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권과 건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태극권의 역사
1)창시

2.태극권의 기본요소
1) 조신(조신) : 바른자세
2) 조식(조식) : 자연스러운 호흡
3) 조심(조심) :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마음

3.태극권의 특징 과 원리
1)특징
2)태극권의 원리

4.태극권의 호흡 과 방송
1)호흡
2)방송

5.태극권의 철학

6.태극권의 유파
1) 진 식 태 극 권
2) 신가식
3) 오 식 태 극 권
4) 무 식 태 극 권
5) 손 식 태 극 권
6) 간 화 태 극 권
7) 광 파 태 극 권

7.태극권과 건신
1) 건신운동이란
2) 태극권과 건신

본문내용

능을 증진시킨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태극권을 하는 노인의 심폐 기능을 측정한 사람이 있는데, 그 결과 태극권을 계속하고 있는 노인 37명의 폐기능은 하지 않는 89명보다 좋고, 또한 폐기능 감퇴의 연령도 비교적 늦어진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 사실로도 태극권은 심폐기능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의가 있음을 알게 된다.
태극권을 하는 50-59세 노인의 폐활량과 잔기(殘氣)는 매우 정상이다. 최대 통기량은 정상치의 126%이다. 이것은 호흡근의 장력이 비교적 좋으며 흉곽의 활동도가 크고, 폐의 탄력이 비교적 좋다는 것을 가리킨다. 태극권을 하는 노인은 정상적인 확산 기능을 유지하고 통기가 좋을 뿐 아니라 폐소혈관(肺小血管)의 환기기능도 좋다는 점을 가리키고 있다. 70세가 되어 겨우 확산 기능의 감퇴가 엿보이는데 이것은 태극권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하면 훨씬 늦다.
중국 전통의학 중 그 밖의 건신운동, 예를 들면 역근경(易筋經), 오금희(五禽絲), 팔단금(八段錦)등도 모두 자연스러운 안정과 이완시키는 것, 그리고 단전(丹田)에 의식을 모으는 등의 요구가 있다. 태극권의 가장 현저한 특징은 '이완과 안정의 융합'이다. 이완시킨다는 것은 정신과 신체를 모두 풀고 정신을 한 점에 집중시키는 것이다. 안정이란 사상과 의식을 전부 집중시키고 생각의 기복을 감소시켜 완전히 안정상태에 들어가는 것이다. '의기합일(意氣合一)'은 생각을 컨트롤하는 것과 호흡의 조정을 융합시켜 의(意)로 기(氣)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경계통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두 번째 특징은 '동정의 융합'이다. 태극권은 '외동내정(外動內靜)', '동중정(動中靜)', '정(靜)으로 동(動)을 방지한다.' '동여정(動如靜)'등을 요구한다. 기공은 '외정내동'이라 할 수 있다. 내동이란 체내의 기식(氣息) 운동을 가리킨다. 좋은 '정(靜)'을 지키지 못하면 '동(動)'의 작용을 이룰 수 없다. 동정의 단련에도 '동정의 겸비'를 요구 한다. 동공과 정공을 유기적으로 융합시켜 단련을 해야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중국 전통 의학의 건신 운동의 한 특징이라할 수 있다.
세 번째 특징은 태극권이 경락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락 학설에 의하면 배요(背腰)의 중심은 독맥(督脈)이 지나가고 있는 곳이다. '독맥(督脈)은 척추를 지나 신(腎)에 속한다'고 하는 것처럼 독맥이 유통하고 있으면 신기(腎氣)가 왕성하다. 허리 옆에 있는 신유(腎兪)경혈은 신기(腎氣)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항상 허리를 단련하면 독맥(督脈)이 유통하고, 또한 신유(腎兪)경혈에도 작용하여 신기(腎氣)가 채워진다. '신(腎)은 정(靜)을 비장한다'고 하는 것처럼 신은원음(元陰)과 원양(元陽)이 있는 곳이다. 원기는 인체의 기를 저장하는 근원이다. 원기가 왕성해야 인체의 저항력이 유지되고, 원음과 원양이 인체의 음양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원기가 왕성해야 인체는 건강하고 무병할 수 있다.그러므로 중국의 민족형식을 띤 건신법은 허리 부위의 단련을 대단히 중요하게 여긴다.
태극권은 '허리를 중히 여기고' '명기(命氣)의 근원은 허리에 있다' 언제나 허리에 주의하라' '복내(服內)를 이완시키고 안정을 취하면 기(氣)가 상승한다. '허리는 수레바퀴의 축과 같다'는 등의 말로 허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태극권과 허리의 운동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일상 생활 속에서 앉거나 설 때, 눕거나 앉을 때, 바른 자세를 취하는 데 있어서 허리의 척추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항상 태극권을 하면 척추의 모양 뿐 만 아니라 조직 구조도 좋아 진다. 관찰에 의하면 태극권을 하는 노인들 중에서 척추가 기형인 노인은 불과 25.8%이고, 일반 노인은 47.2%라고 한다. 굽은 등은 노인의 전형적인 기형 현상이며 노화의 결과이기도 하다. 항상 태극권을 하는 노인은 굽은 등의 발생율이 일반 노인에 비하여 훨씬 적다. 태극권을 하는 노인들 중 허리를 굽혀서 손바닥을 땅바닥에 댈 수 있는 노인은 77.4%나 된다. 그러나 일반 노인은 불과 16.6%이다.
X선 검사를 해보면, 태극권을 하는 노인은 골다공증의 발생율도 비교적 낮다. 전자는 36.6%이고 후자는 63.8%이다. 노인의 골다공증은 일종의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이다. 그 주요 원인은 골조직 중의 오스티오브라스트가 활발치 못하여 단백 매트리스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골 생성이 적고, 흡수가 많아져서 골절이 다공(多孔)하게 된다. 골절이 다공해지면 기형이 되거나 뼈가 튀어 나오기 쉽다. 관절의 움직임도 부자유해진다. 태극권은 골절의 변형이나 관절의 경화를 예방한다. 그러므로 태극권은 어느 정도의 '노화 방지 작용'이 있는 것 같다.
태극권은 신허(腎虛)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중국 전통의학의 이론에 의하면 신허는 전신 기능의 쇠퇴 또는 허약의 반영이다. 일부 노인에 관해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항상 태극권을 하는 노인의 대부분은 신허가 없고, 일반 노인에게는 약 반수 정도의 노인이 신허가 나타난다고 한다.
8.한국에 전해진 태극권
1960년대는 일반적으로 보급되었다고 하는 상태는 아니었으나 89년 일본에서 개최한 전 일본 태극권대회 초청인사인 대한 체육회 관계자가 참관한 이후, 국내 에 돌아와 관계자의 뜻으로 1988년 12월 23일 국내 쿵푸 조직들의 통합 (대한쿵푸협회, 한중 쿵푸협회,한국쿵푸협회, 중무회, 신무회, 중화국술국제연맹총회, 국제쿵푸연맹, 달마회)대표자가 모여 합의를 하고, 1989년 1월20일 대한우슈협회 창립총회를 시발로 전국의 15개 시도지회를 창립하는 계기로 해서, 1989년 마카오의 국제우슈교련훈련반에 현 경기도우슈협회의 부회장 겸 대한우슈협회 남 윤현 경기위원장과 현 대한우슈협회 실무부회장 및 전 대한우슈협회 유 용주 전무 3인이 태극권 훈련 반에 참가하여 경기용 투로인 총합태극권을 학습하고 돌아와 국내 시도 지도자 교육이후 제1회 전국 우슈회장배 겸 국가대표 선발전(第一回 全國 우슈(武術)會長盃 兼 國家代表選拔戰)이후로 비약적(飛躍的)으로 보급 발전하게 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5.06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9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