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동 문학사의 전개 및 아동문학의 문제점과 나아가야할 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아동 문학사의 전개 및 아동문학의 문제점과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 아동 문학의 사적 전개
가. 우리말과 글을 통한 민족주의적 아동문화운동, 아동감각해방운동
1. 태동기; 태동기(1908∼1922)
1) 개화 이전기
2) 개화기(1894∼1907)
3) 형성기 (1908∼1922)
2. 발흥성장기 발흥성장기 (1923∼40)
1) 근대적 아동문학의 형성(1923~30)
2) 근대적 아동문학의 전개 (1930~40)
①방정환의 <만년샤쓰>
②이주홍의 <돼지 콧구멍>
③이태준의 <어린 수문장>
3. 암흑수난기(1940∼1945)
①현덕의 <강아지>
나. 본격 문학으로서의 성장과 지양을 위한 아동문학운동,
아동해방운동
1. 소생기(1945∼1959)
2. 팽창기(1960~현재)
①이원수의<불꽃의 깃발>
②권정생의 <강아지똥>

Ⅱ. 아동문학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
가. 아동 문학의 문제점
1. 정신적 지진성
2. 양적 팽창의 문제
3. 정치적 성향과 추천 비리
4. 한심한 작가들의 작태
5. 아동 문학가들의 역할 부진
6. 아동 문학가들의 정신적 오염
7. 무기력한 감상주의
나. 아동문학의 지향점
1. 아동문학 비평의 활성화
2.양서의 발간과 권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단체의 필요성
3. 진정한 문학적 풍토 조성
4. 한국 아동문학에 대한 애정
5. 아동문학에 대한 태도의 전환
6. 장르간의 불균형 극복

본문내용

을 내놓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작품집이 뛰어난 문학성의 것이라면 다행일 수 있으나 설익은 과일을 따는 것처럼 떫은 작품들을 양산한다는 점이 문제이다. (숲에서 어린이에게 길을 묻다, 김상욱, 창작과 비평사, 265∼266p)
3. 정치적 성향과 추천 비리
작품을 쓰고 문학을 창조하는 아동문학가가 아닌 문단정치를 통한 처세를 위해 아동 문학가 행세를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정치적 목적을 달성 하기위한 수단으로 능력에 관계없이 마구잡이로 추천, 등단시켜 놓고 파당을 확대시켜 자 기 세력을 키워 나가고 있는 저질 작가 군의 공해도 문제가 되고 있다.
4. 한심한 작가들의 작태
현역 아동문학 작가가 줄잡아 1천여 명이 넘고 있는데 고작 그 4분의 1에 해당 하는 250여명만이 글을 쓰고 있는 한심한 작태가 문제점으로 제기 됐다. 그러면서 이 중에서도 무엇을 쓸 것인가? 어떤 소재를 다룰 것인가를 자각하고 있지 못한 것 이 오늘의 현실임 을 못내 아쉬워하는 아쉬움으로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http://user.chollian.net/%7Eesynw/title_c.htm)
5. 아동 문학가들의 역할 부진
아동 문학가들은 아동들에게 희망과 꿈을 심어주는 역할을 작품을 통해 실천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있는 오늘의 현실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6·25와 같은 지난날의 역경을 일깨워 줄 수 있는 이야기보다는 물질 만능시대에 자기 몫만 챙기기 위해 급급한 오늘의 시정만을 다룬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점으로서 오늘을 사는 경제적 사고력과 정신적 사고력을 길러주어 오늘의 비대를 비틀거리지 않고 바로 살아갈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주어야 하는데도 그러지 못한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기도했다.(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원종찬, 창작과 비평사, 21p )
6. 아동 문학가들의 정신적 오염
아동문학은 때묻지 않은 순수한 동심에서 출발되어야 하는데 오늘의 아동 문학가들의 정신적 오염치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어 아동들의 동심을 순화한다거나 여과 및 고양시키는 구실을 제대로 담당할 수 없게 됐다는 자성론을 반성점 및 문제점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http://user.chollian.net/%7Eesynw/title_c.htm)
7. 무기력한 감상주의
아동문학의 힘은 단순 소박함에서 나온다. 그러나 힘들고 복잡한 문제를 피해가려는 안이한 작가 정신은 현실에서는 무기력한 감상주의를 낳는다. 감상주의는 자기만족·자기도취의 심리라는 점에서 흔히는 동심주의나 교훈주의와 통한다. 한편 민족과 사회 현실의 문제를 파고 들려는 작품에서도 지식인 특유의 부채의식 및 보상심리의 작용으로 감상주의가 적지 않게 드러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원종찬, 창작과 비평사, 23p)
나. 아동문학의 지향점
1. 아동문학 비평의 활성화
아동의 꿈과 이상을 키워주고 실현시키고 내일의 세대로 이끌어 올리는 것이 아동문학의 사명이고 역할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진정한 창작집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분석과 평가를 겸하는 아동문학평론이 필요하다.
2.양서의 발간과 권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단체의 필요성
양식 있는 출판 담당자와 시민들의 자율적인 모임이 기성문단의 좁은 테두리를 넘어서 서로 교차하는 가운데 아동문학의 공공성에 관한 사명감을 높여야 한다. 작가, 평론가, 출판담당자, 시민단체들은 '따로 또 같이' 한국 아동문학의 내일을 책임져야 할 존재들이다.(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원종찬, 창작과 비평사, 26p)
3. 진정한 문학적 풍토 조성
아동 문학가들이 문학보다 문학 감투에 급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아동문학가의 배출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겐 무엇을 쓸 것인가? 무엇을 써서 진정한 아동문학의 역할을 할 것인가? 등으로 괴로워하는 작가보다는 인기나, 감투나, 세력 확장에 관심으로 괴로워하는 작가가 더 많으니 이러한 풍토 지양을 통한 진정한 문학 풍토 조성을 위한 새로운 지향 없이는 아동문학의 내일은 어둡기만 할 것이다..(http://user.chollian.net/)
4. 한국 아동문학에 대한 애정
우리는 남의 것, 외국 것이면 무조건 선호하는 그릇된 속성과 인식이 있는데 아동문학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의 원형으로서 옛이야기인 민담이나 설화가 서구적 모델로 바 뀌어버린 것은 그 좋은 예가 된다. 이러한 편견 어린 그릇된 인식의 전환 없이는 한국아 동문학의 장래는 남의 흉내나 내는 것으로 끝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남의 것에 대 한 인식을 버리고 우리 것에 대한 애정과 새로운 인식의 전환만이 아동문학의 새로운 개 발을 위한 지양이 되고 지향이 되리라고 본다. (http://user.chollian.net/%7Eesynw/title_c.htm)
5. 아동문학에 대한 태도의 전환
앞의 경우와는 달리 아동문학을 쉽고 유치한 장르로 인식하고 있는 사고방식의 전환과 함께 아동문학이란 특수한 그리고 차원 높은 문학이란 인식을 일깨워 지금까지의 경시하는 아동문학에 대한 태도를 전환시켰을 때만이 아동문학의 위상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원종찬, 창작과 비평사, 16∼17p)
6. 장르간의 불균형 극복
현재의 아동문학은 전체적인 양으로 보아서는 발전을 했지만 장르간의 불균등한 발전이었다. 문학의 기본 장르에 해당하는 서정과 서사, 극 가운데 서사 장르만이 현재 어린이 문학의 발전을 도맡아 감당하고 있는 것이다. 동시와 동극 또는 그림동화와 판타지 역시 자생력을 갖지 못한 채 미흡한 상태로 머물러 있다. 결국 어린이 문학의 완미한 발전을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는 시정신의 회복이다. 동시와 동화 각각의 갈래 모두에 한층 긴밀하게 시정신과 산문정신이 결합되어야 한다. 시정신의 회복과 서사적 힘의 획득이야말로 어린이 문학이 헤쳐 나가야 할 과제이다.(숲에서 어린이에게 길을 묻다, 김상욱, 창작과 비평사, 265∼267p)
참고문헌
1.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페리 노들먼)
2. 우리 동화 바로 읽기(이재복)
3. 아동문학개론 (이재철)
4. 숲에서 어린이에게 길을 묻다(김상욱)
5.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원종찬)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2.3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