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중이의 구조와 기능
3. 중이염의 원인
4. 중이염의 증상
5. 중이염의 분류
6. 만성 중이염의 치료
7. case study
2. 중이의 구조와 기능
3. 중이염의 원인
4. 중이염의 증상
5. 중이염의 분류
6. 만성 중이염의 치료
7. case study
본문내용
않게 주의해야 한다.
》상처가 아무는 동안에는 딱딱한 음식은 피하도록 하고 코를 세게 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감기에 걸리거나 콧물이 많을 때에는 목뒤로 넘겨 가래로 뱉는 것이 좋다.
》치료가 끝난 뒤에도 정기적으로 1년에 2번 내지 4번 이비인후과 외래에 와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귀안에 딱지가 많이 끼는 경우도 있고, 혹시 재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수술 후 청력
: 즉시 좋아지는 것은 아니며 수술 후 수주간은 수술 전보다 청력이 떨어진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청력회복은 수술후 6개월 정도가 지나야 최상의 청력을 회복하게 된다. 12개월 정도가 지나면 수술에 대한 최종결과에 판단을 내릴 수가 있는데 계속적인 염증증세가 남아있는 경우 재수술을 시행하는 수도 있고, 염증제거가 잘 되었으면 청력개선을 위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7. case study
① 간호사정
·기초자료 - 이름 : 유00
- 성별/연령 : M/19
- 진단명 : Rt) COM & Chole
- 입원일 : 2003.12.17
- 수술일 : 2003.12.18
- 수술명 : Rt) T- M
- 퇴원일 : 2003.12.25
·현병력 : 입원하기 2년전부터 Rt) ear로 otorrhea 있어 local에서 치료 받았으나 호전 없어 본원 외래 통해 상기 진단하에 수술 위해 입원 함.
·과거병력 : 2년전 Rt) 엄지 손가락 Fx. OP
·가족병력 : none
·검사
- EKG : incomplete RBBB -> CD consult 봄
24hr BP monitoring 실시 함
- Lab.&Chest PA : normal checked
·수술후 치료 방법
- Rt) ear site mastoid compress 유지
- inj. : Fontiam 2V#2, micronomicin 2A#2, Frofenid 2A#2
- PO med. : 탈리푸르메이트 3T#3, Muterna 3T#3, Panaben 2T#2,
Melium 0.5mg 3T#3, 무타실 3P#3, 메디락 3T#3
- Treatment plan and OPD follow up
②간호 과정
수술 후 배출되는 분비물과 관련된 불안감
S : "귀에서 피가 너무 많이 나는 것 같아요."
"언제까지 나오게 되나요?"
O : 환측 귀에서 다량의 bloody한 이루 배어남
A : 수술 후 배출되는 분비물과 관련된 불안감
P : 배어난 이루의 양, 냄새, 색을 사정 함
수술부위 배약관이 삽입되어 있으며 약 7일뒤 제거되며 그 동안은 bloody한 이루 보이게 되나 점차 양이 줄어듬을 설명 함
이루 양은 수술정도와 개인차에 따라 다름을 설명 함
겉으로 흐르는 이루는 닦아주도록 교육 함
수술부위 감염 예방을 위해 물이 닿지 않도록 하며 만지지 말도록 함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S : "머리를 감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죠?"
"집에가면 귀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죠?"
O : 퇴원 후 관리에 대한 질문을 계속 함
A :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P : 퇴원 후 추후관리에 대하여 교육 함
외래 방문날짜 방문여부를 확인 함
머리를 감거나 세수를 할 때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하도록 함
퇴원 후 심한 이통과 많은 양의 이루가 있을 경우 외래 방문하도록 함
참고문헌
민양기 외 공저(1999), 일차진료를 위한 이비인후과학임상, 일조각
유해영(1997),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전시자 외 공저(2000), 성인간호학, 현문사
http//:my.netian.com/~kinsang
http//:snuh.snu.ac.kr
http//:user.chollian.net
http//:yonsei.doctorangel.co.kr
》상처가 아무는 동안에는 딱딱한 음식은 피하도록 하고 코를 세게 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감기에 걸리거나 콧물이 많을 때에는 목뒤로 넘겨 가래로 뱉는 것이 좋다.
》치료가 끝난 뒤에도 정기적으로 1년에 2번 내지 4번 이비인후과 외래에 와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귀안에 딱지가 많이 끼는 경우도 있고, 혹시 재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수술 후 청력
: 즉시 좋아지는 것은 아니며 수술 후 수주간은 수술 전보다 청력이 떨어진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청력회복은 수술후 6개월 정도가 지나야 최상의 청력을 회복하게 된다. 12개월 정도가 지나면 수술에 대한 최종결과에 판단을 내릴 수가 있는데 계속적인 염증증세가 남아있는 경우 재수술을 시행하는 수도 있고, 염증제거가 잘 되었으면 청력개선을 위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7. case study
① 간호사정
·기초자료 - 이름 : 유00
- 성별/연령 : M/19
- 진단명 : Rt) COM & Chole
- 입원일 : 2003.12.17
- 수술일 : 2003.12.18
- 수술명 : Rt) T- M
- 퇴원일 : 2003.12.25
·현병력 : 입원하기 2년전부터 Rt) ear로 otorrhea 있어 local에서 치료 받았으나 호전 없어 본원 외래 통해 상기 진단하에 수술 위해 입원 함.
·과거병력 : 2년전 Rt) 엄지 손가락 Fx. OP
·가족병력 : none
·검사
- EKG : incomplete RBBB -> CD consult 봄
24hr BP monitoring 실시 함
- Lab.&Chest PA : normal checked
·수술후 치료 방법
- Rt) ear site mastoid compress 유지
- inj. : Fontiam 2V#2, micronomicin 2A#2, Frofenid 2A#2
- PO med. : 탈리푸르메이트 3T#3, Muterna 3T#3, Panaben 2T#2,
Melium 0.5mg 3T#3, 무타실 3P#3, 메디락 3T#3
- Treatment plan and OPD follow up
②간호 과정
수술 후 배출되는 분비물과 관련된 불안감
S : "귀에서 피가 너무 많이 나는 것 같아요."
"언제까지 나오게 되나요?"
O : 환측 귀에서 다량의 bloody한 이루 배어남
A : 수술 후 배출되는 분비물과 관련된 불안감
P : 배어난 이루의 양, 냄새, 색을 사정 함
수술부위 배약관이 삽입되어 있으며 약 7일뒤 제거되며 그 동안은 bloody한 이루 보이게 되나 점차 양이 줄어듬을 설명 함
이루 양은 수술정도와 개인차에 따라 다름을 설명 함
겉으로 흐르는 이루는 닦아주도록 교육 함
수술부위 감염 예방을 위해 물이 닿지 않도록 하며 만지지 말도록 함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S : "머리를 감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죠?"
"집에가면 귀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죠?"
O : 퇴원 후 관리에 대한 질문을 계속 함
A :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P : 퇴원 후 추후관리에 대하여 교육 함
외래 방문날짜 방문여부를 확인 함
머리를 감거나 세수를 할 때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하도록 함
퇴원 후 심한 이통과 많은 양의 이루가 있을 경우 외래 방문하도록 함
참고문헌
민양기 외 공저(1999), 일차진료를 위한 이비인후과학임상, 일조각
유해영(1997),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전시자 외 공저(2000), 성인간호학, 현문사
http//:my.netian.com/~kinsang
http//:snuh.snu.ac.kr
http//:user.chollian.net
http//:yonsei.doctorange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