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조작 유아활동 계획안 10가지
본문내용
이야기 나눈다.
-어떤 그림이 있나요?
-이럴 때 친구 표정이 어떤가요?
-친구들이랑 사이 좋게 놀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② 게임 방법을 알아보고 친구와 함께 게임한다.
-어떻게 놀이하면 좋을까요?
-카드는 어떻게 섞으면 좋을까요?
-게임 순서는 어떻게 정할까요?
③ 놀이를 마무리한 후 평가한다.
-친구와 게임을 해보니 어땠나요?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다르게 게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놀이의 확장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 종이컵 전화기로 전달하기·친구 동작 따라하기
놀이기록
각자 나오는 놀이카드에 대해 이야기하여 표현하며 놀이가 이루어짐. 다만, 놀이카드가 한정적이어서 유아들의 흥미가 지속되지 못해 유아들의 놀이사진을 찍어 카드로 활용함으로써 유아들의 흥미를 유도하자 놀이가 활발해짐.
유아활동 계획안 (수조작)
교사
원장
놀이명
산에 나무를 심어요
주제
봄
영역
수조작
교사의 기대
기초적인 수 개념을 안다규칙을 지키며 게임에 즐겁게 참여한다.
누리과정관련요소
자연탐구>자연과 더불어 살기>주변의 동식물에 관심을 가진다.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물체를 세어 수량을 안다.
놀이자료
\'산에 나무를 심어요\' 교구 만들기
사전준비
① 그림자료를 인쇄한 후 오려 코팅한다.(게임판과 나무 그림을 2장씩 인쇄)② 게임판 뒷면에 우드락을 덧댄다.③ 게임판의 빈칸에 벨크로 테이프(보슬이)를 붙인다.④ 나무 그림에 벨크로 테이프(까슬이)를 붙인다.⑤ 주사위를 접어 붙인다
교사의 지원
상호작용 : 수 개념이 미숙한 유아는 개별적인 지원을 통해 놀이에 참여하도록 상호작용 하였다.자료 : 유아들이 나무를 직접 만들어 붙이고 싶다고 하여 필요한 미술 재료를 제공하였다.
놀이방법
① \'산에 나무를 심어요\' 게임에 관심을 가지는 유아와 이야기 나눈다.
② 교구를 보여주며 활동을 소개한다.
③ 친구와 함께 놀이한다.
1) 두 명의 유아가 게임판과 나무를 나누어 가진다.
2) 주사위를 굴려 환경에 이로운 요소가 나올 때만 게임판에 나무를 붙인다.
3) 먼저 나무를 모두 붙인 유아가 승리한다.
놀이의 확장
숲 만들기색깔 나무로 패턴 놀이 하기
놀이기록
게임 방법을 듣고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만큼 나무를 게임판에 붙이며 활동에 참여함. 주사위를 굴리는 과정에서 기대감과 흥미를 보임. 주사위에 나온 그림이 나무에게 도움이 되는지, 불편함을 주는지 고민하며 이야기 나누는 모습임. 또한, 놀이를 통해 숫자의 개념과 크기를 비교하며 숫자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키워가는 모습을 보임.
유아활동 계획안 (수조작)
교사
원장
놀이명
우리 교실 퍼즐 맞추기
주제
유치원/어린이집
영역
수조작
교사의 기대
우리 교실 모습에 관심을 가진다.소근육을 조절하여 퍼즐을 맞춘다.
누리과정관련요소
자연탐구>탐구과정 즐기기>궁금한 것을 탐구하는 과정에 즐겁게 참여한다.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물체의 위치와 방향, 모양을 알고 구별한다.
놀이자료
교실 사진으로 만든 퍼즐
사전준비
① 교실 사진을 찍은 후 두 장을 인쇄한다.② 한 장은 그대로 코팅하고 나머지 한 장은 15~20조각으로 나눈 뒤 코팅하여 퍼즐 조각을 만든다.
교사의 지원
자료 : 퍼즐을 직접 만들고 싶어 하여 교실 사진을 여러 장 제공하고 가위로 퍼즐 조각을 만들어 맞춰볼 수 있도록 하였다.공간 : 퍼즐 조각의 부분 그림을 보고 실제 공간을 찾고 싶어 하여 교실 내부를 이동할 때 부딪히지 않도록 놀이 공간을 넓혀주었다.
놀이방법
① 퍼즐 판인 교실 사진을 보며 이야기 나눈다.
② 교실 사진 퍼즐 조각을 살펴본다.
③ 우리 교실 퍼즐을 완성한다.
- 이 조각은 어디에 놓아야 할까요?
- 어떤 사진이 완성되었나요?
- 퍼즐 판 없이 퍼즐을 맞출 수 있나요?
놀이의 확장
우리 원 퍼즐 맞추기부분 사진 보고 연상 그림 그리기
놀이기록
퍼즐 판을 보고 퍼즐 조각을 놓으며 우리 반 퍼즐을 맞출 수 있는 모습임. 여러 번 반복하여 익숙해진 유아들은 퍼즐이 더 어려우면 좋겠다고 함. 이에 직접 퍼즐을 만들거나 퍼즐 조각을 더 여러 개로 제작함. 또한, 우리 반의 전체 사진뿐 아니라 부분 사진을 제공해 퍼즐을 맞춘 후 어떤 공간인지 직접 찾아보기도 하면서 우리 반 교실에 관심을 가져봄.
유아활동 계획안 (수조작)
교사
원장
놀이명
우리 반 놀이 영역 세어보기
주제
유치원/어린이집
영역
수조작
교사의 기대
우리 반 놀이 영역의 개수를 세어 수를 알아본다.새로운 기준을 정해 놀이 영역을 분류하고 수를 세어본다.
누리과정관련요소
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물체를 세어 수량을 안다.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일상에서 모은 자료를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놀이자료
우리 반 교실 사진, \'우리 반 놀이 영역 분류하기\' 활동지
사전준비
① 우리 반 교실 사진을 찍은 후 인쇄하여 벽면에 붙인다.
교사의 지원
자료 : 다른 반 교실의 사진을 보면서도 수를 세어보고 싶다고 하여 다른 반 사진을 찍어 추가로 제공하였다.
놀이방법
① 우리 반 사진에 관심을 가지는 유아와 교실을 둘러보며 우리 반 놀이 영역을 관찰한다.
-우리 반 사진을 보고 있군요. 우리 반 사진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실제 우리 반과 똑같나요? 다른가요?
-우리 반에는 어떤 놀이 영역들이 있나요?
② 우리 반 교실 사진을 보며 교실에 있는 놀이 영역의 개수를 세어본다.
-사진 속에 방금 살펴보았던 우리 반 놀이 영역이 있어요.
-우리 반에는 몇 개의 놀이 영역이 있는지 세어볼까요?
③ 기준을 정해 영역의 개수를 세어본다.
-책상과 의자가 있는 놀이 영역은 몇 개일까요?
-사진 속 친구들이 앉아 있는 영역은 몇 개일까요?
-매트에 앉아서 놀이할 수 있는 영역은 몇 개인가요?
-또 어떤 기준으로 놀이 영역을 분류하여 수를 세어볼 수 있을까요?
놀이의 확장
우리 반 놀잇감 분류 하기친구들이 좋아하는 놀이 영역 수 그래프
놀이기록
놀이 영역의 수가 많지 않아 큰 수를 세어본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수 세기를 통해 수와 양을 일치하는 경험을 함. 또한, 책상과 의자가 있는 놀이 영역, 매트가 있는 놀이 영역, 특정한 색깔이 들어간 놀잇감이 있는 놀이 영역 등 새로운 분류 기준을 만들어 수 세기를 해보기도 함.
-어떤 그림이 있나요?
-이럴 때 친구 표정이 어떤가요?
-친구들이랑 사이 좋게 놀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② 게임 방법을 알아보고 친구와 함께 게임한다.
-어떻게 놀이하면 좋을까요?
-카드는 어떻게 섞으면 좋을까요?
-게임 순서는 어떻게 정할까요?
③ 놀이를 마무리한 후 평가한다.
-친구와 게임을 해보니 어땠나요?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다르게 게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놀이의 확장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 종이컵 전화기로 전달하기·친구 동작 따라하기
놀이기록
각자 나오는 놀이카드에 대해 이야기하여 표현하며 놀이가 이루어짐. 다만, 놀이카드가 한정적이어서 유아들의 흥미가 지속되지 못해 유아들의 놀이사진을 찍어 카드로 활용함으로써 유아들의 흥미를 유도하자 놀이가 활발해짐.
유아활동 계획안 (수조작)
교사
원장
놀이명
산에 나무를 심어요
주제
봄
영역
수조작
교사의 기대
기초적인 수 개념을 안다규칙을 지키며 게임에 즐겁게 참여한다.
누리과정관련요소
자연탐구>자연과 더불어 살기>주변의 동식물에 관심을 가진다.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물체를 세어 수량을 안다.
놀이자료
\'산에 나무를 심어요\' 교구 만들기
사전준비
① 그림자료를 인쇄한 후 오려 코팅한다.(게임판과 나무 그림을 2장씩 인쇄)② 게임판 뒷면에 우드락을 덧댄다.③ 게임판의 빈칸에 벨크로 테이프(보슬이)를 붙인다.④ 나무 그림에 벨크로 테이프(까슬이)를 붙인다.⑤ 주사위를 접어 붙인다
교사의 지원
상호작용 : 수 개념이 미숙한 유아는 개별적인 지원을 통해 놀이에 참여하도록 상호작용 하였다.자료 : 유아들이 나무를 직접 만들어 붙이고 싶다고 하여 필요한 미술 재료를 제공하였다.
놀이방법
① \'산에 나무를 심어요\' 게임에 관심을 가지는 유아와 이야기 나눈다.
② 교구를 보여주며 활동을 소개한다.
③ 친구와 함께 놀이한다.
1) 두 명의 유아가 게임판과 나무를 나누어 가진다.
2) 주사위를 굴려 환경에 이로운 요소가 나올 때만 게임판에 나무를 붙인다.
3) 먼저 나무를 모두 붙인 유아가 승리한다.
놀이의 확장
숲 만들기색깔 나무로 패턴 놀이 하기
놀이기록
게임 방법을 듣고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만큼 나무를 게임판에 붙이며 활동에 참여함. 주사위를 굴리는 과정에서 기대감과 흥미를 보임. 주사위에 나온 그림이 나무에게 도움이 되는지, 불편함을 주는지 고민하며 이야기 나누는 모습임. 또한, 놀이를 통해 숫자의 개념과 크기를 비교하며 숫자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키워가는 모습을 보임.
유아활동 계획안 (수조작)
교사
원장
놀이명
우리 교실 퍼즐 맞추기
주제
유치원/어린이집
영역
수조작
교사의 기대
우리 교실 모습에 관심을 가진다.소근육을 조절하여 퍼즐을 맞춘다.
누리과정관련요소
자연탐구>탐구과정 즐기기>궁금한 것을 탐구하는 과정에 즐겁게 참여한다.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물체의 위치와 방향, 모양을 알고 구별한다.
놀이자료
교실 사진으로 만든 퍼즐
사전준비
① 교실 사진을 찍은 후 두 장을 인쇄한다.② 한 장은 그대로 코팅하고 나머지 한 장은 15~20조각으로 나눈 뒤 코팅하여 퍼즐 조각을 만든다.
교사의 지원
자료 : 퍼즐을 직접 만들고 싶어 하여 교실 사진을 여러 장 제공하고 가위로 퍼즐 조각을 만들어 맞춰볼 수 있도록 하였다.공간 : 퍼즐 조각의 부분 그림을 보고 실제 공간을 찾고 싶어 하여 교실 내부를 이동할 때 부딪히지 않도록 놀이 공간을 넓혀주었다.
놀이방법
① 퍼즐 판인 교실 사진을 보며 이야기 나눈다.
② 교실 사진 퍼즐 조각을 살펴본다.
③ 우리 교실 퍼즐을 완성한다.
- 이 조각은 어디에 놓아야 할까요?
- 어떤 사진이 완성되었나요?
- 퍼즐 판 없이 퍼즐을 맞출 수 있나요?
놀이의 확장
우리 원 퍼즐 맞추기부분 사진 보고 연상 그림 그리기
놀이기록
퍼즐 판을 보고 퍼즐 조각을 놓으며 우리 반 퍼즐을 맞출 수 있는 모습임. 여러 번 반복하여 익숙해진 유아들은 퍼즐이 더 어려우면 좋겠다고 함. 이에 직접 퍼즐을 만들거나 퍼즐 조각을 더 여러 개로 제작함. 또한, 우리 반의 전체 사진뿐 아니라 부분 사진을 제공해 퍼즐을 맞춘 후 어떤 공간인지 직접 찾아보기도 하면서 우리 반 교실에 관심을 가져봄.
유아활동 계획안 (수조작)
교사
원장
놀이명
우리 반 놀이 영역 세어보기
주제
유치원/어린이집
영역
수조작
교사의 기대
우리 반 놀이 영역의 개수를 세어 수를 알아본다.새로운 기준을 정해 놀이 영역을 분류하고 수를 세어본다.
누리과정관련요소
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물체를 세어 수량을 안다.자연탐구>생활 속에서 탐구하기>일상에서 모은 자료를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놀이자료
우리 반 교실 사진, \'우리 반 놀이 영역 분류하기\' 활동지
사전준비
① 우리 반 교실 사진을 찍은 후 인쇄하여 벽면에 붙인다.
교사의 지원
자료 : 다른 반 교실의 사진을 보면서도 수를 세어보고 싶다고 하여 다른 반 사진을 찍어 추가로 제공하였다.
놀이방법
① 우리 반 사진에 관심을 가지는 유아와 교실을 둘러보며 우리 반 놀이 영역을 관찰한다.
-우리 반 사진을 보고 있군요. 우리 반 사진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실제 우리 반과 똑같나요? 다른가요?
-우리 반에는 어떤 놀이 영역들이 있나요?
② 우리 반 교실 사진을 보며 교실에 있는 놀이 영역의 개수를 세어본다.
-사진 속에 방금 살펴보았던 우리 반 놀이 영역이 있어요.
-우리 반에는 몇 개의 놀이 영역이 있는지 세어볼까요?
③ 기준을 정해 영역의 개수를 세어본다.
-책상과 의자가 있는 놀이 영역은 몇 개일까요?
-사진 속 친구들이 앉아 있는 영역은 몇 개일까요?
-매트에 앉아서 놀이할 수 있는 영역은 몇 개인가요?
-또 어떤 기준으로 놀이 영역을 분류하여 수를 세어볼 수 있을까요?
놀이의 확장
우리 반 놀잇감 분류 하기친구들이 좋아하는 놀이 영역 수 그래프
놀이기록
놀이 영역의 수가 많지 않아 큰 수를 세어본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수 세기를 통해 수와 양을 일치하는 경험을 함. 또한, 책상과 의자가 있는 놀이 영역, 매트가 있는 놀이 영역, 특정한 색깔이 들어간 놀잇감이 있는 놀이 영역 등 새로운 분류 기준을 만들어 수 세기를 해보기도 함.
추천자료
'설날'을 주제로 한 브레인스토밍, 유목화, 개념망, 활동망, 주간교육계획안, 일일교육계획안
평가인증 통과한 10월 보육일지 - 가을 : 자연을 체험해요-
평가인증 통과한 10월 가을 보육일지 (6~7세 통합) :가을 열매와 곡식
평가인증 통과한 만3세 3월 1째주 우리반과친구: 선생님이 좋아요
평가인증 통과한 만3세 3월 3째주 우리반과 친구 : 친구가 좋아요 (식단, 교육계획안 포함)
평가인증 통과한 만3세 6월 2째주 동물 : 여러가지 동물도 있어요
평가인증 통과한 만3세 9월 5째주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 몸에 좋은 음식을 먹어요
평가인증 통과한 만3세 10월 3째주 가을 : 자연을 체험해요1
평가인증 통과한 만3세 10월 4째주 가을 : 자연을 체험해요2
어린이집 보육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