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등과 불평등에 관한 전반적 개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등과 불평등에 관한 전반적 개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육에서의 평등의 개념

3. 교육평등관의 변천과정
(1)교육기회의 허용적 평등
(2)교육기회의 보장적 평등
(3)교육조건의 평등
(4)교육결과의 평등
(5)사회개혁에 의한 교육평등
(6)교육평등정책의 단계적 성격

4. 교육과 평등에 관한 연구 동향

5. 불평등과 차별
(1)교육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접근

6. 교육기회의 분배
(1) 교육기회 분배의 결정 요인
(2) 균등한 교육기회 분배

※참고 : 교육기회의 분배상황과 결정요인
1. 교육기회분배 상황의 측정
2. 한국의 분배상황

본문내용

육과 교육기회 균등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게 된다.
가족의 가치관과 '무관한 단계에서의 아동'은 세 번째 단계로서, 후기 산업사회나 높은 수준을 지닌 복지 국가에서 나타난다. 가족의 가치관이 변함에 따라 기존의 가족질서는 붕괴되고, 새로운 세대와 함께 새로운 가치관이 다시 형성된다. 학교는 그것이 산업화단계에서 가졌던 가족의 활발한 지지의 상당부분을 잃게 되고, 가족이 그들의 아동에게 부과했던 성취동기는 드문 현상이 된다. 이 단계에서 각 단위의 가족들은 교육을 재정 지원해야하는 책임을 공공 재원을 조달하는 정부에 전가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등한 기회와 교육에 투자되어야 할 보다 많은 재원과 재화에 대한 보다 강력한 가족의 요구가 발생한다.
따라서 교육기회 균등을 위하여 학교는 학생들이 유형의 자원에 의해 제공되는 기회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수준 높은 무형의 요소들을 공급하여야 한다.
참고 : 교육기회의 분배상황과 결정요인
1.교육기회분배 상황의 측정
1) 취학률
-한 학교급(學校級) 또는 학년의 취학해당인구 가운데 실제로 취학하고 있는 학생수의 비율
2) 진급률
-입학당시의 학생수를 기준으로 하여 각 학년마다 진급한 학생수의 비율을 고려하려는 집단별로 계산하는 것
시계열적(時系列的) 경향을 알아보는데는 편하나 진급률이 100%에 달하는 우리나라에서 교육기회분배 상황을 측정하는 데는 도움이 안된다.
3) 탈락율
-기준년도 학생수에 대한 각 학년별 낙제자와 퇴학자를 합한 수의 비율
진급률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4) 교육선발지수
-전체 학생에 대한 집단별 학생의 구성비의 전체 인구에 대한 해당 집단인구의 구성비의 비율
어느 집단이 얼마나 많이 또는 적게 교육기회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5) 지니계수
-경제적 소득의 분배상황을 말해주는 지수를 교육기회의 분배상황측정에 빌려온 것
집단별 선발지수를 모아서 하나의 종합지수로 표시한 것과 같은 것으로, 각 집단이 차지하고 있는 교육기회의 양과 인구비례로 차지했을 때의 양 사이의 차이를 수치로 표시한 것
2. 한국의 분배상황
대학진학상황에 대비한 입학정원분표(1990년)
단위 : 퍼센트
시도별
대학정원
구성비
(A)
고교졸업자 구성비(B)
A/B
진학희망자 구성비
(C)
A/C
대학진학자 구성비
(D)
A/D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6.2
9.7
4.4
2.6
5.0
5.0
11.9
4.7
4.5
4.6
6.3
1.9
7.3
5.0
0.9
27.2
7.7
5.6
2.9
4.5
2.8
8.1
4.3
3.2
5.2
6.2
5.9
8.1
7.0
1.3
0.96
1.26
0.79
0.90
1.11
1.79
1.47
1.09
1.41
0.88
1.02
0.32
0.9
0.71
0.69
29.2
8.7
6.1
2.9
4.9
3.1
7.2
3.6
3.1
4.6
6.1
4.9
6.9
7.3
1.4
0.9
1.15
0.72
0.9
1.02
1.61
1.65
1.31
1.45
1.00
1.03
0.39
1.06
0.68
0.64
25.5
9.8
7.6
2.8
6.3
4.4
6.1
3.9
3.2
3.3
6.4
4.4
6.2
8.6
1.5
1.04
0.99
0.58
0.93
0.79
1.14
1.95
1.21
1.41
1.39
0.98
0.43
1.18
0.58
0.6

100.0
100.0
100.0
100.0
자료 : 중앙교육평가원, 1990./교육통계연보, 1990
*전문대학, 교육대학, 각종대학은 제외.
농촌지역의 인구비례 고등교육 기회점유율 추이(서울대)
단위 : 퍼센트
구분
1962
1975
1986
1992
읍면 출신학생구성비(A)
읍면 인구 구성비(B)
25.4
72.0
12.5
51.6
13.0
34.3
9.1
25.9
선발지수(A/B*100)
35
24
38
35
자료 : 인구주택 총조사 보고서, 서울대 학생생활 연구소, 신입생 현황 자료집
대학생중 여학생구성비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25.7
26.7
29.9
25.1
32.6
38.8
단위 : 퍼센트
자료 : 한국의 교육지표 1991, 한국교육개발원
*전문대, 교육대는 포함되지 않음.
부의 직업별 자녀의 교육정도(1979)
부 의 직 업
중졸이하
고등학교
대 학
계(N)
도 시
중소기업인
행정·관리직
전문기술직
사무직
자영상인
자영서비스/기능인
피용기능공
단순노무자
12.5
9.7
18.5
11.2
20.7
26.2
58.3
81.4
12.5
27.8
23.1
35.5
36.5
40.5
33.3
13.9
75.0
62.5
58.3
53.3
42.9
33.3
8.3
4.7
100.0(32)
100.0(72)
99.9(108)
100.0(107)
100.1(266)
100.0(42)
99.9(12)
100.0(43)
농 촌
부 농
중 농
소농/빈농
40.4
56.3
71.4
26.2
30.9
20.1
33.3
22.9
8.5
99.9(195)
100.1(463)
100.0(562)
단위 : 퍼센트
출처 : 한국대학교육협의회(1983 : 122)
중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별 진학고등학교의 계열선택
계 열
배 경



전 체
인문계
(%)
실업계
(%)
588
(85.8)
97
(14.2)
443
(64.5)
244
(35.5)
313
(43.8)
402
(56.2)
1,373
(63.95)
774
(36.05)

(100.0)
(100.0)
(100.0)
(100.0)
단위 : 명
참고문헌 ------------------------------------------------------
1. 권건일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문사, 2003.
2. 김신일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3.
3. 송준수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98.
4. 최충옥 외,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2003.
5. 오욱환 지음, 학교교육과 불평등, 교육과학사, 1996.
6. 김영화 지음, 한국의 교육불평등, 교육과학사, 1993.
7. 죤W.가이드너 지음, 김영식 옮김, 교육의 수월성과 평등, 재동문화사, 1992.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4.1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4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