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한국은 서로 전략적 경쟁자이거나 적대적 세력이라고 간주해야 할 이유도 없고, 탈냉전의 시대적 배경에서 양국은 상호 경쟁과 갈등을 통해 상대방을 견제하려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전략적 협력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더 많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상당기간 한국과 중국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는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의 입장에서 21세기 동아시아에서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초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실 미국과 일본 등 서구사회에서는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함축하고 있는 위협에 대해 경계하는 것 같다. 우리 사회에서도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한국에게 어떤 위협과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인가를 검토할 필요는 있다.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위협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지만, 우리의 입장에서 위협적 요소보다는 기회의 측면이 더 많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개혁개방을 통해 변화를 했고 앞으로도 더욱 그러하리 하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한국과의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지속시키려고 할 것이다. 한국의 입장에서도 중국이 경제적으로나 정치안보상에서 미국이나 일본의 역할을 대신해 줄 수는 없겠지만, 미국이나 일본의 패권적 행위를 견제할 수 있고, 또한 이들 강대국들간의 세력균형을 통해 우리는 상대적 자율성과 상호협력을 확보해 낼 수 있는 정치적 기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런 점에서 개혁개방 중국의 등장은 우리에게 위기보다는 기회라는 것은 분명하다.
바로 이런 시대적 기회를 맞은 한국과 중국은 경제적 차원에서 뿐 만 아니라, 정치 외교적 차원에서도 협력 관계를 계속 유지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상호 보완적이고 호혜적 관계를 발전시켜 가기 위해서는 강대국간의 치열한 경쟁과 갈등에 휘말리지 않고. 나름대로 상대적 자율성과 지역적 세력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상당히 성숙된 전략적 관계 유지와 외교력이 행사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한중관계는 21세기를 향해 상호협력 공동발전하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세력균형과 평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나가야 할 공동운명체인 것이다.
<참고문헌>
홍성태. 생각하는 한국인을 위한 반미교과서. 당대. 2003
이원종. [ 새로운 중국과 한국] 한중관계의 역동성을 위하여. 나남. 2002
특별기획 5부작 中國 '5. 중국에게 한반도는 무엇인가.' MBC. 2003.11.30 방영
물론 우리의 입장에서 21세기 동아시아에서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초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실 미국과 일본 등 서구사회에서는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함축하고 있는 위협에 대해 경계하는 것 같다. 우리 사회에서도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한국에게 어떤 위협과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인가를 검토할 필요는 있다.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위협과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지만, 우리의 입장에서 위협적 요소보다는 기회의 측면이 더 많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개혁개방을 통해 변화를 했고 앞으로도 더욱 그러하리 하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한국과의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지속시키려고 할 것이다. 한국의 입장에서도 중국이 경제적으로나 정치안보상에서 미국이나 일본의 역할을 대신해 줄 수는 없겠지만, 미국이나 일본의 패권적 행위를 견제할 수 있고, 또한 이들 강대국들간의 세력균형을 통해 우리는 상대적 자율성과 상호협력을 확보해 낼 수 있는 정치적 기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런 점에서 개혁개방 중국의 등장은 우리에게 위기보다는 기회라는 것은 분명하다.
바로 이런 시대적 기회를 맞은 한국과 중국은 경제적 차원에서 뿐 만 아니라, 정치 외교적 차원에서도 협력 관계를 계속 유지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상호 보완적이고 호혜적 관계를 발전시켜 가기 위해서는 강대국간의 치열한 경쟁과 갈등에 휘말리지 않고. 나름대로 상대적 자율성과 지역적 세력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상당히 성숙된 전략적 관계 유지와 외교력이 행사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한중관계는 21세기를 향해 상호협력 공동발전하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세력균형과 평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나가야 할 공동운명체인 것이다.
<참고문헌>
홍성태. 생각하는 한국인을 위한 반미교과서. 당대. 2003
이원종. [ 새로운 중국과 한국] 한중관계의 역동성을 위하여. 나남. 2002
특별기획 5부작 中國 '5. 중국에게 한반도는 무엇인가.' MBC. 2003.11.30 방영
추천자료
각국의 문화에 대해 (미국, 영국, 중국, 인도, 터키, 스웨덴, 이태리)
[국제경제통상환경][동북아통상협력][통상관계][통상정책]국제경제통상환경의 변화, 동북아통...
미국 MD정책에 대한 러시아와 중국의 반응
세계화(globalization)의 배경, 정의, 특징, 한국의 세계화, 미국, 유럽, 중국의 세계화, 긍...
중국 WTO 가입 과정, 가입의 국내외 배경, 의의, 중국의 가입후 통상 정책의 변화, 한국 경제...
M&A(기업인수합병)의 역사, 목적, 우리나라 M&A 사례, 일본 중국의 사례, 경제대국 ...
세계 각국의 기업인수합병(M&A), 미국 구글과 렘리서치의 사례, 중국 장강삼협집단과 류...
미국과 중국의 경제 전략, 대화, 천광청 사건, 중국의 성과, 미국의 성과, 결과, 영향, 특징,...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한국이 취해야할 정책제도는
[A+] 현대자동차 국제마케팅 사례연구 - 글로벌마케팅, 국내외 환경분석, 경쟁사 분석, 해외...
미국 중국 기업의 성공요인 분석
[동북아안보]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위험변수, 군사정세,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
[국제관계][국제][윤리성]국제관계의 형성, 국제관계의 윤리성, 국제관계와 외교, 국제관계와...
(월마트의 성공요인) 미국 월마트의 영국, 중국, 한국 진출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