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인드맵
2> 마인드 맵의 정의
3> 전형적 방법과의 비교
4> 마인드 맵의 구성
5> 각 분야의 마인드맵
6> 맺음말
2> 마인드 맵의 정의
3> 전형적 방법과의 비교
4> 마인드 맵의 구성
5> 각 분야의 마인드맵
6> 맺음말
본문내용
사람의 입장을 개방시켜준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자신의 말을 들은 상대가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것과 똑같은 그림을 그리고 상상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야기를 듣고 난 후 상대방의 마음 속에 있는 그림을 설명하게 해서 이것을 확인해 본다. 이것은 자신의 커뮤니게이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피드백이 된다.)
- 상대방의 독특한 관점을 존중하게 한다. 관계의 발전을 위한 능력의 근원이 된다.
③ 회의
- 다른 회원들의 관점을 전 회원이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 회원들의 발언을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게 통제할 수 있다.
- 참석자 각자가 토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억하게 한다.
- 회의에서 결정된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6> 맺음말
정보 지식 사회에 진입한 세계는 초단위로 변화하고 있다. 이 급격한 시대 변화 속에 정보의 양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서 교육 또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져야 할 것이다.
현대 정보화 시대 이전의 모든 학생들에게 부여된 임무 가운데 하나는 사실을 기억하고 그 사실을 요구될 때 그것들을 회상해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컴퓨터가 그러한 일을 대신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창의력·직관·독창력을 가지고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계발하여야 한다.
'창의성'이 학습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고 볼 때 창의성 계발을 돕고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마인드맵을 활용해 볼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또한 ‘무엇(What)을 배우는가’보다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How to Learn)’를 중시하는 열린 교육의 교육과정에 ‘학습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습(Learning How to Learn)’으로서 마인드맵의 개념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학습에는 주로 단어, 숫자, 선, 목차, 논리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한 가지 생상의 필기 도구를 보편적으로 사용했다. 여기에는 리듬, 색상, 이미지, 공간감각, 연상 등의 중요한 요소들이 빠져있었다. 이 요소들은 기억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단순한 요약서처럼 직선적으로 노트하는 것으로는 우리의 복잡한 사고를 모두 표현할 수 없다. 그러나 마인드 맵은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인드 맵은 하나의 지점에서 사방으로 끝없이 확장되어 가는 사고를 시각적으로 비추어 주는 거울이고 우리를 끊임없는 사고를 하도록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자신의 말을 들은 상대가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것과 똑같은 그림을 그리고 상상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야기를 듣고 난 후 상대방의 마음 속에 있는 그림을 설명하게 해서 이것을 확인해 본다. 이것은 자신의 커뮤니게이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피드백이 된다.)
- 상대방의 독특한 관점을 존중하게 한다. 관계의 발전을 위한 능력의 근원이 된다.
③ 회의
- 다른 회원들의 관점을 전 회원이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 회원들의 발언을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게 통제할 수 있다.
- 참석자 각자가 토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억하게 한다.
- 회의에서 결정된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6> 맺음말
정보 지식 사회에 진입한 세계는 초단위로 변화하고 있다. 이 급격한 시대 변화 속에 정보의 양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서 교육 또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져야 할 것이다.
현대 정보화 시대 이전의 모든 학생들에게 부여된 임무 가운데 하나는 사실을 기억하고 그 사실을 요구될 때 그것들을 회상해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컴퓨터가 그러한 일을 대신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창의력·직관·독창력을 가지고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계발하여야 한다.
'창의성'이 학습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고 볼 때 창의성 계발을 돕고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마인드맵을 활용해 볼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또한 ‘무엇(What)을 배우는가’보다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How to Learn)’를 중시하는 열린 교육의 교육과정에 ‘학습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습(Learning How to Learn)’으로서 마인드맵의 개념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학습에는 주로 단어, 숫자, 선, 목차, 논리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한 가지 생상의 필기 도구를 보편적으로 사용했다. 여기에는 리듬, 색상, 이미지, 공간감각, 연상 등의 중요한 요소들이 빠져있었다. 이 요소들은 기억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것이다. 단순한 요약서처럼 직선적으로 노트하는 것으로는 우리의 복잡한 사고를 모두 표현할 수 없다. 그러나 마인드 맵은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인드 맵은 하나의 지점에서 사방으로 끝없이 확장되어 가는 사고를 시각적으로 비추어 주는 거울이고 우리를 끊임없는 사고를 하도록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수학과 학습부진아,학습부진아지도,수학과]수학과 학습부진아의 개념,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의 정의와 목표,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 교육부...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도입, 종류, 지침, 영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교수...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의 성격과 수업유형,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의 학습집단조직, 수학과 ...
개별화교육(개별화학습, 개별화수업) 개념과 역사, 개별화교육(개별화학습, 개별화수업) 개인...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의미와 이론적 배경,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특징과 수...
수학과(수학학습, 수학수업)의 목표, 수학과(수학학습, 수학수업)의 수업환경과 단계별내용, ...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의 의의와 제 관점, 구성주의교육이론(구성주의학습)의 기본...
실과교과(실과학습, 실과교육)의 성격, 실과교과(실과학습, 실과교육)의 개정중점, 실과교과(...
사회과(사회교육, 사회학습)의 정의, 사회과(사회교육, 사회학습)의 목표와 동향, 사회과(사...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의 개념, 의의, 종류,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 ...
프로젝트학습(프로젝트중심수업, PBL)의 의미와 이점, 프로젝트학습(프로젝트중심수업, PBL)...
음악과교육 창작교육(창작학습지도)의 의의, 음악과교육 창작교육(창작학습지도)의 과정과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