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ase Review
2. HEMODIALYSIS
3. PERITONEAL DIALYSIS
2. HEMODIALYSIS
3. PERITONEAL DIALYSIS
본문내용
glucose가 체내로 흡수되어 대사 장애 일으킬 수 있다.
Complications
peritonitis (m/c)
투석액 교환시 무균적 조작을 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
원인균 : Staphylococcus (m/c)
치료
우선 관류액의 그람염색 및 배양, 염증세포 검사
관류액을 2∼3번 정도 신속히 교환(→급성 복통 완화)
항생제 정맥 또는 복강내로 투여
cephalosporin + aminoglycoside
대부분 복강내 치료만으로도 치료됨
*catheter 제거가 필요한 경우
① 도관 피부출구 또는 피하통로 감염이 지속되는 경우
② 동일한 세균에 의한 반복 감염
③ 복강내 농양이 합병
④ 진균성 복막염
⑤ 결핵성 복막염
⑥ 장파열로 인한 복막염
⑦ 5∼7일간의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
catheter tunnel infection
inguinal & abdominal hernia
protein loss & malnutrition
hyperglycemia, hypertriglyceridemia, hypercholesterolemia, obesity(투석중의 고농도 의 glucose로 인해)
복막투석이 혈액투석보다 선호되는 경우
영아나 아주 어린 소아, 60세 이상 노인
심한 심혈관계 질환 환자
혈관 확보가 어려운 환자
여행의 자유를 많이 필요로 하는 환자
가정에서의 투석을 원하지만 도와줄 사람이 없는 경우
CAPD의 상대적 금기
요통이나 비만증이 심한 환자
과거에 여러번의 복부수술로 복간애 유착이 예상되는 환자.
탈장이 있는 환자.
책임감이 적고 위생관념이 부족한 환자
Complications
peritonitis (m/c)
투석액 교환시 무균적 조작을 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
원인균 : Staphylococcus (m/c)
치료
우선 관류액의 그람염색 및 배양, 염증세포 검사
관류액을 2∼3번 정도 신속히 교환(→급성 복통 완화)
항생제 정맥 또는 복강내로 투여
cephalosporin + aminoglycoside
대부분 복강내 치료만으로도 치료됨
*catheter 제거가 필요한 경우
① 도관 피부출구 또는 피하통로 감염이 지속되는 경우
② 동일한 세균에 의한 반복 감염
③ 복강내 농양이 합병
④ 진균성 복막염
⑤ 결핵성 복막염
⑥ 장파열로 인한 복막염
⑦ 5∼7일간의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
catheter tunnel infection
inguinal & abdominal hernia
protein loss & malnutrition
hyperglycemia, hypertriglyceridemia, hypercholesterolemia, obesity(투석중의 고농도 의 glucose로 인해)
복막투석이 혈액투석보다 선호되는 경우
영아나 아주 어린 소아, 60세 이상 노인
심한 심혈관계 질환 환자
혈관 확보가 어려운 환자
여행의 자유를 많이 필요로 하는 환자
가정에서의 투석을 원하지만 도와줄 사람이 없는 경우
CAPD의 상대적 금기
요통이나 비만증이 심한 환자
과거에 여러번의 복부수술로 복간애 유착이 예상되는 환자.
탈장이 있는 환자.
책임감이 적고 위생관념이 부족한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