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육의 일반 목표
가. 시덴탑(Sidentop)의 목표 구조
● <그림 1> Sidentop의 목표 구조
나. 내용에 대응한 목표
● <그림 2> 체육의 구체적 목표와 구조
2. 체육의 도달 목표와 단계 목표
가. 도달 목표
나. 단계 목표
가. 시덴탑(Sidentop)의 목표 구조
● <그림 1> Sidentop의 목표 구조
나. 내용에 대응한 목표
● <그림 2> 체육의 구체적 목표와 구조
2. 체육의 도달 목표와 단계 목표
가. 도달 목표
나. 단계 목표
본문내용
을 펴면서) pass할 수 있다.
벽에 그려진 2.7 m line보다 위에 pass할 수 있다.
오는 볼을 미리 바른 위치로 이동하여 대비하고 둥글게 한두손사이를 통해서 볼을 볼 수 있다.
양손을 둥글게 창을 만들고 팔을 굽혀 예상된 위치로 미리 이동할 수 있다.
예상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오는 볼에 대하여 허리보다 높은 위치인지 낮은 위치인가를 판단한다.
<그림 5> 계층적 과제 분석
<단계 목표를 설정시의 유의점>
첫째 : 학습의 성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야 하는 내용을 학습 지도체계 의 제1의 목표에 둔다.
둘째 : 교육 성과를 하나의 학습 지도 목표로서 기술하지 않으면 학습은 의도적으로 되지 않을 것이고 또한, 그러한 것이 학습되었는지의 여부 를 평가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셋째 : 특정 성과가 구체적 목표의 관점에서 기술된다는 사실은 다른 성과 에 관련하여 아무것이나 학습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단계 목표로서 기능 발달 단계에 대하여 논하는 것은 사회적·정의적 성과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행동에 관한 성과를 직접 목적으로한 학습 지도가 전혀 기능 발달을 만들어내지 않는다는 것도 아니다.
장 면
과 제
기 준
벽으로부터 3m의 뒤에
그린 라인 내에서
8회 연속 overhand pass
3m의 높이에 그려진 표적
영역에 닿는다.
단계 목표의 내용은 학습 지도 경험의 결과로 무엇을 얻을까를 기록함으로 학습 지도의 의도를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간이 배구 수업에서 [ over hand pass를 학습한다]는 목표만으로는 불충분하다. pass를한다는 「과제」가 어떤[기준]으로 평가되는가를 명확히 기술하지 않으면 적절한 단계 목표라 할 수 없다. 학습자는 어디(where)에 세울 것인가?(조건) 볼을 어느 정도 날려보낼까? 몇 번 성공시켜야 되는가(과제)? 이들의 조건을 규정해 두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장면, 과제, 기준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배구의 pass에 대한 단계 목표의 예를 들면 [벽으로부터 3m 떨어진 Line의 뒤에 서서, 높이 3m의 벽에 그려진 표적 영역에 맞추는 오버핸드 패스를 연속 8회 행할 수 있다.]⁴이다.
이와 같이 단계 목표의 명확화는 학습의 기능 목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인식이나 사회적 행동의 측면에 대해서도 도달 목표로서 또한, 단계 목표로서 기술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인식 목표를 단지 […이해한다] […을 할 수 있다]라는 파워먼스(행위능력)의 형식인 행동용어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그 편이 학습 목표나 평가 기준이 명확하게 되어 제3자에게도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농구에서 1-2-2의 지역 수비를 인식시키려는 경 우,
1-2-2의 지역 수비를 도형(圖形)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지시에 따라 1-2-2의 지역 수비로 바른 포지션을 취할 수 있다.
몇 개의 지역 수비의 도형을 보고 그 중에서 1-2-2의 패턴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장면]과 [과제]의 조건에 포함되고, [기준]에 대해서는 100%가 될 것이다. 사회적 행동에 관한 학습 목표에서도 단지 [협력한다]라든가 [룰을 지킨다]라는 표현보다는 [수영장 통로에서는 늘 걷는다] [널뛰기는 4사람의 보조자가 있을 경우에만이 뛸 수 있다] [손짚고 앞돌기의 보조는 실시자의 손짚는 곳에 넣어 양손으로 허리와 등을 바칠 수 있도록 한다]등 명확하게 장면과 과제가 나타나야 한다.
참고문헌 ----------------------------------------------
1 윤인호, 체육학습지도법, 교학연구사,1995
2 강신복외 1인, 체육교수이론, 보경문화사
벽에 그려진 2.7 m line보다 위에 pass할 수 있다.
오는 볼을 미리 바른 위치로 이동하여 대비하고 둥글게 한두손사이를 통해서 볼을 볼 수 있다.
양손을 둥글게 창을 만들고 팔을 굽혀 예상된 위치로 미리 이동할 수 있다.
예상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오는 볼에 대하여 허리보다 높은 위치인지 낮은 위치인가를 판단한다.
<그림 5> 계층적 과제 분석
<단계 목표를 설정시의 유의점>
첫째 : 학습의 성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야 하는 내용을 학습 지도체계 의 제1의 목표에 둔다.
둘째 : 교육 성과를 하나의 학습 지도 목표로서 기술하지 않으면 학습은 의도적으로 되지 않을 것이고 또한, 그러한 것이 학습되었는지의 여부 를 평가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이다.
셋째 : 특정 성과가 구체적 목표의 관점에서 기술된다는 사실은 다른 성과 에 관련하여 아무것이나 학습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단계 목표로서 기능 발달 단계에 대하여 논하는 것은 사회적·정의적 성과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행동에 관한 성과를 직접 목적으로한 학습 지도가 전혀 기능 발달을 만들어내지 않는다는 것도 아니다.
장 면
과 제
기 준
벽으로부터 3m의 뒤에
그린 라인 내에서
8회 연속 overhand pass
3m의 높이에 그려진 표적
영역에 닿는다.
단계 목표의 내용은 학습 지도 경험의 결과로 무엇을 얻을까를 기록함으로 학습 지도의 의도를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간이 배구 수업에서 [ over hand pass를 학습한다]는 목표만으로는 불충분하다. pass를한다는 「과제」가 어떤[기준]으로 평가되는가를 명확히 기술하지 않으면 적절한 단계 목표라 할 수 없다. 학습자는 어디(where)에 세울 것인가?(조건) 볼을 어느 정도 날려보낼까? 몇 번 성공시켜야 되는가(과제)? 이들의 조건을 규정해 두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장면, 과제, 기준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배구의 pass에 대한 단계 목표의 예를 들면 [벽으로부터 3m 떨어진 Line의 뒤에 서서, 높이 3m의 벽에 그려진 표적 영역에 맞추는 오버핸드 패스를 연속 8회 행할 수 있다.]⁴이다.
이와 같이 단계 목표의 명확화는 학습의 기능 목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인식이나 사회적 행동의 측면에 대해서도 도달 목표로서 또한, 단계 목표로서 기술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인식 목표를 단지 […이해한다] […을 할 수 있다]라는 파워먼스(행위능력)의 형식인 행동용어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그 편이 학습 목표나 평가 기준이 명확하게 되어 제3자에게도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농구에서 1-2-2의 지역 수비를 인식시키려는 경 우,
1-2-2의 지역 수비를 도형(圖形)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지시에 따라 1-2-2의 지역 수비로 바른 포지션을 취할 수 있다.
몇 개의 지역 수비의 도형을 보고 그 중에서 1-2-2의 패턴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장면]과 [과제]의 조건에 포함되고, [기준]에 대해서는 100%가 될 것이다. 사회적 행동에 관한 학습 목표에서도 단지 [협력한다]라든가 [룰을 지킨다]라는 표현보다는 [수영장 통로에서는 늘 걷는다] [널뛰기는 4사람의 보조자가 있을 경우에만이 뛸 수 있다] [손짚고 앞돌기의 보조는 실시자의 손짚는 곳에 넣어 양손으로 허리와 등을 바칠 수 있도록 한다]등 명확하게 장면과 과제가 나타나야 한다.
참고문헌 ----------------------------------------------
1 윤인호, 체육학습지도법, 교학연구사,1995
2 강신복외 1인, 체육교수이론, 보경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