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탑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나라 탑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탑의 의미와 명칭

2. 탑의 기원과 나라별 변천

3. 우리 나라 탑의 연원과 형성 과정

4. 탑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

본문내용

가진 호족들이 절을 지음에 따라 탑의 모양에도 지방적인 면이 드러난다. 옛 신라 지역의 탑들이 전형 양식의 신라탑을 계승했다면, 옛 백제 지역인 충청남도에는 얇은 판석으로 지붕돌을 삼고 상승감을 강조한, 정림사터 탑을 닮은 탑이 많이 세워졌다. 또 옛 고구려 지역에는 묘향산 보원사의 팔각십삼층석탑이나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의 팔각구층석탑처럼 여러 개의 모난 지붕돌을 쌓은 탑들이 세워졌다.
고려말 원나라 복속기에는 불교의 한 갈래인 라마교의 영향을 받은 탑이 경기도 개풍군 경천사에 세워졌고 지금은 서울의 경복궁에 있다. 기단부에서부터 亞자 모양으로 목조건축 세부와 같은 조각이 섬세하게 새겨지고, 부처의 모습과 코끼리나 사자 같은 불교의 상징물들을 곳곳에 새긴 이 탑의 모습은 조선 초기 원각사터(탑골공원)에 세워진 십층석탑과도 이어진다.
4. 탑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
이처럼 다양한 탑의 모습과 느낌은 시대 상황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익산 미륵사터의 탑은 삼국간의 세력 다툼이 치열해진 7세기 초반에 무왕이 백제의 국력과 강력한 왕권을 과시하려고 세운 것이다. 왕비가 미륵불을 보았다는 자리에 절을 지으면서 이름을 미륵사라 붙였는데, 임금 곧 무왕 자신이 미륵불의 발현이라는 생각을 심으려는 목적으로 세운 것이다.
그런가하면 감은사터의 쌍탑은 삼국 통일 직후에 신라와 백제의 기술을 합쳐 신라적인 힘과 백제적인 우아함을 조화시킴으로써 통일의 의미를 살리려고 힘쓴 것이다. 8세기 중엽에 축조된 석가탑은 통일 왕국의 안정됨을 보여준 것이며, 다보탑은 화려한 변형으로 문화적인 다양함을 발현해 보였다고 하겠다.
국가적인 축조물인 이런 탑들과는 달리 지역적인 토속성을 살린 운주사의 천불탑에서는 하나의 탑으로 힘을 모으기보다는 집합성에 의미를 두려는 표현 의지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석가탑으로 완성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몸돌에 꽃무늬를 그린다거나 지붕돌로서 부처의 연화좌를 겹겹이 쌓는다거나 하여 엄격한 형식을 파괴하고 자유로운 표현을 드러내게 된 것이다.
이런 다양성을 보이는 우리 나라 탑의 특성은 화강암이 풍부한 자연 조건을 최대한 살려 돌이라는 재료로 고유한 형식을 창안해내고 다양한 변화를 시도한 데에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의 탑과 석조물 http://user.chollian.net/∼mansegmj
이승훈의 신한국기행 http://kitel.co.kr/∼sunghoon/

키워드

,   목조탑,   석탑,   조형,   조형예술,   전탑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4.09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