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영양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애주기영양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노인 암 환자의 영양상태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연구의 제한점
6, 연구 결과에 대한 본인의 의견
7, 실생활에 적용 방안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삶의 질이 현저히 낮다(James & Muhamman, 2010; Sun et. al., 2008). 췌장암의 가장 유일한 치료 방법 중 하나는 췌장절제술이다. 췌십이지장절제술은 치료기술과 수술기법의 발달로 인해 수술 후 사망률이 1-5%로 감소하였으나, 수술의 복잡성 및 질환의 주변 장기 침범 특성으로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이 약 30%로 여전히 높다(Cameron, Riall, Coleman & Belcher, 2006; 김은정 외, 2018). 이러한 췌장수술 후 합병증은 재원기간을 연장시키며 의료비용을 증가시킨다(Brooks et al., 2000; Holbrook, Margrave & Traverse, 1996). 평균 재원기간은 수술의 절차, 수술 후 합병증의 개수, 합병증의 중증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Brooks et al., 2000). Brooks et al.(2000)연구에서 췌십이지장절제술 전에 경피경간 담도 스텐트를 시행받은 환자의 총 재원기간은 길었으며 내시경적 담도 배액술 관삽입술을 받은 환자의 총 재원기간은 유의하게 짧게 나타났다. 담도 스텐트 삽입 여부는 수술 후 재원기간이 아닌 총 재원기간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임을 밝혔다. 또한 수술 전 재원기간이 총 재원기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술 후 재원기간은 수술 시간에 정비례하며 수술시 출혈량과 수혈의 횟수는 관련이 없었으며 수술 후 주요 합병증 또는 경미한 합병증의 발생이 수술 후 재원기간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7, 실생활에 적용 방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
1) 건강관리 지원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는 중년기 65세 이상 암환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건강 교육을 제공하여 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주 1, 2회 기본적인 바이탈 체크를 가정에서도 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고 교육, 지도한다.
객관적인 건강 행태 개선: 금연, 절주 교육, 운동 프로그램 제공
주관적인 건강 상태 유지: 정신 건강 상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제공
만성 질환 예방 및 관리: 건강검진, 만성 질환 관리 프로그램 제공
2)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
65세 이상 암환자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회적 교류를 증진하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3) 식습관 개선 지도
식습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식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영양 교육을 제공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4)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명상, 요가 등의 이완요법을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긍정적 이미지 제시: 홀로서기의 장점 강조, 긍정적 이미지 홍보
사회적 지지 시스템 강화: 독신 가구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이러한 방안을 통해 65세 이상 암환자의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노인 췌장암 수술 환자의 영양지표와 재원기간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재원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 상급종합병원 간담췌외과에 입원하여 2010년 1월 1일부터 2020년 09월 30일의 기간 동안 췌십이지장절제술을 받은 만 65세 이상의 환자 중 췌장의 악성질환으로 진단받은 102명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수술 전 혈액학적 검사, 재원기간, 영양지표로 노인영양위험지수(Geriatric Nutritional Risk Index, GNRI)와 예후영양지수(Prognostic Nutritional Index, PNI)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와 Independent t-test, ANOVA,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영양지표의 GNRI의 평균은 95.66(±6.95)점이었으며 Low GNRI(영양불량
군)가 69명(67.6%), High GNRI(정상군)는 33명(32.4%)이었다. PNI의 평균은 45.46(±5.65)점이었고 Low PNI(영양불량군) 56명(54.9%), High PNI(정상군)은 46명(45.1%)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총 재원기간은 23.12±10.69일, 수술 전 재원 기간은 5.81±3.87일, 수술 후 재원기간은 17.30±9.34일 이었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영양지표의 차이는 Low GNRI에서 입원 전 1달간 체중감소(χ2=5.615, p=.020)와 입원 전 1주일간 식사량감소(χ2=6.268, p=.014)가 HighGNRI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술 후 합병증의 CD grade ≥II인 대상자는 Low GNRI(χ2=8.185, p=.004)와 Low PNI(χ2=6.771, p=.009)에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재원기간의 차이는 여성인 경우(t=-2.087, p=.039), 입원 1주일 전 식사량 감소가 있는 경우(t=-3.556, p=.001) 수술 전 재원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다. 재원기간 내 5%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는 대상자가 총 재원기간과(t=-2.115, p=.037) 수술 후 재원기간(t=-2.115, p=.037)이 유의하게 길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한 대상자가 총 재원기간(t=-3.897, p<.001)과 수술 후 재원기간(t=-4.472, p<.001)이 길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생애주기영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출처: 노인 췌장암 수술 환자의 영양지표와 재원기간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종양간호 전공 전 소 영, 2020년 12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5.04.02
  • 저작시기202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3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