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case study 열성 경련과 아동 학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case study 열성 경련과 아동 학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고찰

1) 아동병동 아동 사정
3)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진단명 : 열성 경련 ( febrile convulsion )
․ 원인 또는 유발 요인 과 빈도
․ 주 증상 또는 주요 검사 소견
- 주요 검사 소견
․ 진단방법
․ 감별 진단을 요하는 질환 : 간질
․ 치료
4. 투약
․ 합병증 및 예후
4) 기타 - 제반 지식
★아동학대

Ⅱ 본론

1. 간호 문제
2. 간호 진단
#1. 고체온의 위험성(1, 2, 3, 4)
#2. 경련과 관련된 신체 손상의 위험성(5, 6, 7)
#3. 고체온, 열성 경련에 의한 수분손실과 관련된 잠재성 체액부족(8, 9, 10, 11, 12, 13)
#4. 입원과 관련된 아동의 불안(14, 15, 16, 18, 19)
#5. 학대와 관련된 두려움과 사회 적응 장애(17, 20, 21, 22, 23, 24, 25)

Ⅲ 결론

1. 연구 결과

본문내용

. 대상자는 39.4 의 고열을 동반하여 해열제를 근육 주사하고 해열제를 경구 투약하며, 미온수 마사지등을 실시하였으나 열이 떨어지지 않아 1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였다.
또한 대상자는 경련으로 인한 신체 손상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고, 고체온과 경련으로 인해 체액 부족하여 탈수의 위험이 있었으며, 입원을 두려워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2년전 아동 학대 경험으로 인해 성인을 많이 두려워하고 어머니와 떨어지는 것을 무서워하였다. 또한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친구가 없는 등 사회 적응력이 많이 떨어진 상태였다. 대상자의 부모님은 6살인 대상자가 오랜 기간 경련을 하여 많이 불안해했으며, 정밀 검사를 하길 원했었다.
5개의 간호 진단을 내렸는데 먼저 『고체온의 위험성』을 첫 번째로 진단 내렸다. 대상자는 열성경련을 진단 받은 대다가 28일 응급실을 통해 입원당시 39.4 로 고체온 상태여서 대상자의 체온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였었다. 체온이 정상 범위를 유지하여야 대상자가 경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체온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대상 아동의 체온을 한 시간 단위로 측정하고 차트에 기록 하였고, 아동이 추위를 호소하여 이불을 덮어 주었고, 오한기가 사라진 후 옷을 벗겨 주었다.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 주위 환경을 시원하게 해주었고, 대상 아동의 체온이 상승하여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경구투약 하였다. 그리고 체온이 38.1 로 상승하여 미온수 마사지를 실시하였다. 이로 인해 대상자는 체온이 하강하여 정상 체온을 유지 하였으며 갑작스런 체온 상승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입원 중 열성경련도 일어나지 않았다.
두 번째로 『경련과 관련된 신체 손상의 위험성』을 진단 내렸다. 집에서 경련을 할 때 아동이 갑자기 앞으로 쓰러지는 등 경련 시 낙상의 위험이 있어 사이드 레일을 양쪽 다 올려 주었고, 아동의 팔에 멍 자국이 있어 물어 본 결과 아이가 뻣뻣해져서 풀어 주기 위해 주물러주다 그렇게 됐다고 말씀 하셔서 그렇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아이가 경련을 할 경우 억제하거나 잡지 말고 옆에서 가만히 지켜 볼 것을 교육 하였다. 입원 중 아동이 경련을 더 이상 하지 않아 직접적인 간호 수행은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아동이 경련을 30여회 정도 했다는 부모님의 말씀이 있어 아동이 경련을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을 해드렸다. 사이드 레일을 올려놓아 수면시에도 아동은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았고, 부모님은 경련시 응급처치에 대해 이해하시고, 다음에 아이가 다시 경련을 할 경우에는 주무르지 않고 지켜보시겠다고 말씀해 주셨다.
세 번째로는 『고체온, 열성 경련에 의한 수분 소실과 관련된 잠재성 체액 부족』을 진단 내렸다. 대상아동은 평상시 보다 물을 많이 먹는데도 갈증을 많이 호소했고, 피부 점막이 많이 건조했으며 특히 입술이 건조했다. 또한 평소보다 소변 횟수가 많이 감소되어 있는 등 탈수 증상을 나타냈다. 그래서 체액 균형을 유지하여 갈증을 느끼지 않고, 배뇨 양상이 평상시와 같아 질 것이라는 목표를 잡고,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기록 하였다. 또한 한 시간 마다 호흡양상과 체온을 측정하여 호흡수와 체온증가로 인한 체액의 손실을 발견하기 위한 사정을 하였다. 그리고 핍뇨나 피부 탄력성 저하 등 탈수증상 및 징후를 관찰하였다. 또한 처방에 따라 수액을 공급하였고, 금기가 아닐 경우 2시간마다 구강으로 수분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하루 경과 후 피부 탄력성이 증가 되었고, 구강점막의 건조 현상이 사라졌다. 그리고 수분섭취를 권장한 결과 탈수 증상이 완화 되었다.
네 번째로 『입원과 관련된 아동의 불안』을 진단 내렸다. 대상 아동은 어머니께 아프지 않다며 집에 가자고 울며 때를 쓰기도 했고, 어머니가 잠시 자리를 비워도 우는 등 어머니와 떨어지려고 하지 않았다. 그래서 아동이 병원 생활에 적응하여 병원을 두려워하지 않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장난감을 가지고 오게 하여 아동이 낯설어 하지 않게 노력하였다. 또한 항상 어머니가 곁에 있게 하였고, 간호 과정을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하여 간호 과정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어머니가 옆에 있을 때 대화를 하려고 노력하여 대상 아동과의 신뢰 관계 형성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대상 아동은 간호과정을 이해하고 협조해 주었으며, 처음에는 말을 걸어도 대답도 하지 않고 못 들은 척 하다가 나중에는 어머니가 안 계셔도 대화가 이루어지는 등 신뢰 관계가 형성 되어졌다.
마지막으로 『학대와 관련된 두려움과 사회 적응 장애』라는 간호 진단을 내렸다. 대상아동은 2년 전에 큰집에 한 달간 맡겨졌다가 아동 학대를 경험 했다. 병원에 어머니가 입원을 하시면서 큰집에 맡겨졌는데, 한 달간의 학대로 인해 아동은 성인을 무서워했으며, 특히 남성을 무서워했다. 그리고 또래와 어울리는 것을 꺼려하여 유치원에도 가지 않으려고 하고, 항상 어머니 옆에만 붙어 있을 려고 했다. 그래서 성인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키고 또래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을 것이다 는 목표를 가지고, 공포의 감정을 표현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위험한 사람과 위험 하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을 꺼려하여 자기 동생 또래의 친구를 소개 시켜 주어 대화를 나누고 같이 어울리게 도와주었다. 또한 성인들과의 대화도 중요하다 생각하여 병실 보호자 분들에게 도움을 청하여 대상아동과 대화를 나누게 도왔다. 그 결과 처음에는 말을 걸어도 못 들은 척 행동하고, 어머니가 대답해야지 그러시면 짧게 말을 했으나, 나중에는 먼저 말을 걸기도 했다.
참고문헌
이화자외 16명 : 발달 단계별 아동 간호학, 정담 미디어 P405~P 407, 2003년
도복남외 공저 : 정신간호학 각론, 3번, 정담 P 400~P 402, P 774~P 779, 2003년
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 :
http://www.korea1391.org/
엠파스 백과사전 : http://100.empas.com/entry.html/?i=758625&v=&Ad=photorental
  • 가격1,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04.2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