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논
Ⅱ.'정과정'의 원문과 현대역
Ⅲ.'정과정'의 내용분석
1. 작가 소개
2. 시대적 배경
3. 내용 해설
Ⅳ. 형식적 특성 분석
Ⅴ. 결 논
Ⅱ.'정과정'의 원문과 현대역
Ⅲ.'정과정'의 내용분석
1. 작가 소개
2. 시대적 배경
3. 내용 해설
Ⅳ. 형식적 특성 분석
Ⅴ. 결 논
본문내용
알 수 있으며, 이런 현상은 그대로 각 행이나 노래 전체의 종결부분에 나타난다.
넉시라도 님은 하딪 녀져라 아으
니미 나링 ㅎ마 니짜시니잇가
속요는 대개 궁중에서 임금을 대상으로 연행되던 노래들이었다는 특수성 때문이기도 하겠으나 어쨌든 존칭적 표현이 주를 이룬다는 점은 선초악장을 제외한 어느 시대 노래 장르와도 구별되는 표현적 특질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Ⅴ. 結 論
이상에서 \'정과정\'의 원문과 현대역, 작가와 작품의 시대적 배경, 주제, 그리고 형식적 분석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과정\'은 정서가 지은 고려 속가로 주제는 충신연주지사이며 이 작품의 주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절은 \'산접동새\'와 \'잔월효성\'이다. 그 내용은 인종의 왕위를 의종이 이어받으면서 벌어지는 의종과 그의 아우 대령후 사이의 미묘한 정치적 갈등 속에서 귀양가게 된 정서가 귀양생활을 하면서 다시 등용해 주겠다던 의종의 말을 끝까지 믿고 있다는 것과 간접적으로 자신의 적대세력에 대한 불만을 토로한 작품이다.
또한 \'정과정\'은 시조의 \'단심가\'나 정철의 가사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과 같은 연주지사의 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정과정\'은 대악절로 구분되는 만큼 노랫말도 4분장형식을 취하고 이제현의 한역시인 \'만전춘\'과 유사한 선율을 가진다. 10구체 사뇌격 향가라는 기존 장르의 양식적 변동에다 기존의 민요를 복합적으로 수용한 뒤 재창작했을 가능성이 짙다고 하겠다.
\'정과정\'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자신의 무고함을 역설하고, 다시 사랑해 줄 것을 탄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밑힛 마리신뎌 싶읏븐뎌\'를 1행으로 잡아 단시체형 10행시가가 된다. 끝행은 결사의 감탄구를 내세워 종합적 전환을 기하고 있다.
형식은 시가의 형태를 결정짓게 하여 의미를 창조하는 구실을 한다. 내용이 의미있는 내용으로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형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형식이 중요한 이유는 시가문학이 특히 형식의 지배를 많이 받는 예술양식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식적 분석은 작품의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형식은 내용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에 내용이 변화하면 형식도 거기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소재와 이념의 결합으로 인하여 형성된 일반적인 의미의 내용이 형식과 결합하여 작품의 내용을 형성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한다.
또한 이념과 소재의 결합으로 인하여 생기는 내용을 일차적 의미창조라고 한다면, 그러한 내용과 형식이 만나서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과정에서 생기는 예술적 의미는 이차적 의미창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우리의 과제는 고전만이 갖는 독특하고도 아름다운 작품을 더욱 많이 발췌하고 연구하여 그 의미와 이해를 돕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ㆍ 최 철(1996), 「고려 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ㆍ 최용수(1993),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ㆍ 손종흠(1999),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ㆍ 전규태(1982), 「고려속요의 연구」, 학예사
넉시라도 님은 하딪 녀져라 아으
니미 나링 ㅎ마 니짜시니잇가
속요는 대개 궁중에서 임금을 대상으로 연행되던 노래들이었다는 특수성 때문이기도 하겠으나 어쨌든 존칭적 표현이 주를 이룬다는 점은 선초악장을 제외한 어느 시대 노래 장르와도 구별되는 표현적 특질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Ⅴ. 結 論
이상에서 \'정과정\'의 원문과 현대역, 작가와 작품의 시대적 배경, 주제, 그리고 형식적 분석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과정\'은 정서가 지은 고려 속가로 주제는 충신연주지사이며 이 작품의 주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절은 \'산접동새\'와 \'잔월효성\'이다. 그 내용은 인종의 왕위를 의종이 이어받으면서 벌어지는 의종과 그의 아우 대령후 사이의 미묘한 정치적 갈등 속에서 귀양가게 된 정서가 귀양생활을 하면서 다시 등용해 주겠다던 의종의 말을 끝까지 믿고 있다는 것과 간접적으로 자신의 적대세력에 대한 불만을 토로한 작품이다.
또한 \'정과정\'은 시조의 \'단심가\'나 정철의 가사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과 같은 연주지사의 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정과정\'은 대악절로 구분되는 만큼 노랫말도 4분장형식을 취하고 이제현의 한역시인 \'만전춘\'과 유사한 선율을 가진다. 10구체 사뇌격 향가라는 기존 장르의 양식적 변동에다 기존의 민요를 복합적으로 수용한 뒤 재창작했을 가능성이 짙다고 하겠다.
\'정과정\'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자신의 무고함을 역설하고, 다시 사랑해 줄 것을 탄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밑힛 마리신뎌 싶읏븐뎌\'를 1행으로 잡아 단시체형 10행시가가 된다. 끝행은 결사의 감탄구를 내세워 종합적 전환을 기하고 있다.
형식은 시가의 형태를 결정짓게 하여 의미를 창조하는 구실을 한다. 내용이 의미있는 내용으로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형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형식이 중요한 이유는 시가문학이 특히 형식의 지배를 많이 받는 예술양식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식적 분석은 작품의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또한 형식은 내용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에 내용이 변화하면 형식도 거기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소재와 이념의 결합으로 인하여 형성된 일반적인 의미의 내용이 형식과 결합하여 작품의 내용을 형성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한다.
또한 이념과 소재의 결합으로 인하여 생기는 내용을 일차적 의미창조라고 한다면, 그러한 내용과 형식이 만나서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과정에서 생기는 예술적 의미는 이차적 의미창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우리의 과제는 고전만이 갖는 독특하고도 아름다운 작품을 더욱 많이 발췌하고 연구하여 그 의미와 이해를 돕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ㆍ 최 철(1996), 「고려 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ㆍ 최용수(1993),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ㆍ 손종흠(1999),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ㆍ 전규태(1982), 「고려속요의 연구」, 학예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