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통제기법의 정의와 실천과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기통제기법의 적용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통제기법의 정의와 실천과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기통제기법의 적용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자기통제기법의 이해

II. 자기통제기법의 실천과정
1. 기준 설정
2. 자기 관찰
3. 자기 평가
4. 자기 보수, 자기 처벌

III.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자기통제기법의 적용사례
1. 대상 아동
2. 지도 재료
3. 지도 과정
4. 지도 결과
5. 논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훨씬 많이 양치질을 하게 되면 자기 평가의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동일 대상의 아동에게 2가지 이상의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였을 때 나타나는 행동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지도법의 효과를 알 수 있다.
(4) 지도 결과
양치질을 하는데 소요된 시간과 치아의 어느 부분을 닦았는가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1) 양치질을 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그림. 평균 양치질 시간
먼저 양치질을 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었는가를 알아보자. 위의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베이스라인 I, II단계에서는 거의 양치질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 평가를 실시한자기 평가 i에서는 양치질을 하는 시간이 갑자기 증가하였다. 그리고 날 후 다시 베이스라인의 상태로 돌아가면 양치질 시간이 다시 줄어들지만, 자기 평가의 절차를 집어넣으면 다시 증가하는 현상이 반복되었다. 그 다음에 개정 자기 평가로 바꾼 결과, 이제까지보다 양치질 시간이 더 길어졌다.
2) 치아의 어느 부분을 닦았는가?
양치질하는 시간이 아무리 길어도 계속 같은 부분만 닦는 경우에는 바람직한 양치질이라고 할 수 없다. 같은 시간이라도 치아 전체를 골고루 닦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치아를 6개 부위로 나누었다. 즉, 윗니의 오른쪽-왼쪽-중앙 부위, 아랫니의 오른쪽-왼쪽-중앙 부위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 6개의 부위 가운데 어디를 닦았는지에 대해서 관찰, 기록을 하고 그 결과 치아의 어느 부위를 닦았는지에 대한 결과도 양치질을 한 시간과 대응하여 비슷하게 나타났다. 자기 평가의 실시는 양치질을 하는 시간만이 아니라, 치아 전체를 골고루 잘 랄는 행동에도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5) 논의
이런 실험 결과는 무엇을 이야기해 주고 있는가? 이 사례는 교사가 양치질을 시키지 않아도 아동들은 얼마든지 자기 평가를 통해서 스스로 양치질을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행동의 목표와 실천, 평가를 아동들 자신에게 맡기는 것이 교사가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그렇다면 왜 자기 평가만으로도 행동의 개선이나 형성에 효과가 있는 것일까? 아동들이 자발적으로 양치질을 하지 않는 것은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아직 어리기 때문이 아니라, 양치질을 하고자 하는 의욕이 없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아동들의 행동을 관찰해 보면 이런 경우는 얼마든지 있으며,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의욕을 이끌어낼 수 있는가라고 하는 것이다. 이 같은 의욕을 이끌어내는 방법 가운데는 자기 평가나 모델링 등이 있다. 본 사례에서는 자기 행동에 대한 자기 평가의 과정을 도입하였다. 아동들은 양치질을 할 때 오늘은 정말 "잘했다"는 도장을 찍고 싶다는 기분이 작용하였을 것이고, 그래서 어제보다는 더 열심히 하고자하는 기분이 생성되면서 양치질을 잘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부모나 교사는 아동이 하기 싫어하는 것을 억지로 하게 하는 것보다는 열심히 하고자 하는 기분이 생성될 수 있도록 자기 평가와 같은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사례에서 개정 자기 평가의 과정을 도입하자 이전의 자기 평가보다 양치질 시간과 양치질의 부위 면에서 훨씬 향상된 행동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개정 자기 평가의 도입으로 인해 "잘했다"라고 하는 도장을 찍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되는가에 대한 목표가 막연하지 않고 명확해지는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양치질을 열심히 하고자 하는 기분이 이전보다 강하게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사례를 통하여 아동들의 기본적 생활 습관의 형성을 위해서는 부모나 교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지시하거나 간섭하는 것보다는 일련의 자기 목표(이 정도까지는 해보자) -> 행동(실제 해본다)자기 평가(어느 정도 가능했는가)의 과정이 아이 스스로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9.04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