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머릿말
2.도교란 무엇인가?
1)도교의 탄생
2)도교의 교리
3)한국의 도교
3.마무리 말
2.도교란 무엇인가?
1)도교의 탄생
2)도교의 교리
3)한국의 도교
3.마무리 말
본문내용
(元始天尊像)을 모시고 달마다 초제(醮祭)를 지냈고 청연각(淸燕閣)에서 노자 도덕경을 강론토록 하였다고도 한다. 이러한 도교의 성행은 민간에 수경신(守庚申)이라는 도교습속(道敎習俗)까지 낳게 하여 그 풍습이 오늘에 이른다. 조선시대로 넘어 오면서도 재초 중심의 도교는 그대로 이어졌으나 중종(中宗:1506~1544)
때에 이르러서는 조광조(趙光祖:1482~1519) 등의 유학 선비들의 상소로 소격서(昭格署:재초 등 도교행사를 관장하던 관청)가 혁파(革罷)되는 등 점차 위축되어 갔으며, 임진왜란(1592) 이후에 초제를 행하는 의식도교의 모습은 완전히 없어졌다.
그러나 궁중이나 민간에 뿌리내려진 수경신 등의 도교풍습은 그대로 존속하여 왔고 식자층에서는 노자 ·장자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더불어 양생 보진의 수련도교에 종사하는가 하면 참동계(參同契) 용호비결(龍虎秘訣) 등의 도서(道書)를 주해 및 연구 저술하는 사람들이 있어 도교의 사상적 측면은 계속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도교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이후 크게 의식도교와 수련도교의 두 맥을 이루면서 종교사상은 물론 문학 ·예술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3.마무리 말.
지금까지 도교에 관하여 글을 써가면서 도교에 대하여 새로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도교란 신선이 되기 위한 그런 교리를 말한것인줄로만 알았는데 도교에서 신선이 되기 위한 방법과는 달리 많은 사상들을 엿볼 수가 있었다.
지금껏 글을 써가면서 도교는 종교사상은 물론이거니와 종교예술 문화와 모든 생활 전반에 걸쳐서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가 있었다.
때에 이르러서는 조광조(趙光祖:1482~1519) 등의 유학 선비들의 상소로 소격서(昭格署:재초 등 도교행사를 관장하던 관청)가 혁파(革罷)되는 등 점차 위축되어 갔으며, 임진왜란(1592) 이후에 초제를 행하는 의식도교의 모습은 완전히 없어졌다.
그러나 궁중이나 민간에 뿌리내려진 수경신 등의 도교풍습은 그대로 존속하여 왔고 식자층에서는 노자 ·장자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더불어 양생 보진의 수련도교에 종사하는가 하면 참동계(參同契) 용호비결(龍虎秘訣) 등의 도서(道書)를 주해 및 연구 저술하는 사람들이 있어 도교의 사상적 측면은 계속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도교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이후 크게 의식도교와 수련도교의 두 맥을 이루면서 종교사상은 물론 문학 ·예술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3.마무리 말.
지금까지 도교에 관하여 글을 써가면서 도교에 대하여 새로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도교란 신선이 되기 위한 그런 교리를 말한것인줄로만 알았는데 도교에서 신선이 되기 위한 방법과는 달리 많은 사상들을 엿볼 수가 있었다.
지금껏 글을 써가면서 도교는 종교사상은 물론이거니와 종교예술 문화와 모든 생활 전반에 걸쳐서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