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S. Eliot
2. I.A. Richards
3. William Empson
4. John Crowe Ransom
5. Cleanth Brooks
6. objective correlative(객관적 상관물)
7. intentional fallacy
8. affective fallacy
9. ambiguity(애매함)
10. paradox(역설)
11. irony(아이러니)
12. close reading
13. heresy of paraphrase
2. I.A. Richards
3. William Empson
4. John Crowe Ransom
5. Cleanth Brooks
6. objective correlative(객관적 상관물)
7. intentional fallacy
8. affective fallacy
9. ambiguity(애매함)
10. paradox(역설)
11. irony(아이러니)
12. close reading
13. heresy of paraphrase
본문내용
, 신비평의 한계(역사적 분석 거부,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인냥 제시하는 경향, 주로 시에 대해 관심)우려. 복수주의적 도구주의적 기반에서 모든 장르를 다룰수 있고 기법을 끌어낼수 있는 포괄적,보편적 비평 발전 시도.
13-2 F.R. Leavis
현대문학 강의의 시초. 리비스류 비평 전통 확립. Close reading 강조. 이론화보다는 문학 자체. 도덕적 진정은 무엇인가. 도덕을 영국의 전통(Identity)으로 봄->Canon.
13-3 Felt life - 체험된 삶. 자신의 감정을 통해 체화된 삶. 텍스트를 통해 느껴진 삶의 체계->중요한 경험의 극치.
13-4. New criticism의 문제점
현대 대중문화를 부정적으로 보고 과거 복귀적이다. organic unity안에 과거 지향적인 생각이 들어있다. 언어 역시 역사적 산물이다(언어는 사회적 도구, 매개체), 모든 문학, 사회적 현상은 언제나 정치적 상황에 매여있다.
13-5 몰개성화
예술가는 자신만의 완벽한 의미를 소유할 수 없게 되고, 예술가의 과정은 끊임없는 자기 희생, 자기 제거의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몰개성화이며, 예술이 과학의 조건에 접근할수 있는 것은 이런 사정 때문이다.
13-2 F.R. Leavis
현대문학 강의의 시초. 리비스류 비평 전통 확립. Close reading 강조. 이론화보다는 문학 자체. 도덕적 진정은 무엇인가. 도덕을 영국의 전통(Identity)으로 봄->Canon.
13-3 Felt life - 체험된 삶. 자신의 감정을 통해 체화된 삶. 텍스트를 통해 느껴진 삶의 체계->중요한 경험의 극치.
13-4. New criticism의 문제점
현대 대중문화를 부정적으로 보고 과거 복귀적이다. organic unity안에 과거 지향적인 생각이 들어있다. 언어 역시 역사적 산물이다(언어는 사회적 도구, 매개체), 모든 문학, 사회적 현상은 언제나 정치적 상황에 매여있다.
13-5 몰개성화
예술가는 자신만의 완벽한 의미를 소유할 수 없게 되고, 예술가의 과정은 끊임없는 자기 희생, 자기 제거의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이 몰개성화이며, 예술이 과학의 조건에 접근할수 있는 것은 이런 사정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