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제의 역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관료제의 특징과 문제점

Ⅱ.현대사회에서의 관료제의 적용의 문제점

본문내용

도록 한다
10. 과학적 관리론 : 테일러 (인간소외, 인간을 조직의 부품으로)-경영의 합리화일환
물리적 작업조건 강조 : 능률성 신장 위해, 교육시설 최대활용, 최소최대효과
낭비요소 축소, 교사는 학생 지도만(행정일 제외)
시간연구의 원리, 성과급의 원리, 관리적 통제의 원리, 기능적관리의 원리, 과학적 작업의 원리
굴릭과 어릭(포스드코브)
Planning, Organizing, Staffing,
Directing, Coordinating, reporting, budgeting)
교육인사행정 - 수단이 아니고 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집단에 기반을 두고 운영되어야 한다.
동료적인 입장에서 행정에 임해야 한다.
능력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한다.
11. 인간관계론-과학적 관리론에 반발( 인간의 심리적 사회적 측면강조)
- 메이요 (전기회사 호손공장에서 실험연구 자생조직이 중시되며, 민주적
지도성이 강조, 직위간의 의사소통 중요)
호손공장 실험 -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조건이 생산성을 높임.
비공식적 집단이 경영과 일체감을 갖고 있을 때, 생산성이 향상
개인은 적극적 존재이지 수동적인 기계의 톱니바퀴가 아니다.
맥그리거 X, Y 이론(인간관계론)
1) 과학적 관리론
미국의 기업경영을 위한 이론으로 형성되어 기업의 생산성과 능률성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정부행정의 능률적 관리에도 큰 공헌을 하였는데, 여기서는 인간을 합리적 경제인으로 상정하여 객관적인 물질적 보상에 의해 일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을 지나치게 합리적 경제인으로 가정하면서 행정의 능률화를 위한 도구적 수단으로 간주한다는 데 그 한계가 있다.
1930년대 조직론에 인간행태학적 접근의 도입, 즉 E. Mayo의 인간관계론이 그 출발점이 되었으며, 이것이 소위 인간주의적 조직관리 혹은 후기 인간관계론이라 일컫는 1960년대 이후 행태과학이론으로 발전한다. 정치·행정일원론, 소집단론(계획적 변화·조직혁신), 비공식조직, 집단동태학, 리더십, 의사전달, 새로운 인간관(Y이론 등), 동기부여론, 그리고 MBO 및 OD 등이 이에 관련된다.
이들은 공식적 구조나 기계적 절차 등 무생물적 요인보다 사회심리적·비공식적 요인을 중시함에 따라 조직성원들의 인간적·감성적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는 바, 동기유발 요인의 비합리적이고 비경제적(사회적) 국면을 강조하게 된다.
Mayo의 Hawthorne 실험이 그 계기가 된 인간관계론은 종래의 과학적 관리론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과학적 관리론이 비합리적·감정적 측면을 무시하고 기술적 합리화를 추구한 나머지 인간의 도구화 현상을 초래한 데 대하여, 그와 같은 인간적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합리적 조직에서 배제된 인간성을 부분적으로나마 회복하여 조직의 협력을 촉진하려는 것이 인간관계론의 기본 명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관계론은 경제인 가설의 지나친 부인, 지나친 감정주의지향, 비공식집단의 역할에 대한 지나친 강조, 조직외부환경의 무시, 그리고 소박한 인간관리기술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3.27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