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본질
3. 하위 범주
(1) 어휘 범주
1) 임자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2) 토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3) 풀이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2) 문법 범주
1) 주체 높임
2) 객체 높임
3) 들을이 높임
2. 본질
3. 하위 범주
(1) 어휘 범주
1) 임자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2) 토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3) 풀이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2) 문법 범주
1) 주체 높임
2) 객체 높임
3) 들을이 높임
본문내용
정중하게 상대방을 대접하는, 그만큼 친밀감을 더 느끼게 하는 높임말이다. 해요체는 형식상 반말체 '-요'를 결합한 것인데 그 쓰임에 있어서도 두 등급은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현대 국어의 입말에 있어서는 반말체는 상대방을 높이지 않고 말하는 가장 대표적인 등급이며, 해요체는 들을이를 높여 대접하는 가장 대표적인 등급이기 때문이다. 그만픔 해요체는 반말체와 함께 일반 회화에서 가장 널리 쓰인은 등급이다
⑥합쇼체
합쇼체는 들을이를 가장 높여 대접하는 들을이 높임으로서 '-십시오/으십시오, -습니다/ㅂ니다, -습니다/ㅂ니까'등의 씨끝으로 표현된다. 합쇼세는 일반 청중을 들을이로 하는 연설이나 뉴스, 보도 등에 널리 쓰인다. 일반 독자를 상대로 하는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라체가 쓰인은 일과 대조를 이룬다. 이 점에서 합쇼체는 해라체와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 회화에서는 해요체와 반말체가 주착을 이루며 짝을 이루는 일과 평행적이라 할 수 있다.
등급 선택의 요인
말할이가 들을이 높임의 여러 등급 중 어느 것을 택하느냐는 말할이가 들을이의 나이, 사회적 신분 등을 자기의 것과 비교하고, 또 둘 사이의 친밀도 등을 고려하여 정하게 되지만, 등급의 결정은 매우 복합적이다. 이 등급의 최종 결정권은 말할이가 가지기 때문에 말할이의 판단에 따라서는 같은 자리에서도 같은 상대방에게 몇 등급의 높임법을 뒤섞어 쓸 수도 있다. 그러나 높임법은 전체적으로 규칙이며 규범이다. 말할이가 얼마간의 선택권은 가지지만 "할아버지, 여기 앉아라." 와 같은 문장은 그 규범이 허락치 않는다. 국어의 높임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해 가는 것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가 바뀜에 따라 따르는 그 규범의 변화일 것이다. 어떻든, 현대로 오면서 국어 높임법은 점차 단순화해 가는 경향이 있다. 하게체와 하오체의 퇴조가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도 국어는 세계 어떤 언어보다도 복잡하고 다양한 높임법 체계를 가진 언어일 것이다.
참고문헌 ----------------------------------------------
1. 허 웅. 국어학. 샘문화사, 1983.
2. 이익섭·남기심. 국어 문법론. 한국 방송 통신 대학 출판부, 1988
3. 이익섭·임홍빈. 국어 문법론. 학연사, 1983
4. 김화성, "국어 높임법의 지도방안". 우리말 교육. 우리말 연구회,1993
5. 김종훈외. 국어 경어법 연구. 집문당, 1984
⑥합쇼체
합쇼체는 들을이를 가장 높여 대접하는 들을이 높임으로서 '-십시오/으십시오, -습니다/ㅂ니다, -습니다/ㅂ니까'등의 씨끝으로 표현된다. 합쇼세는 일반 청중을 들을이로 하는 연설이나 뉴스, 보도 등에 널리 쓰인다. 일반 독자를 상대로 하는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라체가 쓰인은 일과 대조를 이룬다. 이 점에서 합쇼체는 해라체와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 회화에서는 해요체와 반말체가 주착을 이루며 짝을 이루는 일과 평행적이라 할 수 있다.
등급 선택의 요인
말할이가 들을이 높임의 여러 등급 중 어느 것을 택하느냐는 말할이가 들을이의 나이, 사회적 신분 등을 자기의 것과 비교하고, 또 둘 사이의 친밀도 등을 고려하여 정하게 되지만, 등급의 결정은 매우 복합적이다. 이 등급의 최종 결정권은 말할이가 가지기 때문에 말할이의 판단에 따라서는 같은 자리에서도 같은 상대방에게 몇 등급의 높임법을 뒤섞어 쓸 수도 있다. 그러나 높임법은 전체적으로 규칙이며 규범이다. 말할이가 얼마간의 선택권은 가지지만 "할아버지, 여기 앉아라." 와 같은 문장은 그 규범이 허락치 않는다. 국어의 높임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해 가는 것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가 바뀜에 따라 따르는 그 규범의 변화일 것이다. 어떻든, 현대로 오면서 국어 높임법은 점차 단순화해 가는 경향이 있다. 하게체와 하오체의 퇴조가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도 국어는 세계 어떤 언어보다도 복잡하고 다양한 높임법 체계를 가진 언어일 것이다.
참고문헌 ----------------------------------------------
1. 허 웅. 국어학. 샘문화사, 1983.
2. 이익섭·남기심. 국어 문법론. 한국 방송 통신 대학 출판부, 1988
3. 이익섭·임홍빈. 국어 문법론. 학연사, 1983
4. 김화성, "국어 높임법의 지도방안". 우리말 교육. 우리말 연구회,1993
5. 김종훈외. 국어 경어법 연구. 집문당, 1984
추천자료
물류의 역할, 물류시스템의 개념, 물류합리화, 국내 물류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관료제의 역기능
한국토지공사 분석(담당자 인터뷰포함)
현대 M카드 광고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분석 (SWOT분석,STP분석, Marketing Mix 전략 )(A+레포트)
보육 시설의 환경 구성, 보육 공간 구성 시 고려 사항, 보육 시설의 실내 공간 환경 구성, 연...
건축재료 정리
자율방범활동의 실태 및 자율방범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고려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의 자율방범...
[기업연금제도 사례][기업연금제도][미국][영국][일본][스위스][기업연금][연금제도][연금]미...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개념,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영역,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방해요인, 학...
도덕 수업계획서
[인터넷유통에서 물류관리] 물류의 개념과 물류산업 추세, 전자상거래와 물류기능 및 물류정...
부동산개발안 - 복합시설 계획(案) 반포동 서래마을
[기업광고][기업광고 상업성][기업광고 기업이미지][기업광고 분석방법]기업광고의 종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