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uretics의 임상 적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iuretics의 임상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cetazolamide

2. loop diuretics: furosemide, ethacrynic acid

3. thiazide diuretics: chlorthalidone, indapamide

4. spironolactone: antagonist of aldosterone

5. mannitol

본문내용

는 저칼륨증
(5) 약리작용 및 효능
a) 원위 신세뇨관에서의 Na+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K+ 배설을 억제하는 K+ 저류성 이뇨 제임
b) AMR(amiloride)은 세뇨관에 직접 작용하며 SPR은 Aldosterone에 길항제임
c) 혈압강하작용은 약하여 단독으로 보다는 HCTZ, IDP 또는 FSM 사용 시 저칼륨혈증의 예방목적으로 병용함
d) CHF, liver cirrhosis, nephrotic syndrome, K+ 결핍으로 인한 실조성 심부전증에 사용 함
e) 1차 hyperaldosteronism에 의한 부종에 사용함
(6) 약물체내동태
경구투여로 잘 흡수되어 생체 내 이용률이 90%이상이고, 음식물에 의해 흡수가 증가한다. 단백결합은 90%이상으로 매우 높고, 간에서 대사되며, 약 25-30%가 canrenone으로 변환 된다. 반감기는 1일 1-2회 투여 시 13-24시간, 1일 4회 투여 시 2-3일 후 최고효과가 나 타난다. 배설은 대사체의 형태로 신장으로, 이차적으로 담즙으로 배설된다.
(7) 약물상호작용
a) 항응혈제, heparin과 병용 시 혈중 procoagulant factor의 농도가 혈장용적이 감소함으 로써 증가하고 간울혈의 개선에 의한 간기능이 개선되어 procoagulant factor의 생합성 이 증가되어 항응혈효과가 감소된다.
b) ACE 저해제, cyclosporin, 다른 K+저류 이뇨제, 저염우유, K+함유 약제병용시 혈중 K+ 축적을 증진시켜 특히 신부전환자에게 고칼륨혈증을 유발한다.
c) digoxin과 병용투여 시 digoxin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므로 digoxin의 용량감소나 투여간 격을 늘리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d) lithium과 병용 시 lithium의 신소실률이 감소되어 독성이 증가되므로 병용이 바람직하 지 않다.
(8) 부작용
a) 과칼륨혈증: 지각마비, 근무력감, 피로, 빈맥, ECG변화, 사지마비, 쇼크
b) 오심, 구토, 식욕부진, 설사, 복통
c) BUN치 상승
d) 탈수, 저 Na혈증, 기면, 구강건조, 졸음, 구갈
e) 여성형 유방, 월경이상, libido 감소, impotence
(9) 주의
a) 간경변증환자, 디기탈리스제, 당질부신피질호르몬제, ACTH투여환자(저칼륨혈증 생김)
b) 임신부 : Category D
5. mannitol
* Osmotic diuretics
삼투성 이뇨제 mannitol과 isosorbide가 있다. 이들은 직접적인 약리적 활성은 없다.
작용부위
: 삼투성이뇨제는 근위세뇨관, 헨레고리의 하행각, 집합관과 같은 수분투과성이 있는 세뇨관조직에 작용한다.
작용기전
: 삼투성 이뇨제는 자유롭게 사구체에서 여과되나 재흡수는 일부만 이루어진다. 세뇨관의 삼투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수분의 재흡수를 감소시키고 내강내의 Na+ 농도를 감소시킨다. 이는 Na+ 재흡수의 감소로 이어진다.
세포내로부터의 수분소실은 세포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이는 renin 분비를 억제하여 부종을 방지하게 된다.
투여경로
: Mannitol은 정맥으로 투여되며 isosorbide는 경구로 투여한다.
적응증
: 희석된 소변의 과도 배설과 함께 수분섭취 증가가 있는 다뇨증시에 사용된다. 발생되는 기저질환으로는 당뇨와 요붕증이 있다. 삼투성 이뇨제는 또한 두개강 내압 및 안압(녹내장)의 상승 시나 급성신부전, 특히 약물중독에 기인할 때 발생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Na+ 배설의 증가가 수분 배설의 증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Na+ 저류 시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금기
: 심부전 환자에서는 세포내로부터 수분의 제거와 세포외액 부피의 확대로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어 삼투성 이뇨제의 사용이 제한된다.
이상반응
: 저나트륨혈증, 두통, 오심, 구토증세가 나타난다.
Mannitol
(1) 상품명
Mannitol
(2) 코드명
25MI(25%용액 100ml/BT), 15M2.5(15%용액 250ml/BT)
(3) 성분명
Mannitol
(4) 용법 및 적응증
D-mannitol로서 통상 1회 1-3g/kg을 15%, 20%, 25% 액으로 점적정주(1일 Max,200g)
적응증: 급성 신기능 장애 시 감뇨 상태에서 이뇨증진
수술 전 초자체량과 안내압의 감소, 부종으로 인한 뇌압의 감소
(5) 약리작용 및 효능
a) mannitol 고장액으로 삼투성 이뇨제
b) 뇌용적 축소 및 뇌압강하작용이 있음
c) 생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신장에서 용이하게 배설되며 세포외액에만 분포하므로 rebound 현상이 거의 없음
d) 두개내압 항진, 뇌부종, 두부외상, 뇌수술에 사용함
(6) 약물체내동태
반감기는 약 100분이고 급성 신부전시 36시간으로 연장되며 이뇨작용은 1-3시간 후, 뇌 및 안내압의 감소는 주입시작 후 15분내에 나타난다. 주입 30-60분후 안내압이 가장 많이 감소하고 그 작용은 4-8시간 지속된다. 극히 소량이 간에서 glycogen으로 대사되고 신장 으로 80%가 3시간 이내에 배설된다.
(7) 약물상호작용
a) digitalis 배당체와 병용시 hypovolemia에 의해 digitalis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b) carbonic anhydrase 저해제 등의 이뇨제와 병용시 이뇨 및 안압 감소 효과가 증강될 수 있다.
(8) 부작용
흉부압박감, 가슴의 동통, 발열, 두통, 구역, 폐의 출혈, 시야몽롱, 구토, 현기증, 오한, 구 갈, 경련, 전해질 실조의 탈수증상
(9) 금기
a) 급성 두개내의 혈압이 높은 환자
b) 심한 울혈성 심부전이 있는 환자
c) 심한 탈수상태의 환자
(10) 임상간호
a) 정맥내로 점적투여만 해야 한다.
b) 혈액 주입 시 혼합 사용하지 않는다.
c) 치료 중 수분섭취와 배설을 기록한다.
d) 저온에서는 결정이 석출되므로 따뜻하게 중탕하여 사용한다.
** 참고문헌 **
강구일, 주일로 등 공역 : 간추린 약리학, 정문각 2002
김옥녀 : 제5판 임상약리학 수문사, 1999
CMC 의약품집 7개정판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http://www.medipark.net
/
--------------- 감사합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4.1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