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토론이란
토론의 형식과 절차
토론의 유의점과 판정
신문사설을 바탕으로 한 토론
토론의 형식과 절차
토론의 유의점과 판정
신문사설을 바탕으로 한 토론
본문내용
할 때는 사회자가 심판관도 겸한다. 그러나 학교에서 행하는 토론의 경우 굳이 심판관이 꼭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4명이 할 경우에는 대표가 사회자, 다른 두 사람이 찬반토론자, 나머지 한 사람이 심판관이 되면 된다. 토의의 경우는 대표가 사회자가 되면 되고 나머지 학생들은 자유로이 자기의 생각을 말하면 된다. 이렇게 역할을 정한 다음에는 각자 자신이 정리한 사설공책을 준비하고 모둠의 대표격이 되는 학생이 전체 모둠의 기록장을 준비한다. 이는 토론을 기록으로 남겨 훗날에 참고자료로 쓰기 위함이다. 물론 녹음기도 함께 준비하여야 한다. 토론을 시작하면 상대방이 발언을 할 때에 자기 공책에 간단히 상대방의 논거, 주장 등을 적어 놓고 약점을 살핀다. 그리고 간단히 평가도 한다. 예를 들어 '감정적이다', '논리적이다', '말이 조리가 없다' 등등으로 적으면 된다. 토론이나 토의를 이끌어 가는 대표자는 발언자의 말을 요약하며 적는다. 토론이 끝나면 대표자는 토론을 정리하고 결과를 발표한다 이렇게 해서 모든 모둠에서 토론이 끝나면 대표자들이 한 사람씩 나와 종합하여 발표하고 다른 모둠의 질문이나 의견을 듣는다.
토의와 토론이 이론적으로는 구분되어 있으나 학교에서나 사회에서 혼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우리도 이를 혼용할 수 있다. 즉 소규모 모둠에서는 논제에 대하여 '토의'를 통해 찬성이냐 반대냐 하는 자신들(소규모 모둠전체)의 입장을 정리한다. 그리고 정리된 의견을 가지고 학급단위로 이루어지는 대규모 집단토론에 나가서 찬반양론의 한편에서서 '토론'하면 된다. 자, 사설을 읽고 토론을 시작하자.(1994.9.22.)
토의와 토론이 이론적으로는 구분되어 있으나 학교에서나 사회에서 혼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우리도 이를 혼용할 수 있다. 즉 소규모 모둠에서는 논제에 대하여 '토의'를 통해 찬성이냐 반대냐 하는 자신들(소규모 모둠전체)의 입장을 정리한다. 그리고 정리된 의견을 가지고 학급단위로 이루어지는 대규모 집단토론에 나가서 찬반양론의 한편에서서 '토론'하면 된다. 자, 사설을 읽고 토론을 시작하자.(1994.9.22.)
추천자료
거짓말(虛言)에서 떠나는 일(不妄語)에 대해 현대 생활인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비판과 칭찬 대화의 기교와 법칙, 토론의 다섯 가지 속성, 직접대화와 간접대화의 장단점, 6...
베니스의 성공한 리더의 특성에 비추어 자신의 리더십을 작성, 그리고 5가지 특성 중 부족한 ...
사회복지실천의 목표를 위한 가치와 윤리는 무엇이며, 윤리적 딜레마의 상황에 대한 예시를 ...
자원봉사자 모집을 위한 홍보전략 중에 효과적으로 자원봉사모집 홍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
가족 중 치매에 걸린 사람이 있다는 가정하에 그분을 보호하기 위해 하여야 할 것들을 조사하...
우리나라 옛 이야기 흥부놀부 속에 드러난 옛날 사람들의 가치관을 분석하고 현대의 가치관...
어린이집에서의 효과적인 부모교육의 주제와 참여형태에 대해 토론해 보세요.
가족을 사정 하는데 있어서 내가 ‘사회복지사(Social Worker)’라면 어떻게 사정 할 것인지 사...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노인부양문제가 가정이나 국가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내 부모님 중...
설득의 메시지에 저항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하고 그 중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토론하세요
지역사회복지의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관의 바람직한 방향은 어떠한 것이라고 생각하...
[아동학대] 아동학대의 문제가 많이 보도되고 있는 요즈음, 아동학대가 없는 사회가 되기 위...
청소년 비행의 유형에 대해 자세히 작성하고 비행유형 중 한 가지 예를 들어 자신이 비행청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