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전단지연현상
2.Historical background
3.판형과 상자형의 차이점
4.전단지연(shear lag)과 유효폭(Effective width)
5.전단지연에 영향을 주는 요소
6.해석방법
7.COMMENT
2.Historical background
3.판형과 상자형의 차이점
4.전단지연(shear lag)과 유효폭(Effective width)
5.전단지연에 영향을 주는 요소
6.해석방법
7.COMMENT
본문내용
의 연구상황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짐작할 수 있다.
1.강상자형 교량에서 전단지연 현상이 유한 요소 해석법에 의해 연구되고있다.
2.본연구에서
(a) 플랜지의 유효폭은 주로 플랜지의 단면치수에 달려있다.
(b) 플랜지의 유효폭은 플랜지에서 판의 면적에 대한 보강재 면적의 비에 달려있다.
(c) 다중상장형에서 플랜지의 유효폭은 단일 상장형 거더의 유효폭을 사용함으로 산정할수 있다.
(d) 플랜지의 유효폭은 집중하중하에서의 단면에서의 응력 유효폭을 제외하고는 복부판의 면적에 대한 플랜지의 면적비는 사실상 관계가 없다.
(e) 균일하게 분포되는 하중 하에서 단순지지된 거더의 경우 중간 지간에서 플랜지의 응력 유효폭은 중간지간쪽으로 하중이 점점더 집중됨에 따라 더 작아진다. 중간지간에서 벗 어난 집중하중의 움직임은 하중이 재하된 단면에서 유효폭이 훨씬더 줄어들게 된다.
(f) 플랜지의 응력 유효폭은 집중하중이나 지점에서 더 빠르게 줄어든다.
(g) 균일하게 하중이 재하된 단순지지된 거더의 경우 플랜지의 응력 유효폭은 지점 근처를 제외하고는 거더의 길이전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h) 단순지지된 거더의 경우 플랜지의 휨 유효폭은 지간을 따라서 그위치와 하중의 형태와 는 실질적으로 관계가 없다.
(i) 연속거더에서의 플랜지의 유효폭은 등가 단순 지지된 지간으로서 영 모멘트의 인접한 부분사이의 각 거더 부분을 다룸으로써 쉽게 가정 할 수 있다.
3. 정적으로 부정정거더인 경우를 고려해보면 길이 방향의 휨 모멘트 분포는 줄어들지 않은 단면의 재원을 사용하여 기본 휨 이론에서 구할 수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1.강상자형 교량에서 전단지연 현상이 유한 요소 해석법에 의해 연구되고있다.
2.본연구에서
(a) 플랜지의 유효폭은 주로 플랜지의 단면치수에 달려있다.
(b) 플랜지의 유효폭은 플랜지에서 판의 면적에 대한 보강재 면적의 비에 달려있다.
(c) 다중상장형에서 플랜지의 유효폭은 단일 상장형 거더의 유효폭을 사용함으로 산정할수 있다.
(d) 플랜지의 유효폭은 집중하중하에서의 단면에서의 응력 유효폭을 제외하고는 복부판의 면적에 대한 플랜지의 면적비는 사실상 관계가 없다.
(e) 균일하게 분포되는 하중 하에서 단순지지된 거더의 경우 중간 지간에서 플랜지의 응력 유효폭은 중간지간쪽으로 하중이 점점더 집중됨에 따라 더 작아진다. 중간지간에서 벗 어난 집중하중의 움직임은 하중이 재하된 단면에서 유효폭이 훨씬더 줄어들게 된다.
(f) 플랜지의 응력 유효폭은 집중하중이나 지점에서 더 빠르게 줄어든다.
(g) 균일하게 하중이 재하된 단순지지된 거더의 경우 플랜지의 응력 유효폭은 지점 근처를 제외하고는 거더의 길이전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h) 단순지지된 거더의 경우 플랜지의 휨 유효폭은 지간을 따라서 그위치와 하중의 형태와 는 실질적으로 관계가 없다.
(i) 연속거더에서의 플랜지의 유효폭은 등가 단순 지지된 지간으로서 영 모멘트의 인접한 부분사이의 각 거더 부분을 다룸으로써 쉽게 가정 할 수 있다.
3. 정적으로 부정정거더인 경우를 고려해보면 길이 방향의 휨 모멘트 분포는 줄어들지 않은 단면의 재원을 사용하여 기본 휨 이론에서 구할 수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