Nationalism and the Revolt against Theory. Chicago & London: Chicage UP, 1993.
Waldoff, Leon. “Imagination and Growth in the Great Odes.” Romanticism: A Critical Reader. Ed. by Duncan Wu. Oxford & Cambridge: Blackwell, 1995.
Watson, J. R. English Poetry of the Romantic Period: 1789-1830. London & New York: Longman, 1985.
참고
http://home.my.netion.com/~mirado
3) Watson은 'Marian Allott edition'과 'John Barnard edition'을 텍스트로 삼는다. 그는 명제의 화자를 Keats로 보고, Urn의 명제라는 견해에 반대한다. 화자를 Urn으로 설정할 때, 너무 강한 명령의 분위기가 노출된다는 것이다.
4) Simpson은 Keats를 포함한 소위 낭만주의자들이 이론에 대한 무의식적 저항을 대변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으나, 개인과 사회의 구분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Keats를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인 차원으로 환원시키고 있다. Simpson은 단지 "a commitment to uncertainty"정도로 얘기했어야 했다. Keats가 시 전체를 불확실성으로 채우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하지만 그것은 'tolerent'나 'ethic' 등, 사회적/개인적 code로서는 아니다. 오히려 그는 어떠한 개념화, 이론화도 부정하고 있다.
5) Watson은 1820년 판이 이러한 해석을 가능하게 함을 인정하고 있었다(이탤릭 강조). 그가 반대하는 이유는 그것의 인정이 시인의 목소리(tone)의 일관성을 해치기 때문이라는 것이지만, 그것은 사실에 대한 언급이라기보다는 논의의 대상으로 보인다. 그가 'Allott'와 'Barnard' 판을 텍스트로 설정한 이유 역시 이러한 해석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배려이다. "Full details of the arguments may be found in the editions of Keats's poetry by Miriam Allott and by John Barnard. Here there is only space to say that the quotation marks around 'Beauty is truth, truth beauty' appear in the 1820 volume which was seen through the press by Keats; yet the line and a half which follows seems to be a part of the message (it could, of course, be a rather sardonic comment by the poet on the urn's statement, but would be out of keeping with the tone of the poem). (286-27)
6) 낭만주의적 이상에서 현실로 돌아오는 하향 패턴은, 보다 명료하게는 "Ode on Indolence"에서 볼 수 있으며, 다소 추상적인 이미지를 사용하는 "Ode on Melancholy"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참고문헌---Abrams, M. H., ed.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6th ed. vol 2. New York & London: W. W. Norton, 1993.
Bate, Walter Jacson. “Negative Capability” Keats: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Ed. by Walter Jacson Bate. New Jersey: Prentice-Hall, 1964.
Bloom, Harold. The Visionary Company: A Reading of Romantic Poetry. Ithaca & London: Cornell UP, 1971.
Brooks, Thomas. “Keats's Sylvan Historian.” English Romantic Poets: Modern Essays in Criticism. Ed. by M. H. Abrams. London & Oxford & New York: Oxford UP, 1975.
Levinson, Marjorie. “Introduction to Keats's Life of Allegory.” Romanticism. Ed. and Intr. by Cynthia Chase. London & New York: Longman, 1993.
Rosenthal, M. L. The Modern Poets: A Critical Introduction. London: Oxford UP, 1968.
Simpson, David. Romanticism, Nationalism and the Revolt against Theory. Chicago & London: Chicage UP, 1993.
Waldoff, Leon. “Imagination and Growth in the Great Odes.” Romanticism: A Critical Reader. Ed. by Duncan Wu. Oxford & Cambridge: Blackwell, 1995.
Watson, J. R. English Poetry of the Romantic Period: 1789-1830. London & New York: Longman, 1985.
참고
http://home.my.netion.com/~mirado
추천자료
존 키츠의 `채프먼의 호프`를 처음 읽고서
[영시] Keats의 Ode on a Grecian Urn의 미 (키츠의 그리스 항아리의 노래)
[19세기 낭만주의 영시] keats 소개 및 주요 작품 해석 및 감상
Ode on a Grecian Urn
[존키츠 시] Bearty is truth, truth beauty 아름다움은 진리이여 진리는 아름다움이다
John Keats의 Ode on a Grecian Urn과 Ode to a Nightingale의 번역과 분석, 비교대조
낭만주의 영시 기말고사 준비자료
ode on a grecian urn 감상문
19세기 영국미국시, 19세기 영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