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통음식의 우수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전통음식의 우수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 언

2.한국 식생활문화 형성의 역정

3.한국의 여러 상차림의 구성요소와 접대규범

4.한국 전통 기본 식품

5.명절 음식

6.세계의 음식풍속

7.식생활 실태 및 의식구조의 변화

8.맺 음 말

본문내용

요구량을 채우며, 더 나아가서는 과식, 고지방식, 간식, 술의 섭취 빈도를 낮추어 균형잡힌 3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적인 아침식사란 지방은 적게 복합 탄수화물 함량은 높게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을 비롯해서 우리 몸의 정상적인 활동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충분하게 공급하는 것이라 하겠다. 덧붙여 올바르고 규칙적인 아침식사 습관을 생활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아침식사는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입맛을 돋구며 위에 부담이 적고 소화하기 쉬우면서 조리하기 간편해야 하겠다. 아침식사는 그날의 건강을 좌우함으로 영양소는 물론 열량에 대해서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하루 필요한 열량의 3분의 1을 아침식사에서 섭취해야 한다. 바람직한 아침식사의 메뉴로 곡물 요리와 빵 요리 중에서 하나, 고기 및 달걀 요리 중에서 하나, 과일 및 야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영양적으로 실속이 있다고 한다.
Ⅳ. 간 식
1991년 모수미 등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초, 중고생의 절반 가량은 매일 인스턴트 식품으로 군것질을 하는 등 특히 젊은 층의 식생활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998년 청강문화산업대 학생들의 아침식사 섭취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녀 모두에서 아침을 먹지 않거나 부실하게 먹은 학생들의 상당 수가 간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간식을 먹는 학생이 34.7%, 1주 3회 이상 간식을 먹는 사람은 53.5%나 되었으며, 간식으로 많이 먹고 있는 것은 라면, 김밥, 만두, 우동, 샌드위치, 아이스크림, 빵류, 과자, 떡볶이 순으로 대부분이 인스턴트나 패스트푸드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아침식사를 먹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 중의 상당수가 간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섭취하는 간식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은 인스턴트 식품이나 패스트후드가 대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열량, 지방, 나트륨 등이 많고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은 적은 편으로 영양적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Ⅴ. 가공식품
식생활의 실태를 살펴보면 전체식비 중 가공식품이 33.4%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호식품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가공식품에 관한 영양지식 없이 맛이 있고 간편하기 때문에 많이 섭취하게 되면 영양의 편식과 지방, 식염의 과다섭취 그리고 채소 섭취부족으로 인한 식이섬유의 섭취 부족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바쁜 현대인들은 간편하고 조리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인스턴트나 가공식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자주 습관적으로 이런 식품들을 먹다보면 식염이나 기름, 방부제 등을 무의식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Ⅵ. 식사의 규칙성
식사를 거르거나 하루에 한 두번으로 식사를 몰아서 하게되면 식사 시간의 간격이 불규칙해 지고 길어져서 영양소의 흡수율이 증가하게 된다. 올바른 식습관이란 하루에 3번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며 아침과 점심보다는 저녁을 적게 먹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Ⅶ. 빠른 식사습관
음식물을 천천히 씹어먹는 습관을 들이면 딘시간에 많이 먹는 것을 피할 수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적은 양으로도 어느 정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Ⅷ. 편 식
편식을 하게되면 여러가지 식품에서 골고루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할뿐만이 아니라 많이 먹는 기호식품에 들어있는 영양소만을 다량으로 섭취하여 영양의 불균형을 자초하게 된다. 지방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은 일반적으로 맛있고 고소하며 사람들이 좋아하는데, 다른 식품에 비해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찌게되는 결과가 된다.
Ⅸ. 야식
야식은 건강에 좋지못한 습관이다. 특히 TV를 보면서 음식을 먹게되면 무의식 중에 많은 음식을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먹게된다. 밤에는 소화기관의 기능이 활발해지고 먹는 것이 장에서 흡수되기 쉬운 상태여서 그만큼 여분의 에너지를 먹게 되는 셈이 된다.
Ⅹ. 스트레스
복잡다단한 사회에서 살고있는 현대인은 정신적인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스트레스로 인한 과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생활태도와 다양한 취미활동을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 과식을 하게되어 일단 위가 커지면 일정량 이상을 먹지 않을시 만복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더욱더 많이 먹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남자들은 퇴근길에 술을 마셔서 스트레스를 풀려고 하며, 여자들의 경우는 우울하거나 허무할 때 슈퍼마켓에 들러 식품을 마구 사서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풀려고 하는데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8.맺 음 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의 지리적 위치는 유라시아 대륙의 극동에 위치한 반도로써 반도국이다. 기후에 있어서는 대륙적인 기온과 사계절의 구분, 계절풍으로 인한 강우량의 분포,습도,일조율 등 다변적인 기후 구조를 이루고 있어 농림, 축산의 입지를 다양하게 할 수 있었고 여름철의 고온과 장마, 남북의 기온차 일조 시간이 많고 건조한 계절은 밭 작물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게 해주었다. 지리적 위치또한 반도국으로 대륙과 해양의 양방으로부터 문화를 받아 들일 수 있었다. 지역에 따라서 재배되는 곡물에 차이가 있었고, 장류, 김치, 젓갈 같은 발효 식품을 다양하게 응용해 왔다. 그리고 콩 문화를 증진 시킴으로써 일상 식생활에 균형을 이룰 수 있었다.
전통음식은 무엇한국의보다도 그 원재료의 맛보다는 갖은 양념으로써 맛을 낸다는 점이 특징이자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음식문화가 국제 경쟁력만 갖춘다면 세계 어디다 내놔도 자랑스런 음식문화 돼 것이라는 믿음을 이번 조사를 하면서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 큰 보람이다. 이것으로 맺음말을 대신 하겠다.
참고 문헌:강인희, 1978,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곽종철외,1995, 신석기시대 토기태토에서 검출된 벼의 plant-opal , 『한국고고학보』32.
권진숙, 1991, 도설 한국의 벼농사 , 『한국의 농경문화』 제3집, 경기대학교박물관.
이현혜, 1991, 삼국시대의 농업기술과 사회발전 -4∼5세기 신라사회를 중심으로- , 『한국상고사학보』8.
後藤直, 1991, 日韓出土の植物遺體 , 『韓日交涉の考古學』, 六興出版.
인터넷:www.kfr.or.kr / www.sbs.co.kr

키워드

음식,   전통음식,   문화,   우수성,   교양,   식생활
  • 가격1,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4.01.06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