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제와 직위분류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계급제(rank system)>
1> 개념
2> 특징
3> 장.단점

<직위분류제(position classifiation system)>
1> 개념
2> 미국에서 발달한 이유
3> 장점
4> 단점-계급제의 장점
5> 관련용어
6>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와의 관계

본문내용

위의 집합을 말한다. 즉, 같은 종류의 직무이면서 같은 계급이다.
직렬(75개) series of classes - 직무성질은 비슷하나 곤란도·책임도가 다른 직급의 집합을 말한다. 토목기술직이지만 책임경중과 직무곤란도에 따라 상·중·하계급으로 구분한다. 이들은 전부 토목직렬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같은 종류의 직무이지만 계급은 다르다.
직류(141개) sub-series - 직렬을 세분화한 것. 즉, 같은 직렬내에서 담당분야가 동일한 직무의 군을 말한다. 즉, 같은 종류의 직무에서 세분화된 직무이다.
직군(18개) occupational group - 직무의 성질이 광범위하게 유사한 직렬을 모아놓은 무리를 의미한다(직열 집합) 따라서 경제분야, 건설분야, 내무분야 등같이 직위분류제의 가장 큰 단위라고 할 수 있다.
등급 grade - 계급제의 rank로서 직무성질은 다르지만 곤란도.책임도 및 자격수준이 비슷하여 동일한 보수를 지급하게끔 모든 직위를 등급화한 것이다.
6>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와의 관계
상대방의 장점을 현실에 맞게 도입해 나가는 추세이다.
1. 영국의 흐름
농업사회(동질사회)에서는 행정업무도 단순하고 법학이나 일반교양 등 폭넓은 지식을 요구했고 따라서 교양적인 일반행정인(generalist)으로서 족하였음. 그러나 산업사회(이질사회)화하는 과정에서 전문성과 기술성이 필요하게 되어 따라서 행정전문가(specialist)요구되게 됨.
- 1968년 Fulton보고서는 계급제의 폐지와 직무평가제의 도입 등을 건의하였는데 이 건의에 따라 1971년 행정. 집행. 서기계급이 단일 행정그룹으로 통합되었고 외부로부터의 임용이 보다 확대됨(개방형)
요오크셔시. 시청 국.과장자리가 비었을 경우 공직경력과 전공분야 등 일정한 지원자격을 부여하여 개방형으로 전국에 공개로 모집한 뒤 신청자를 엄정 심사하여 채용하는 신축적 인사관리제도 추진함
2. 미국의 흐름
고도의 전문화와 분화로 인하여 행정의 신축성과 탄력성을 유지시키기 어려운 미국에서는 오히려 계급제가 가지는 장점을 취하려는 시도가 있었음
- 2차대전후 후버위원회는 '고급공무원단'을 건의함. 그 후 1978년 공무원제도개혁법에 의거 고급관리자단(Senior Executive Service)을 설치함으로써 직위분류제에 계급제적인 요소를 도입하였는데 이 제도 내 공무원은 실적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만약 실적이 저조한 경우에는 제재를 가할 수도 있음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4.1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