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임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념

2. 본질

3. 하위 범주
(1) 어휘 범주
1) 임자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2) 토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3) 풀이씨로 높임을 나타내는 것
(2) 문법 범주
1) 주체 높임
2) 객체 높임
3) 들을이 높임

본문내용

정중하게 상대방을 대접하는, 그만큼 친밀감을 더 느끼게 하는 높임말이다. 해요체는 형식상 반말체 '-요'를 결합한 것인데 그 쓰임에 있어서도 두 등급은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현대 국어의 입말에 있어서는 반말체는 상대방을 높이지 않고 말하는 가장 대표적인 등급이며, 해요체는 들을이를 높여 대접하는 가장 대표적인 등급이기 때문이다. 그만픔 해요체는 반말체와 함께 일반 회화에서 가장 널리 쓰인은 등급이다
⑥합쇼체
합쇼체는 들을이를 가장 높여 대접하는 들을이 높임으로서 '-십시오/으십시오, -습니다/ㅂ니다, -습니다/ㅂ니까'등의 씨끝으로 표현된다. 합쇼세는 일반 청중을 들을이로 하는 연설이나 뉴스, 보도 등에 널리 쓰인다. 일반 독자를 상대로 하는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해라체가 쓰인은 일과 대조를 이룬다. 이 점에서 합쇼체는 해라체와 짝을 이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 회화에서는 해요체와 반말체가 주착을 이루며 짝을 이루는 일과 평행적이라 할 수 있다.
등급 선택의 요인
말할이가 들을이 높임의 여러 등급 중 어느 것을 택하느냐는 말할이가 들을이의 나이, 사회적 신분 등을 자기의 것과 비교하고, 또 둘 사이의 친밀도 등을 고려하여 정하게 되지만, 등급의 결정은 매우 복합적이다. 이 등급의 최종 결정권은 말할이가 가지기 때문에 말할이의 판단에 따라서는 같은 자리에서도 같은 상대방에게 몇 등급의 높임법을 뒤섞어 쓸 수도 있다. 그러나 높임법은 전체적으로 규칙이며 규범이다. 말할이가 얼마간의 선택권은 가지지만 "할아버지, 여기 앉아라." 와 같은 문장은 그 규범이 허락치 않는다. 국어의 높임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해 가는 것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가 바뀜에 따라 따르는 그 규범의 변화일 것이다. 어떻든, 현대로 오면서 국어 높임법은 점차 단순화해 가는 경향이 있다. 하게체와 하오체의 퇴조가 그 대표적인 예의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도 국어는 세계 어떤 언어보다도 복잡하고 다양한 높임법 체계를 가진 언어일 것이다.
참고문헌 ----------------------------------------------
1. 허 웅. 국어학. 샘문화사, 1983.
2. 이익섭·남기심. 국어 문법론. 한국 방송 통신 대학 출판부, 1988
3. 이익섭·임홍빈. 국어 문법론. 학연사, 1983
4. 김화성, "국어 높임법의 지도방안". 우리말 교육. 우리말 연구회,1993
5. 김종훈외. 국어 경어법 연구. 집문당, 1984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2.05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