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원형의 폐허들」에서의 ‘꿈’
② 「죽음과 나침반」에서의 탐정소설의 이중구조
③ 「틀뢴, 우크바르, 오르비스 테르티우스」에서의 환상소설의 형이상학적 면
② 「죽음과 나침반」에서의 탐정소설의 이중구조
③ 「틀뢴, 우크바르, 오르비스 테르티우스」에서의 환상소설의 형이상학적 면
본문내용
뢴의 존재는 <알스 오브als ob>의 철학에 기반을 둔 것이다. 베아트리즈 사를로는 “ ‘알스 옵’식 전제는 현실을 생산해내는 언어의 힘, 혹은 적어도 현실이라 부를 수 있을 관념적 관점으로부터 나온 힘에 근거하고 있다“라고 했다. 언어로 형성된 틀뢴은 백과사전 식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틀뢴은 관념에서만 존재하는 형이상학적인 세계이다. 이 곳의 사람들이 공간을 고려하지 않듯, 틀뢴은 실존과 존재가 분리된 채 존재한다. 틀뢴은 허구의 혹성이지만 소설의 후반부에 이르면서 그것의 비현실성이 우리의 현실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파악할 수 없는 현실 앞에서 인간들이 자신들만의 현실(틀뢴)을 창안해내지만 이것 또한 우리의 현실 자체가 ‘자신이 실패한 건축물을 만든 신’의 불완전한 건축물임을 인정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환상수첩』비평·감상
과학적 상상력과 환상의 관계
90년대 이후 환상시의 양상과 새로운 의미
환상 여행(미셸투르니)독후감 A+
환상동화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해서 서술
환상동화와 생활동화, 그림책의 교육적 의미
환상동화의 특징, 교육적 의의 및 역사, 유형, 평가준거.
환상서사이론을 적용한 영화분석 - 웰컴 투 동막골, 반지의 제왕을 중심으로-
환상서사 이론으로 분석한 소설 장마, 손님 (윤흥길 소개)
환상과 리얼리티
[언어지도] 환상동화의 본질(정의와 특성, 유아교육적 가치)과 환상동화의 역사(환상동화와 ...
최인훈의 환상성, 환상성 속의 세계
(동화 ) 환상동화, 정보동화, 사실동화의 교육적 가치, 특징 등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