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자본구조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자본구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SK텔레콤 선택이유
2. 회사개요
3. 사업영역
4. 대주주현황
5. 신용등급

Ⅱ. 본론
1. 재무분석
- SK텔레콤 재무비율과 산업평균치 비교
2. 자본구조와 기업가치
⑴ 최적자본구조 찾기
⑵ 부채와 기업가치
※EV/EVITDA에의 한 기업가치평가
3. 배당정책
⑴ SK텔레콤의 배당정책
⑵ 배당정책과 기업가치

Ⅲ. 결론
- 자본구조와 기업가치 & 배당정책과 기업가치에 대한 우리의 생각

본문내용

레콤에 비해 그래프의 기울기가 가파르지만 대체로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어 안정배당정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SK보다 배당을 더 많이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내부유보는 더 적게 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SK는 주주들에게 자본이득을 주려는 것이고 KT는 배당이익을 더 많이 주려는 것이다. SK와 KT가 속한 통신사업은 연구개발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K는 주로 휴대폰을 중심으로 사업을 하고 있는데 지금 현재 휴대폰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초등학생들까지도 들고 다니는 것을 생각해볼 때 휴대폰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다니는 필수품이 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휴대폰을 가지지 않은 사람은 꼭 현대인이 아니라는 말은 아니다. 여기서 우리가 하고픈 말은 휴대폰은 이제 살만한 사람들은 다 산 PLC에 의하면 성숙기에 속하는 제품이 되었다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금 현재 나오는 16화음, 24화음, 칼라 폰(color phone) 등과 같은 새로운 제품이 나와야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SK는 배당보다는 유보를 많이 하여 R&D에 투자하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러한 측면에서 볼 때 SK의 배당정책은 어찌 보면 당연한 정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KT의 배당수익률을 살펴보자.
배당수익률 (단위 : 원)
정부주주
민간주주
1999
주당배당금
150
500
결산일종가
179,000
179,000
배당수익률
0.08%
0.28%
2000
주당배당금
450
600
결산일종가
67,000
67,000
배당수익률
0.67%
0.89%
2001
주당배당금
720
720
결산일종가
49,950
49,950
배당수익률
1.44%
1.44%
KT의 배당수익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SK보다는 더 큰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수익률로만 보았을 때는 SK의 주식보다는 KT의 주식을 사는 것이 더 많은 배당을 받을 수 있어 더 이득이라는 단순한 판단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자본이득과 다른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여야 되기 때문에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 그러나 시장에 KT의 주식만이 있으며 이중에서 몇 연도에 이것을 구입할지의 문제라면 빨리 구입할수록 유리하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시간이 갈수록 배당수익률이 많이 높아지기 때문에 여기에 나오는 자료만 봐서는 빨리 구입하면 할수록 좋다고 판단이 된다.
다음으로 KT의 주가그래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KT의 주가그래프
우리는 위의 주가 그래프를 보고 한가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SK를 자본이득 중심의 배당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KT는 배당이익 중심의 배당정책을 채택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가정해보자. 그러면 자본이득 중심의 배당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기업은 시장에서 우선 배당을 적게 해주므로 주주들에게 배당이익 위주 기업보다 나쁜 신호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그래서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주가가 많이 오르지 않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면 유보를 통해 투자를 하여 더 많은 성과를 내서 기업가치를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KT는 SK보다 주가 즉 기업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이와 같은 신호효과를 증명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Ⅲ. 결론 - 자본구조와 기업가치 & 배당정책과 기업가치에 대한 우리의 생각
우리는 재무관리 시간에 부채를 통해서 자본조달을 많이 하면 기업가치가 극대화된다고 배웠다. 그래서 우리는 부채비율에 따른 기업가치가 어떻게 변화하느냐를 살펴보았고 그 이외에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조사해 보았다.
먼저, 부채비율에 따른 기업가치는 SK텔레콤의 부채비율과 주가변화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부채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주가가 극대화되는 것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부채를 통해 자본 조달함으로써 법인세 등의 세금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기업가치가 극대화된다고는 결론 내릴 수 없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기업가치평가 방법으로 예전에는 per를 통해서 투자가들이 많이 투자를 했는데 현재에는 EV/EVITDA를 통해서 EV/EVITDA가 낮게 평가 될수록 그 산업이 잠재적인 성장력이 있다고 판단함으로 이후에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기대함으로써 투자가들에게 신호효과를 줄 수 있다. SK텔레콤과 KT를 비교해서 보았을 때도 EV/EVITDA의 변화에 따른 주가 변화의 그래프도 같은 모양을 띄고 있다는 점에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리고 배당정책에 관한 것은 위에서도 이야기하였듯이 배당을 무조건 많이 한다고 해서 시장에서의 평가가 올라가고 그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업의 가치 즉 주가를 올리기 위해서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잘하여 미래 현금흐름을 증가시키거나 미래에 이익을 많이 내야 되는 것이지 이익도 없는데도 그저 배당만 많이 하면 결국에는 회사문을 닫아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가 위에서 살펴본 자본이득위주의 기업과 배당이익위주의 기업의 주가차이에서도 기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배당을 하여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물론 우리가 내린 결론이 정설이 아니며 우리가 제시한 자료들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여기서 말하는 모든 것들이 합리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에서 기업이 단기적인 이익을 위한 배당만을 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유보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그러한 배당정책을 하여야 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싶다.
참고자료
ㆍ『재무관리』, 이일균, 일신사
ㆍ『재무관리』, 심병구, 박영사
ㆍ『재무관리론』, 이기을, 박영사
ㆍ『현대재무관리』, 박정식, 다산출판사
ㆍ한국상장회사협의회(http://www.klca.or.kr)
ㆍLG투자증권(http://www.iflg.com)
ㆍ한국은행(http://www.bok.or.kr)
ㆍ한국신용정보(http://www.nice.or.kr)
ㆍ한국증권거래소(http://www.kse.or.kr)
ㆍ네이버증권(http://stock.naver.com)
ㆍ한국산업은행(http://www.kdb.co.kr)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4.03.26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